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목표"(으)로 총 3,7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젊은 수학자에게 기회를!수학동아 l2023년 08호
- 1년 전 허준이 교수가 필즈상을 수상하자 한국 수학계는 우리나라 출신 필즈상 수상자가 또 나올 수 있을지 고민하며 그 시기를 앞당기기 위한 방법을 모색했 ... 수학자에게 기회를!Part1. 허준이 수학난제연구소Part2. 허준이 수학난제연구소의 핵심 목표 3Part3. 난제에 도전한다! 허준이 ... ...
- 허준이 수학난제연구소의 핵심 목표 3수학동아 l2023년 08호
- 가장 최신 연구 주제를 공부할 기회를 제공하는 거지요. Q. 허준이 수학난제연구소의 목표는요? 지금 세운 계획을 모두 진행해 좋은 결과를 내는 겁니다. 지금은 허준이 펠로우가 3명이지만, 앞으로는 10명까지 만들어야지요. 이들이 본인의 연구 분야를 잘 이끌어 10년 후엔 한국 수학계의 대들보가 ... ...
- [과학뉴스] 금성 대기 미스터리 풀 국제 연구 한국이 주도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관측하기 위해 국제 금성 관측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6월 29일 밝혔다. 프로젝트의 목표는 금성 구름 내 존재하는 미확인 흡수체와 이산화황 가스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다. 미확인 흡수체는 태양에너지를 흡수해 금성 기후에 영향을 미친다. 미확인 흡수체의 양이 늘면 대기의 반사도가 ... ...
- 억울한 사람이 없도록 과학으로 밝힌 오심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범인 검거다. 하지만 과학수사 전문가들은 한 목소리로, 과학수사의 진짜 목표는 억울한 사람이 없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과학수사가 구해 낸 무고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함께 살펴보자. 2018년 5월 31일 늦은 밤, 강원도의 한 4차선 도로. 동승자를 태운 A씨의 차와 반대편에서 달려오던 B씨의 ... ...
- [5년 후, 과학은] 충전・교체 필요 없는 몸속 배터리 마찰전기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기계가 원활하게 연결되는 인간 지향적 기술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제 목표입니다.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가치 있는 기술로 마찰전기 나노발전기가 성장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습니다. 김상우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연세 월드클래스 펠로우 교수). 2004년 일본 ... ...
- [도전! 체스마스터] 혼자 힘으론 역부족! 기물 부족 무승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8호
- 체스에서 목표는 상대 팀 킹을 체크메이트*하는 거예요. 그런데, 양팀이 서로 체크메이트 할 수 있는 기물이 부족한 경우에는 경기를 더 이상 이어갈 수 없어요. 이를 ‘기물 부족 무승부’라고 하지요 남은 기물이 ➊킹vs.킹➋킹+비숍vs.킹❸킹+나이트vs.킹 이렇게 세 가지 경우 일 때 자동으로 기물 ... ...
- 결백 프로젝트, 과학수사의 모순을 파고들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잘 작동한다면 비슷한 역할을 하는 조직이 생겨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법과학의 목표인 억울한 사람을 만들지 않기 위해, 법과학은 어떻게 나아가야 할까. 되돌아보면 2009년 DNA가 유일한 법과학의 직접 증거로 채택된 것도 십수년 밖에 되지 않았다. DNA에 대한 꾸준한 연구로 분석 신뢰도를 ... ...
- [디지스트 융복합파트너] 행동 제어 스위치 찾아 뇌질환 치료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뇌 질환 환자의 인지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신경과학적 메커니즘을 찾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물론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다른 신경과학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세포체 표적 캘라이트 기술 역시 침습적 방식을 사용한다. 청색광을 뇌세포에 쏴 신경세포의 활성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뇌에 ... ...
- AI로 디자인의 지평을 넓히다 국민대 AI디자인학과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주 교수는 “한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라 모든 분야의 실무에 능한 인재를 키워내는 것을 목표로 수업을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맞춰 AI디자인학과에서는 실무에 적용 가능한 지식을 폭넓게 배운다. 시각 디자인과 사용자인터페이스(UI), 사용자경험(UX) 기반 디자인 등의 수업은 물론, 통계, ... ...
- 꿀벌 실종도 로봇으로 막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알빈 교수를 비롯한 유럽 공학자들은 로보로열(Roboroyale) 프로젝트를 시작했어요. 이들의 목표는 여왕벌을 돕는 거예요. 여왕벌은 한 벌집에 한 마리만 있는데, 수벌과 교미하며 자손을 번식시키는 역할을 하지요. 알빈 교수팀은 여왕별이 알을 잘 낳도록 먹이를 갖다주는 꿀벌을 로봇으로 만들고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