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전"(으)로 총 1,900건 검색되었습니다.
- 백남준의 꿈에 전기를 수혈한 작가의 ‘손’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몇 달째 자리잡고 있다. 수리를 위해 독일에서 건너온 작품이었다. 인터뷰 며칠 전에는 대전시립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작품 ‘프랙털 거북선’을 수리하기 위해 출장을 다녀왔다고 한다. 발열이 많아 화재 위험이 있는 작품에 설치할 온도 감지기가 작업대 위에 놓여 있었다. 2006년 백남준 작가가 ... ...
- [진실 혹은 거짓] 우리가 수학만 좋아한다고? 수학자는 평화를 사랑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러셀은 교수로 일하던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갑자기 해고당했어. 그가 제1차 세계대전에 반대했기 때문이야. 하지만 러셀은 평화를 향한 자신의 신념을 굽히지 않았어. 1955년에는 절친한 친구인 알버트 아인슈타인과 함께 핵무기를 폐기하고 과학 기술을 평화를 지키는 데 쓰자는 ‘러셀-아인슈타인 ... ...
- [과학의 달 특집] 무퀴즈 온더 블럭!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일은 나로우주센터가 있는 전남 고흥에 있어요. (신혼이시라고 들었는데….) 출장 마치고 대전 집으로 돌아가는 금요일이 엄청 기다려지죠. 과동 : 누리호 발사가 원래는 올해 2월이었는데 한 차례 늦춰져서 10월이 됐죠. 발사가 자꾸 늦춰지는 이유가 뭔가요? 장환 : 시험을 실패하면 기체나 설비에 ... ...
- 앨런 튜링의 일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자전거를 타고 움직일 때 방독면을 써야 했다. 방독면을 써서 그런지 문득 제 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39년이 떠올랐다. 그때 영국 블레츨리 파크에 있는 정부 암호학교에 영국 최고의 수학자와 암호학자들이 모였다. 독일 암호체계인 ‘에니그마’를 해독하기 위해서다.난 암호해독반 수학 ... ...
- [기획] 경이로운 π 어디까지 알고 있니?수학동아 l2021년 03호
- ‘3월 14일 15시 9분 2초.’ 혹시 ‘파이데이(π-day)’를 알고 있나요? ‘3.141592…’로 무한하게 이어지는 원주율의 소수점 아래 6번째 자릿수까지의 숫자들을 의미하는 날짜와 시 ... 스미스 ‘수학사 가볍게 읽기’, 권현직 ‘조충지가 들려주는 원 1 이야기’, 김용운 ‘수학사대전’ ... ...
- [이달의 수학자] 나라를 구한 수학자,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우연은 아닐 겁니다.그러나 시에르핀스키의 일생에 수학만 있던 것은 아닙니다. 1차 세계대전 이후 일어난 폴란드-소련 전쟁에서 시에르핀스키는 폴란드 육군 암호국 소속으로 소련군의 무선 암호통신을 해독하는 일을 했습니다. 전쟁 기간 그는 동료 수학자들과 약 100여 개의 소련군 암호를 ... ...
- [인터뷰] “신에너지 기술로 살기 좋은 지구를 만들겠습니다” [한글 번역본]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편집자 주디라이브러리에는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제인터뷰 한국어 번역본을 함께 게재합니다. 친환경 에너지 기술을 개발해 깨끗하고 살기 좋은 지구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싶습니다. 2월 5일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UST에서 만난 이먼 라히미페트루디 UST 학생연구원에게서는 고독한 ... ...
- 존 필즈의 일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상금을 얼마나 줄지, 메달에는 어떤 말을 쓸지 등을 정할 예정인데 말이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수학계는 분열됐다. 독일 수학자들과 프랑스, 영국, 미국, 캐나다의 수학자들은 더 이상 활발하게 교류하지 않는다. 안타까운 마음에 1929년, 1930년 여름에 유럽으로 향했다. 거기서 프랑스의 가브리엘 ... ...
- [KAIST 50년] 86학번-21학번 KAIST 캠퍼스 평행이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당시엔 대학원 과정만 있었다. 현재의 KAIST 학부 과정이 된 한국과학기술대학(KIT)은 1986년 대전에서 처음 입학생을 받았다. 같은 장소에서 캠퍼스를 경험한 두 ‘새내기’의 기억을 비교하기 위해 50년 전이 아닌 1986년 첫 학부 과정을 경험한 새내기의 추억을 재구성했다. -86학번 전산학과 학생의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실체가 있는 것이나, 하다못해 수식으로라도 존재하는 것을 다뤘다. 하지만 1월 6일 대전 KAIST 캠퍼스에서 만난 김한라 KAIST 문화기술대학원 연구원의 대답 속 ‘창의성’은 전자와 후자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주제로 보였다.연구실을 이끄는 박주용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는 이 같은 기자의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