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박
반론
반박
논쟁
쟁론
공박
말다툼
d라이브러리
"
논란
"(으)로 총 1,279건 검색되었습니다.
[만화뉴스] 인터넷 속도가 왜 이렇게 느리지?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비슷한 일을 겪은 다른 사람들의 제보도 나왔어요. KT는 사과글을 올리기도 했죠.
논란
이 커지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KT뿐 아니라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의 인터넷 속도도 전부 조사하겠다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 집의 인터넷 속도는 얼마나 될까요? ... ...
에디터토크 2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50쪽 황새 복원 연구 르포? 아무튼 섹션의 다른 기사는?소연: 가습기 살균제·살처분
논란
등. 근데 고미술품에 그려진 소나무 위 흰 새는 학이 아니라 황새다. 황새 둥지는 큰 나무 꼭대기에 있다. 황새는 20세기 초까지 국내에 흔했지만 자연에서 1971년, 동물원에서 1994년 멸종했다. 최근 200여 마리 ... ...
코로나19 등교 찬반 논쟁보다 '안전한 등교' 논의해야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1. 학교 코로나 전파 위험 낮다?“교내 전파는 실제 드물었다” 등교수업 확대
논란
에 불을 지핀 것은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지난해 말 발표한 논문입니다. 등교 재개 기간 동안 소아·청소년의 코로나19 확산이 가장 적은 곳이 학교였다는 분석 결과를 담고 있습니다.정 청장은 한림대 의대 ... ...
AI 윤리│공정성을 보는 세 가지 시선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목적으로 만들어진 특수지능일 뿐이다. 이는 생각보다 중요한 의미가 있다. 우선 최근
논란
이 된 ‘이루다’와 같은 AI가 아무리 성차별적 발언을 한다고 해도, AI는 상식적 의미에서 성차별적 의도나 감정을 갖지 않는다. 실은 성차별을 포함해 자신이 만드는 문장의 의미를 통상적인 의미에서 ... ...
[과학뉴스] 월성원전 삼중수소 검출… 누설 위험성은?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위치한 월성원자력발전소(월성원전)에서 관리 기준을 초과하는 삼중수소(3H)가 검출돼
논란
이 일고 있다. 월성원전 운영사인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의 자체조사 결과, 2019년 4월 월성3호기 터빈건물 지하수 배수로 맨홀에서 1L당 71만 3000Bq(베크렐)의 삼중수소를 검출한 사실이 지난해 12월 말 한 언론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다양한 수업을 시도했다”고 말했다.과학기술정책대학원의 임무는 최근 혐오 표현으로
논란
이 된 인공지능(AI) 챗봇 ‘이루다’ 이슈를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김 교수는 “몇 년 전 영국의 한 로봇연구소에서 개발자들과 AI의 편향성 문제에 관해 논쟁을 벌인 적이 있다”며 “데이터 자체가 ... ...
[과학뉴스] 동성애 혐오한 이루다… 편향 없는 AI는 없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도구 취급을 당하는 한편, 동성애와 장애인, 여성에 대한 차별 발언을 쏟아내 사회적
논란
을 일으켰다. 전문가들은 데이터에는 편향성이 존재할 수밖에 없으므로 AI 개발 과정에서 적절한 장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조성배 연세대 인공지능대학원장(컴퓨터과학과 교수)은 “전 세계 연구자들이 ... ...
[과동프렌즈] 99%를 100%로...과학계 논쟁 해결하는 과학자가 꿈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김 군은 “과학동아에서 기사로 다룬 덕분에 이 사실을 알게 됐다”며 “오랜 시간 동안
논란
의 중심에 있던 문제를 해결했다는 데 크게 감명받았다”고 밝혔다.김 군은 평소에도 오랜 논쟁 끝에 풀린 문제들에 관심이 많았다고 했다. 과학동아는 이런 논쟁의 최전선인 최신 연구 현장을 접할 수 ... ...
[이달의 책] 당신의 표정을 진화로 설명하다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것이 문제였다. 동물의 감정을 인간에 대입할 수 있는지, 동물에게 감정이 있는지에 대한
논란
은 지금도 여전하다. 그럼에도 다윈은 인간의 감정 용어를 그대로 동물에도 투영했다. 이는 그의 동물 관찰 대상이 대부분 반려동물이나 계통적으로 인간에 가까운 종에 국한됐기 때문일 수 있다.감정에 ... ...
[시사과학] 의사들이 병원을 떠난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9호
낮춰준다는 차원에서 진작 추진됐어야 하는 정책이었다”고 의견을 밝혔답니다.
논란
4 의사를 만나지 않고 진료를 받는다? 코로나19 감염병 확산이 커지면서, 지난 2월부터 우리나라는 전화로 의사와 상담하거나 약을 처방받을 수 있도록 ‘비대면 진료’를 임시적으로 허용한 상황이에요.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