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찰"(으)로 총 5,048건 검색되었습니다.
- 좌절된 아이디어는 어떻게 (이그)노벨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항문 주름이 사람마다 천차만별로 다르게 생겼기 때문에, 카메라와 연결된 AI가 항문을 관찰해서 사람을 인식한다는 아이디어였다. 물론 반발이 심했다. 애초에 누가 용변 장면 촬영도 모자라, 항문 주름까지 보여주려 하겠는가? “사람들의 거부감이 심했고, 이에 대한 윤리적 문제도 제기됐죠. ... ...
- [최신 이슈] 넓디넓은 정수장에서 깔따구 찾기, eDNA면 가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확인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기껏해야 1cm 남짓인 유충이 존재하는지 아닌지, 현미경 관찰로만 알아내긴 어렵다. 곽 교수는 “여기에 eDNA 모니터링이 추가된다면 깔따구 유충을 조기에 발견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흔적’만으로 존재 여부 알아내 높은 민감도가 강점 eDNA는 ... ...
- [노벨상 2023] 물리학상 - 100경분의 1초, 아토초로 원자의 이온화 순간을 포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것으로 기대된다. 아토초 펄스를 활용하면 X선에 의해 DNA가 손상되는 아주 짧은 순간까지 관찰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반도체와 같은 전자공학 분야에서도 아토초 펄스를 활용할 수 있다. 매년 반복되는 일이지만, 노벨상이 발표될 때면 한국의 현실을 되돌아 보게 된다. 아고스티니 교수가 ‘문턱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영화 ‘팟 제너레이션’ 인공 자궁으로 아이 낳는 미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보기는 어렵다”고 했습니다. 즉 향후 뇌 발달이나 정서적 성장을 수년에 걸쳐 추적 관찰해야 알 수 있다는 것입니다.학계에서 인공 자궁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 점 중 하나는 아이와 산모의 유대감입니다. 그간 많은 연구를 통해 임신 과정 동안 산모의 뇌 변화가 일어나고, 이는 아이와의 유대감을 ... ...
- [과학사 극장] 파스퇴르는 생명 윤리를 위반 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수은으로 끓여 ‘멸균’ 처리해 플라스크에 넣었음에도 미생물이 자연발생하는 현상을 관찰했다고 보고했다.파스퇴르가 쓴 노트에 따르면, 이듬해 2월경 그는 젖산 발효에 관한 실험을 완료한 후 자신의 발견이 미생물이 공기와 같은 무생물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는 자연발생설과 배치된다는 것을 ... ...
- [지구사랑탐사대] 우리 함께 지켜요! 지구사랑탐사대 제11기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생물을 단순히 보는 게 아니라고 설명했어요. “탐사대원들이 하는 시민과학은 자세히 관찰하고, 살피며 그 생물의 생태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것”이라고 강조했지요. 김정 편집장은 “대원들이 다양한 탐사 데이터를 올려준 덕분에 과학 논문 4편이 출간됐고, ... ...
- [통합과학교과서] 이 구역의 낚시왕! 비결은 ‘편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관측한 영상을 활용하면 달 뒷면의 편광 지도를 만들 수 있어요. 지구에서는 달 뒷면을 관찰할 수 없어, 지금까지 망원경으로 달의 앞면만 편광 관측을 할 수 있었어요. 그런데 폴캠을 달고 있는 다누리는 달의 뒷면도 관측하기 때문에 달 뒷면의 편광 지도를 만드는 것도 가능하답니다. # ... ...
- [기획] 왜 기분 좋아질까? 음악과 뇌에 대한 궁금증 4과학동아 l2023년 10호
- 868 연구팀은 문화에 관계없이 보편적인 음악의 특성을 발견했다. 우선 음악은 연구팀이 관찰한 모든 사회에 존재했다. 그리고 사회 내에서 대개 자장가, 춤, 사랑, 치유 등 비슷한 목적을 갖고 있었다. 나아가, 음역대나 템포를 분석하면 어떤 노래가 자장가인지, 춤 노래인지 그 목적도 파악할 수 ... ...
- [메타버스 여행법] 제페토, 아바타를 아이돌처럼 커스텀 해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커스텀 방식을 함께 알아봅시다. 유명인 커스텀을 하려면, 우선 유명인의 얼굴을 관찰해야 해요. 가끔 어떤 사람의 얼굴이 특정 연예인과 닮았다는 생각을 할 때가 있습니다. 닮은 이유를 생각해 보면, 얼굴 전체가 똑같아서가 아니에요. 그 사람의 얼굴 중 한 부분이 연예인과 비슷하면,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최초로 살아 돌아온 쥐가 들고 온 단서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이번이 처음이에요. 덕분에 연구팀은 출발 전과 귀환 후 쥐의 신체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죠. 미국 포사이스연구소 스 원위안 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는 우주 비행사의 뼛속 칼슘이 줄어드는 것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골다골증과 같은 질환 치료의 단서가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