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장"(으)로 총 62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매미 연구로 최우수상 탔어요! 매벤져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약충의 구멍 등 매미의 생태를 척척 설명해 줄 정도랍니다. “지구사랑탐사대 탐사대장님이신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도 큰 힘이 되었어요. 사실 처음 저희는 열섬과 온난화, 열대야 같은 현상들이 정확히 어떤 뜻인지 몰라서 헤맸거든요. 그래서 현장교육이나 특별탐사에서 ... ...
- [시사기획] 2019 미세먼지 전망 어디까지 알아냈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때 신장에서도 미세먼지의 0.25%가 발견됐다. 미세먼지가 호흡기관을 거쳐 간과 소장, 대장, 신장, 방광을 거쳐 소변으로 배출되기까지 걸린 시간은 7일 이상이었다. doi:10.1039/c8cc08304e 전 선임연구원은 “미세먼지가 체내에서 어디에 분포하고 어떤 경로를 통해 이동하고 배출되는지 처음으로 ... ...
- Part 3.감마선 별자리, 하늘을 수놓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하늘이 이미 88개의 별자리로 가득 차 있다고? 그러면 헐크나 고질라 같은 새 별자리 친구들은 뭘까? 바로 눈에 보이지 않는 별들로 만들어진 감마선 별자리야! 페르미 망원경, 하늘에 감마선 별자리를 그리다! 지난 10월 18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과학자들이 21개의 새로운 별자리를 만들었 ... ...
- Part 2.지금의 별자리는 누가 정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블랙홀 천체 ‘궁수자리 A*’가 그 예랍니다. ● 미니인터뷰 - 김영진(과학동아천문대 대장) “겨울 밤하늘의 다이아몬드를 찾아보세요!” 겨울은 춥지만, 공기가 건조하고 밝은 별이 많아 별을 관찰하기 가장 좋은 계절이에요. 밝게 빛나는 1등성을 무려 7개나 볼 수 있죠. 겨울밤의 대표적인 ... ...
- Intro. 새로운 별자리가 떴다! 헐크와 고질라가 밤하늘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안녕! 나는 사냥꾼 오리온이야! 1등성을 두 개나 가지고 있는 밝은 별자리로, 발밑의 큰개자리와 함께 겨울 밤하늘을 지키고 있지. 그런데 얼마 전에 새로운 별자리 친구들이 하늘로 이사 온다는 이야기를 들었어. 이름이 헐…크라던가? 고질라, 어린 왕자라는 친구도 온다던데, 어떻게 된 일일까? ... ...
- Part 1.별자리, 누가 왜 만들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잠깐! 내 소개를 할게. 나 오리온은 그리스에서 왔어. 그리스 신화에서도 가장 훌륭하고 용맹한 사냥꾼으로 유명했지. 그런데 그리스 밖에 사는 사람들은 나를 사냥꾼이 아닌 다른 모습으로 봤다고 해. 별자리는 누가, 왜 만든 걸까? 사람들은 문명이 시작되기도 전인 까마득한 옛날부터 밤하늘을 ... ...
- [현장취재]모였다! 어과동 만.찢.독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가 볼까요? 헌터X가 용산에 떴다?!10월 13일 토요일 오후 1시 10분. 어과동 만화 ‘냥이 대장의 별별 천문대’의 허당 스파이 ‘헌터X’가 서울 한복판에 나타났어요. 동아사이언스 사옥 7층까지 단숨에 올라와 카리스마 넘치는 회색 망토를 휘날렸지요. 바로 어과동의 팬파티를 가장 먼저 찾은 이가은 ... ...
- [지구사랑탐사대] 과학자가 되는 방법 大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사용하는 평범한 공책이 아니에요. 과학자들이 쓰는 ‘연구노트’지요. 지구사랑탐사대 대장님이신 장이권 교수님은 과학자들이 왜 연구노트를 쓰는지 설명해 주셨어요.“과학자들은 항상 연구노트를 들고 다니면서 순간적으로 떠오르는 아이디어나 실험 결과 등을 바로 바로 연구노트에 ... ...
- 이그노벨상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게 일반적이지요. 혼자서는 검진할 수 없었던 거예요. 호리우치 박사가 개발한 셀프 대장내시경은 오른손으로 장비를 넣고 왼손으로는 버튼을 눌러 방향을 조작한답니다. ● 동물원에선 침팬지가 사람을 따라할까, 사람이 침팬지를 따라할까? - 가브리엘라 알리나(스웨덴 룬드대학교 ... ...
- [지구사랑탐사대] 뜨거운 도시의 비밀을 밝혀라! 매미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서울숲을 포함해 일산, 대전, 김천, 부산 등 전국 각지의 공원에서 진행되었어요. 지사탐 대장인 이화여자대학교 장이권 교수님과 배윤혁 연구원은 물론, 국립생태원 강재연 연구원도 참여하셨죠.“밤마다 매미가 너무 시끄러워요!”대원의 불평에 강재연 연구원이 "도심이 매미가 살기에 좋은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