d라이브러리
"본래"(으)로 총 79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인식하는 ‘아이보그’도 있어요. 바로 영국의 예술가 ‘닐 하비슨’이에요. 하비슨은 본래 색을 전혀 보지 못하는 색맹으로, 세상을 흑백으로만 볼 수 있어요. 그는 2003년부터 색을 소리로 바꾸는 안테나를 개발했고, 2004년에 자신의 머리에 안테나를 심었지요. 덕분에 360개의 색과 함께 자외선, ... ...
- [시사과학뉴스] 한파, 강해지고 길어진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적도와 북극의 기온 차이가 줄어들었어요. 그러자 기온 차이 때문에 생긴 제트기류는 본래의 기세를 잃고 약해졌지요. 이렇게 제트기류가 약해진 틈을 타서 폴라 보텍스의 찬 공기(영하 30℃)가 우리나라까지 내려 온 거랍니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는 지구온난화 때문에 추워진 거예요. 그래서 이를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열린 ‘스타트업 콘 2017’ 행사장에서 만난 워윅 교수는 “사이보그는 IT기술을 통해 본래 인간이 가진 능력을 넘어서는 능력을 가지게 된 인간”이라고 정의했다. 워윅 교수는 전극을 이용해 멀리 떨어진 로봇팔을 자신의 팔처럼 움직이는 것은 물론, 아내의 팔에도 생체 전극을 이식해 원거리에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보물을 향해 어둠 속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방출된답니다. 야광봉을 따뜻한 물에 넣으면 화학반응이 더 활발해 져서 빛이 밝아져요. 본래의 빛은 노란색이지만, 형광 물질을 넣어서 파란색이나 빨간색으로 바꿀 수 있지요. 과학수사대가 살인범으로 의심되는 범죄자의 집을 샅샅이 뒤지고 있어요. 하지만 범인은 모든 증거물을 깨끗이 닦아 ... ...
- [식물 속 동물 찾기] 뚱딴지 같은 꽃과 줄기를 가진 돼지감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보니 ‘돼지가 먹는 감자’라는 뜻에서 ‘돼지감자’라 부르게 됐답니다. 돼지감자는 본래 북아메리카에서 자라던 식물로, 유럽을 거쳐 17세기 이후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돼요. 외국에서 들어온 뒤 우리나라에 적응한 ‘귀화식물’이죠. 노란 꽃이 지고 땅의 온도가 17℃보다 떨어지는 1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沃)’은 뜻을 나타내는 ‘물(水)’과 음을 나타내는 ‘어릴 요(夭)’로 이루어져 있어요. 본래 ‘물을 뿌려 끼얹다’, ‘물을 대다’는 뜻을 가지고 있었어요. 충분한 물이 있는 땅은 농사가 잘 되기 때문에 이후 땅이 ‘기름지다’는 뜻으로도 쓰이게 됐답니다. ‘토양(土壤)’은 ‘흙 토(土)’와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물체마다 가지고 있는 특별한 진동수를 ‘고유 진동수’라고 하고, 한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생물종은 ‘고유종’이라고 불러요. 이처 ... 하지 않은 명주실을 의미한답니다. 즉, ‘처음 상태’를 나타내는 거예요. 또한 명주실은 본래 하얀색이기 때문에 ‘희다’라는 뜻도 가지고 있어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2020년, 한국형 발사체를 우주로! 나로우주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발사시켰어요. 우주과학관 한켠에서 한국의 과학로켓 역사를 살펴보던 서영아 기자는 “본래 우주과학자가 되는 게 꿈이어서 로켓에 관심이 많았다”며, “실제로 연구 시설을 둘러볼 수 있어서 정말 좋았다”고 말했어요 ... ...
- 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대한 이야기를 들어 보았어요.Q. 오션원을 만들게 된 계기가 있나요?저희 연구실에서는 본래 일본의 휴머노이드 로봇 ‘아시모’를 이용해 연구를 해왔어요. 그러던 중 지구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바닷 속을 탐사할 로봇이 많지 않다는 사실을 알게 됐고, 휴머노이드 수중로봇을 만들자는 ... ...
- Part 2. 얕보면 큰코다친다! 센 종이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종이를 만들 때 나오는 찌꺼기로 단단한 플라스틱을 만들 수도 있어요. ‘리그닌’은 본래 나무에 들어 있는 성분으로, 종이를 만들면서 종이에도 일부 섞여요. 그런데 리그닌은 햇빛의 자외선과 반응해 종이를 누렇게 만드는 골칫덩어리랍니다. 그래서 종이를 만들 땐 최대한 제거하려고 노력하는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