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복합"(으)로 총 1,3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하인드 로켓] 한국 항공우주 기술 자존심 높인 '나로호 2단 고체엔진'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내열재를 태우는 문제가 발생했다. 나로호 2단을 위해 특별히 제작한 탄소-탄소 복합재도 엄청난 고온을 견디지 못하고 타버렸다. 내열재의 설계를 변경하기도 하고, 전방부에 기계 마모를 막는 판을 붙여보기도 하는 등 갖가지 방법을 동원했다. 최소한의 무게로 열에 잘 견디는 킥모터의 조건을 ... ...
- [천리안 2B호] 총괄 최재동과학동아 l2020년 02호
- 2A호다. 천리안 1호가 기상관측과 더불어 해양관측, 통신중계까지 다양한 역할을 하는 복합위성이라면, 천리안 2A호는 기상관측에 특화됐다. 천리안 2A호는 현재 구름 이동을 비롯한 한반도 주변의 기상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측하고 있다. 이번에 발사되는 천리안 2B호는 천리안 2A호와 함께 개발된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뉴바이올리지전공, 잘 고른 항체로 새로운 항암제 만든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꽤어려워요 | 융복합 파트너@DGIST 실험실에 들어서자 얼음이 가득 담긴 스티로폼 상자를 든 연구원들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었다. 스티로폼 상자에는 냉장고에서 막 꺼낸 플라스크가 담겨 있었다. 플라스크에 든 것은 항체. 온도를 영하로 유지해야 항체 활성이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항체를 0. ... ...
-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자르는 대신 한 가닥만 잘리게 했다. 또 캐스9는 ‘역전사 효소(reverse transcriptase)’와 복합체로 만들었다. 두 번째는 대체하고 싶은 시퀀스가 들어 있는 가이드 RNA를 사용했다. 가이드 RNA가 인식한 부위를 변형된 캐스9 단백질이 자르면, 역전사 효소가 가이드 RNA에 있는 시퀀스로 잘린 부위를 채워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뇌에 있는 신경세포 하나는 다른 신경세포들과 약 1만여 개의 시냅스를 형성합니다. 그리고 각각의 신경세포 막에 있는 접착 단백질이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을 제때 전달해야만 뇌가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여전히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게 많은 뇌. 고재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 ... ...
- [과학뉴스] 핀란드 해변을 덮은 몽글몽글한 알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이 밖에도 바람이 부는 방향과 해안선의 위치, 기온, 바닷물의 온도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더해져야만 만들어질 수 있다고 말했답니다.해안을 따라 얼음 알이 나타난 진귀한 현상은 처음이 아니에요. 2016년 러시아 나이다 해안과 2015년 미국 시카고 미시간호에서도 발견돼 화제된 바 있답니다 ... ...
- 실종자 찾는 첨단 기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장기 실종아동은 당시 사진만으로 찾기 어려워요. 그래서 KIST 영상미디어연구단은 2014년 복합인지기술 중 하나인 ‘폴리스케치’를 개발했어요. 현재의 얼굴을 예측하는 기술이지요. 연구단은 사람이 나이가 들면 얼굴이 어떻게 변하는지 사진을 보여주며 인공지능을 학습시켰어요. 그 결과, ... ...
- 독도 해양생물의 다양성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같이 시간에 따라 식물군락이 변하는 것을 ‘천이 현상’이라고 한다”며, “갯녹음은 복합적 요인이 바다숲 생태계에 영향을 미쳐 나타나기 때문에 어떤 이유인지는 다양한 자료를 통해 진단해봐야 한다”고 밝혔어요. 이어 “해녀바위처럼 집중 분석 지점을 두고 해조류 군락의 변화, 성게의 ... ...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비결정 얼음까지 더하면 그 수는 더 늘어날 것이다. 마츠모토 마사카즈 일본 오카야마대 복합학연구소 교수팀은 2017년 국제학술지 ‘화학물리학저널’에 얼음이 300개 이상의 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doi: 10.1063/1.4994757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능한 ... ...
- 우리 크리스마스에는 이별해...굿바이, 초록페트병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더 문제다. 갈색 맥주 페트병은 페트 단일재질이 아니라 페트에 다른 플라스틱을 섞은 복합재질로 만들었다. 샌드위치처럼 페트 사이에 나일론을 끼워 넣은 삼중 구조를 이루고 있다. 나일론이 외부에서 산소가 들어오지 못하게 하고 안에서는 맥주의 탄산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막는 벽 역할을 한다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