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목표"(으)로 총 3,757건 검색되었습니다.
- [5년 후, 과학은] 충전・교체 필요 없는 몸속 배터리 마찰전기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기계가 원활하게 연결되는 인간 지향적 기술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제 목표입니다.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가치 있는 기술로 마찰전기 나노발전기가 성장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습니다. 김상우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연세 월드클래스 펠로우 교수). 2004년 일본 ... ...
- 젊은 수학자에게 기회를!수학동아 l2023년 08호
- 1년 전 허준이 교수가 필즈상을 수상하자 한국 수학계는 우리나라 출신 필즈상 수상자가 또 나올 수 있을지 고민하며 그 시기를 앞당기기 위한 방법을 모색했 ... 수학자에게 기회를!Part1. 허준이 수학난제연구소Part2. 허준이 수학난제연구소의 핵심 목표 3Part3. 난제에 도전한다! 허준이 ... ...
- [과학뉴스] 금성 대기 미스터리 풀 국제 연구 한국이 주도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관측하기 위해 국제 금성 관측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6월 29일 밝혔다. 프로젝트의 목표는 금성 구름 내 존재하는 미확인 흡수체와 이산화황 가스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다. 미확인 흡수체는 태양에너지를 흡수해 금성 기후에 영향을 미친다. 미확인 흡수체의 양이 늘면 대기의 반사도가 ... ...
- 맥동하는 별로 밝혀낸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 배경의 결정적 증거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하지만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SKA(Square Kilometre Array)’라고 하는, 2028년 완공을 목표로 건설 중인 차세대 전파망원경 국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방법이 있다. SKA 프로젝트로 총 200개의 접시형 망원경과, 총 13만 여 개의 안테나가 남아프리카공화국과 호주에 설치된다. 이 SKA가 가동을 시작하면 ... ...
- AI로 디자인의 지평을 넓히다 국민대 AI디자인학과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주 교수는 “한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라 모든 분야의 실무에 능한 인재를 키워내는 것을 목표로 수업을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맞춰 AI디자인학과에서는 실무에 적용 가능한 지식을 폭넓게 배운다. 시각 디자인과 사용자인터페이스(UI), 사용자경험(UX) 기반 디자인 등의 수업은 물론, 통계, ... ...
- 최고의 교수진이 최고의 인재 기른다, KAIST 반도체시스템공학과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작업)’을 할 수 있게 교육하고 있다. 조 교수는 “반도체 설계 단계에서 다양한 목표를 제시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디버깅하며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고 설명했다. 좋은 스승 밑에 좋은 제자 자란다 반도체 설계는 벽돌(소자 공정)을 가지고, 집을 설계(회로 설계) 하며, ... ...
- 결백 프로젝트, 과학수사의 모순을 파고들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잘 작동한다면 비슷한 역할을 하는 조직이 생겨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법과학의 목표인 억울한 사람을 만들지 않기 위해, 법과학은 어떻게 나아가야 할까. 되돌아보면 2009년 DNA가 유일한 법과학의 직접 증거로 채택된 것도 십수년 밖에 되지 않았다. DNA에 대한 꾸준한 연구로 분석 신뢰도를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오펜하이머’ 원자폭탄보다 두려운 수소폭탄이 한국에 떨어진다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발전 실증로 설계에 착수해 2035년까지 마칠 계획입니다. 2050년대에는 상용화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핵융합이 일어나려면 1억캜 이상의 플라즈마가 반드시 필요한데, 플라즈마를 만드는 방식은 ‘토카막형’과 ‘레이저형’으로 나뉩니다. KSTAR를 포함한 많은 수의 핵융합 연구장치들은 도넛 모양 ... ...
- [디지스트 융복합파트너] 행동 제어 스위치 찾아 뇌질환 치료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뇌 질환 환자의 인지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신경과학적 메커니즘을 찾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물론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다른 신경과학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세포체 표적 캘라이트 기술 역시 침습적 방식을 사용한다. 청색광을 뇌세포에 쏴 신경세포의 활성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뇌에 ... ...
- 창원대학교 국립대학 육성사업, 300평의 스마트 팩토리에서 글로컬 인재 키운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15개 산업단지에서 이뤄지고 있다. 창원시와 맞닿은 경남 밀양시에서도 올해 말 준공을 목표로 나노융합산업단지를 준비하고 있다. 조 교수는 “미래 4차 산업을 대비한 대학 교육의 혁신이 시작됐다”며 “스마트제조융합전공에서 기르고 배출하는 인재들이 경상남도의 내일을 이끌 것”이라고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