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터"(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고수의 조언 1. 일단은 첫인상부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벌의 도움을 받아요. 그러면 벌이 가장 잘 보는 색은 무엇일까요? 인간은 약 380~750nm(나노미터)까지의 파장을 볼 수 있지만, 벌은 10~650nm까지의 파장을 볼 수 있어요. 또, 꿀벌은 자외선과 파란색, 녹색 파장을 파악하는 수용체가 있어 주로 파란색을 잘 볼 수 있지요.그런데 국제 과학자들이 모은 ... ...
- [특집] 고수의 조언 2. 나만의 선물을 준비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이 개구리는 소리를 내며 앞발과 뒷발을 반복해 들어 올리고, 머리를 흔들고 있었죠. 몇 미터 옆에 떨어져 있던 다른 개구리도 비슷한 행동을 했고요. 개구리는 원래 노래로 구애를 해요. 브루너 연구원은 유리개구리가 노래하며 움직이는 행동을 보고 폭포 소리에 자신의 구애 소리가 가려져 ... ...
- [수학뉴스] 열대어 줄무늬 만드는 튜링 패턴 나노 세계에도 적용된다수학동아 l2021년 08호
- 후세야 유키 일본 전기통신대학교 교수팀은 개별 원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 규모에서도 튜링 패턴이 발견되는 것을 확인해 7월 8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물리학’에 발표했습니다.연구팀은 원자번호 83번 원소 비스무트(Bi)층을 기판 위에 생성해 물리적 현상을 ... ...
- 수소경제 실현, ‘생산·저장·운송’ 해결해야과학동아 l2021년 08호
- 효율을 82% 까지 낼 수 있다. 연구단은 2021년 6월 최대 84% 효율로 1시간에 2Nm3(노르말 세제곱미터·1Nm3는 0℃·1기압에서 1m3)의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10kW급 알칼라인 수전해 스택’도 개발해 1008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구동하는 데 성공했다. 태양전지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고 이 전력으로 물을 ... ...
- 더 작게 더 빽빽하게│ ‘초고집적 반도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12일, 전 세계 반도체 위탁 생산(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인 대만의 TSMC가 1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급 미세회로 반도체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TSMC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공동연구팀은 이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하며 논문 초록에 “무어의 법칙을 더 연장할 것이다”라고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7화. 이건 악몽일 거야! 불가능한 방 탈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이 으스스한 곳을 지나가자고.”선장이 재촉했습니다.불빛이 비치는 범위가 고작 몇 미터밖에 되지 않아 딱지는 조심스럽게 움직였습니다. 대략 100m 정도 움직였을까요. 앞쪽에서 뭔가 불빛을 반사했습니다. 딱지는 천천히 다가가 자세히 살펴봤습니다. 동굴 입구에 있던 막과 비슷해 보였습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심봉사, 다시 눈이 나빠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셀렌’을 추가해 ‘GSST’라는 새로운 물질을 만들었어요. 그다음 GSST로 1㎛(마이크로미터, 1mm의 1000분의 1) 두께의 매우 얇은 층을 만들고, 표면을 다양한 모양으로 설계한 메타 렌즈를 만들었지요. 연구팀이 이 렌즈에 레이저 빛을 가하자 GSST층의 분자 구조가 바뀌며 표면의 모양에 따라 빛이 ... ...
- [한페이지 뉴스] 콩으로 만든 ‘비건 플라스틱’ 나왔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이후 용액의 온도를 다시 낮춰 단백질 가닥이 수소결합으로 촘촘히 연결돼 나노미터 규모로 재조합하도록 했다. 하이드로겔 형태로 재조합된 단백질을 말리자 투명하고 얇은 필름이 형성됐다.연구팀이 개발한 이 필름은 마치 플라스틱으로 만든 비닐봉지처럼 견고하면서 유연하게 휘어졌다. ... ...
- [한페이지 뉴스] 숨만 쉬어도 비말 2.2m 날아가…, 마스크 쓰면 0.7m로 뚝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이에 한양대와 미국 스토니브룩대 등 공동연구팀은 평소 호흡을 통해 1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이하의 가벼운 비말이 얼마나 멀리 날아가는지 유체역학에 기반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한 연구결과를 ‘유체물리학’ 6월 8일자에 게재했다. 재채기라는 특수 상황이 아닌, 일반적인 ... ...
- [한페이지 뉴스] 현미경 없이 현미경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마이크로비즈 등 이와 유사한 실험 기법이 개발됐지만, 이미지 해상도가 20~100µm(마이크로미터·1µm는 100만분의 1m)에 그쳤다. 그에 반해 식스코프는 평균 0.6µm의 높은 해상도를 구현했다. 이는 인간 머리카락의 66분의 1 수준으로 세포의 구성 요소인 핵, 세포질, 미토콘드리아의 구조도 관찰할 수 있다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