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도
언론
매스커뮤니케이션
통신
서신
연락
연설
d라이브러리
"
매스컴
"(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제1회 인촌상 학술부문 수상자 이호왕 교수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문제를 우선적으로 다루려는 것이 아니라 외국의 여론에 너무 놀아 나는 것 아니냐"며
매스컴
의 비현실적 외국의존적 경향에 대해 신랄하게 비판한다.우리도 한번 노벨상에 도전해야지 않느냐는 질문에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하고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 다만 노벨상을 받을 만한 업적을 낸 사람, ... ...
영국-프랑스를 해저로 연결 20세기의 대역사 유로터널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은행, 프랑스에서는 3개 은행이 자금협력을 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일본의 자본 참여가
매스컴
에 보도되기도 했다.아뭏든 세기의 대역사는 이제 본격화될 시점에 와있다. 기자가 방문한 도버해안은 백악의 절벽이 병풍처럼 둘러쳐진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나 앞으로 5년반이 지나면 ... ...
전쟁에 동원되는 전자기술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실현된 병기 개발경쟁은 오히려 그 정확성으로 인류를 핵의 공포로 떨게 하고 있다.
매스컴
에 자주 등장하는 다음과 같은 가상 시나리오는 이를 더욱 분명하게 보여준다."핵전쟁이 시작되었을 때 미국 대통령과 그 최고 측근자는 긴급용사령기(NEACP)로 알려진 특별장치를 설치한 보잉74에 탑승한다. ... ...
하이테크시대의 신종병 테크노스트레스의 정체를 살핀다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회사)로 불리는 소규모의 기업군에 속해있어 이합집산이 심하다.
매스컴
에서는 흔히 화려한 부분에만 스포트라이트를 비치지만 실은 그 수면아래에는 거대한 그늘부분이 가로 놓여있다. 그 중의 가장 가혹한것이 과로이다. 사람보다 컴퓨터를 좋아하는 소년들 요즈음의 ... ...
마이크로프로세서 어떻게 응용되나 장난감에서 고속컴퓨터까지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해부하고 이것이 앞으로 영향을 미칠 미래사회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매스컴
이 가세하면서 잠재돼있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무서운 힘이 폭발되기 시작했다. 그중의 대표적인 것이 컴퓨터전문가들의 통념을 뒤바꿔 놓은 것이다. 호프가 마이크로프로세서 개발에 착수했을 당시, 그는 ... ...
최악의 공해에 최소의 대책도 없어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노동자들은 물론이고 국민들에게 석면이 지닌 위험성에 대한 계몽교육을 철저히 시키고
매스컴
들도 이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적극 보도해야 한다. 흡연 자체도 폐암의 원인이 되고 있지만 석면에 노출된 사람이 흡연할 경우는 폐암에 걸릴 확률이 몇십배 더 높아진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무지 ... ...
인공지능의 국내 개발 씨앗은 이미 뿌려졌다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임영환 박사팀에서는 간계질환에 관한 한방진단용 전문가 시스팀을 실험 개발하여 국내
매스컴
의 각광을 받았다. 또한 전화망의 고장을 자동 진단하고 처리를 제안해주는 전문가 시스팀을 망운영 연구실에서 개발하고 있다. 이 연구는 5개년 계획과제로서 올해가 3년차이다. 이 연구과제야말로 ... ...
우주개발에서도「MADE IN JAPAN」시대가 올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부터는 그 추적관제를 타네가시마에서 이어받는 것이다. 츠쿠바우주센터를 일본의
매스컴
은 약간의 수치스러움을 띠고 ‘일본의 휴스턴’이라 부른다. 그러나 AW지는 ‘츠쿠바의 기능은 고더드와 존슨 두 우주센터와 비슷하다’고 리포트하고 있다. 텍사스주 휴스턴의 존슨우주센터는 아폴로나 ... ...
초능력을 군사목적에 쓴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제2군의 대학교수까지 참가했다. 전국에서 모인 특이능력 소년소녀 14명과 그 부형, 교사,
매스컴
관계자를 합친 2백여명이 모여 소년소녀의 실연이 있은뒤 그에 대한 토론을 가졌다.그뒤 중공 각지에서 이 방면에 대한 연구가 왕성했고 연구결과에 대한 보고도 많이 나왔다.'페이킹'사범대학에서는 ... ...
20대 박사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눈에 띄지 않는군요."올해 KAIST에서 25년 7개월이라는 최연소 나이로 박사학위를 취득해,
매스컴
의 스포트라이트를 가장 많이 받았던 김대영박사(화학)의 말 속에서 오늘날의 20대박사들의 갈등은 절정에 이른다.현재 배출되고 있는 20대 국내박사들이 진출하는 곳은 교육기관, 정부출연연구소, 산업체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