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법칙"(으)로 총 1,926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6600만 년 전 백악기, 수학으로 되돌려보는 지구의 모습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냈습니다. 연구팀은 현재 살아있는 동물의 체질량과 개체 밀도가 연관 있다는 ‘다무스 법칙’을 활용했습니다. 티라노사우루스는 길이가 최대 약 12m, 키는 최대 6m 정도로 매우 컸는데요. 동물이 크면 클수록 자원이 많이 필요해 개체 밀도는 낮다는 점을 이용한 겁니다. 그리고 지질학적 수명 등을 ... ...
- [이달의 수학자] 무명 수학자에서 수학자의 영광이 되다, 닐스 헨리크 아벨수학동아 l2021년 08호
- 군론에서 어떤 군에 속하는 임의의 원소 a, b와 임의의 연산 *이 있을 때 a*b=b*a처럼 교환 법칙이 성립하는 군을 아벨 군이라 합니다. 그 외에도 아벨 방정식, 아벨 적분, 아벨 함수, 아벨 다양체 등 무수히 많죠. 하지만 아벨은 생전에 빛을 보지 못하다가 1829년 4월 6일 만 26세의 젊은 나이에 결핵으로 ... ...
- 더 작게 더 빽빽하게│ ‘초고집적 반도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그리고 불과 일주일 뒤 TSMC가 1nm급 반도체 개발 소식을 알렸다. 적어도 지금까진 무어의 법칙이 계속 들어맞고 있다. 짧은 파장의 빛으로 더 가느다란 회로 제조그동안 반도체 집적도 향상이 어렵다고 예측했던 이유 중 하나는 반도체 회로를 더 가늘게 만들 도구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반도체 ... ...
- [매스미디어] 라켓소년단의 1승의 비결은 경우의 수?!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있는 선수는 1명이죠. 각 단식에 선수를 넣는 경우는 모두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곱의 법칙을 적용해6가지임을 알 수 있습니다. 복식의 경우는 조금 더 복잡합니다. 먼저 4명의 라켓소년단 중 2명씩 뽑아 조를 짜고, 각각을 1복식에 넣을지, 2복식에 넣을지 고려해야 하죠. 이 과정은 경우의 수 개념 ... ...
- [한페이지 뉴스] 이론이 틀렸다, 그래핀보다 인성 10배 높은 2차원 소재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힘 자체는 강하지만 결함이 생기면 쉽게 파괴된다는 뜻이다.파괴역학 이론인 그리피스 법칙에 따르면 그래핀과 같이 육각형 구조인 육각 질화붕소 역시 강도는 크고 인성이 작은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연구팀이 전자현미경으로 확인한 두 소재의 구조는 약간 달랐다. 그래핀은 여섯 개의 탄소 ... ...
- [과동프렌즈] 만유인력의 법칙 이해하려 뉴턴 인생사까지 들여다봤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중학교 2학년 때까지만 해도 책 읽는 것을 싫어했어요. 영재고를 준비하면서 생활기록부를 채워야 한다는 현실적인 이유로 독서가 필요해졌어요. 어떤 책을 골라야 할지도 몰라 과학동아 기사와 추천도서부터 읽기 시작했어요.”김주찬(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2학년) 군은 처음으로 과학동아를 ... ...
- [특집]새로운 과일, 어떻게 만들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사과가 열려요. 사과박사님의 이야기를 들어 볼까요? Q 사과에 새로운 이름을 붙이는 법칙이 있나요?과거에는 주로 홍로, 감홍 등 한문을 기반으로 품종 이름을 붙였어요. 하지만 최근 우리나라 사과를 전 세계에 특허 출원하거나 로열티를 받을 때 편리하도록 영어로 이름을 짓고 있어요. 미국에 ... ...
- [한페이지 뉴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정보엔진 나왔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분리하면 두 방의 온도가 달라진다. 이는 ‘엔트로피는 감소하지 않는다’는 열역학 제 2법칙을 뛰어넘는 결과다. 이때 도깨비가 잰 분자의 위치와 속도 ‘정보’가 온도차를 만드는 ‘일’로 바뀐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이 정보엔진이다. 실제 정보엔진은 1990년대 후반 처음 개발됐다 ... ...
- 확률형 아이템 논란, 득템이 어려운 진짜 이유는?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아이템의 경우 시행하기 위한 비용도 내야 하니, 도박사의 오류뿐만 아니라 큰 수의 법칙에도 빠지지 않도록 주의해야겠죠? 수학으로도 계산할 수 없는 확률, 보보보?최근 화제가 된 게임계의 또 다른 논란은 확률형 아이템 중 절대 나올 수 없는 것도 있었다는 점입니다. 다시 말해 당첨될 수 없는 ... ...
- [기획] 개미는 빛의 경로를 따르네~!수학동아 l2021년 04호
- 휴~! 힘들긴 해도 저기 벌써 사탕이 보여! 그런데 내가 망원경으로 살펴봤는데, 대장이 가려는 길보다 훨씬 빠르게 갈 수 있는 길이 있더라고? 얼른 대장한테 말해줘야겠어! 개미는 빛과 비슷하게 이동합니다. 빛은 항상 ‘시간이 가장 적게 걸리는 경로’를 택해 움직이는데, 개미도 목표물까지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