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이드"(으)로 총 368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건강한 전통? 생존의 문화? 흙 먹는 ‘토식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건 토식증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며 “현재 토식증에 대한 아무런 가이드라인이 없다. 향후 정책을 통해 흙 섭취를 반드시 줄이게 해야 한다”고 밝혔다.+ 더 읽을거리Susan Allport, The Journal of Critical Food Studies, Vol.2 No.2, Spring 2002Lena HuebI et a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교수(천일염연구센터장)는 당시를 떠올리며 이렇게 말했다. NAM은 2005년 나트륨 저감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면서 하루에 5.8g 이하로 소금 섭취량을 줄이는 게 건강에 좋다고 권고했다. 하지만 2000년대 후반부터 소금을 적게 섭취하는 것이 많이 먹는 것만큼 건강에 해롭다는 연구 결과들이 속속 ... ...
- [포커스 뉴스] 원로의사 vs 닥터왓슨 환자들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는 지난해 12월 29일 의료용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적용한 의료기기에 대한 허가 심사 가이드라인 초안을 발표했다. 식약처는 초안에서 문헌검색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기기는 의료기기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왓슨이 여기에 해당될지, 혹은 최종적으로 의료기기에 포함될 것인지 주목된다 ... ...
- [2017 모집] 지구사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국립농업과학원 소속 생태학자와 함께하는 현장교육 무료 제공탐사물품 제공가이드북, 온라인 탐사대원증 등(정기구독자 한정)인증서 발급생명다양성재단 인증서 발급(수료 탐사대원 기준)여름 캠프온가족이 함께하는 지사탐 여름 캠프 참여 기회 제공생태 포트폴리오포트폴리오로 활용할 수 ... ...
- [Editor’s Note] Future & Origin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과학의 흐름을 빠르게 따라갈 수 있습니다.2. 깊은 내용을 위한 ‘더 읽을거리’ 가이드 : 과학동아는 이미 2016년부터 기사의 주요 연구 내용을 찾아볼 수 있도록 원문 정보를 제공했습니다. 여기에 더해, 매 기사 끝에 관련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추가 추천 자료를 표시했습니다. 담당 기자들이 ... ...
- [Issue] 100만 군중 안전하게 대피하려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높은 초기 골든 타임에는, 진행을 가로막는 장애물로서의 단점보다 대피로로 안내해주는 가이드로서의 장점이 더 크게 작용한다”며 “100만 명 이상이 모인 집회인 만큼 차벽을 적절히 설치하고 유도등과 같은 안전대비 장치를 하면 초기 대피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을것”이라고 조언했습니다 ... ...
- Part 1. 우주는 쓰레기 천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시작했고, 이에 여러 나라들은 서둘러서 우주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우주파편 경감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 쓰레기 청소 대작전Part 1. 우주는 쓰레기 천지?Part 2. 작고 무시무시한 우주쓰레기!Part 3. 우주쓰레기를 해결하라 ... ...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대한에이즈학회 프렙 지침 개발위원회는 WHO의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국내 프렙 가이드라인’을 준비해 11월 25일에 열리는 추계학술대회에서 토론할 예정이다. 물론 프렙의 HIV 감염 예방 효과가 100%가 아니기 때문에 콘돔 등 다른 예방법을 반드시 병행해야 한다. HIV를 전파하는 또 하나의 위험은 ... ...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지구가 지금의 지구인 데는 이유가 있다. 수많은 천체와 힘겨루기를 한 결과다. 액체 물로 된 바다, 생명력을 주는 바람과 비, 발 딛고 설 단단한 토양 등 지구가 원래 가진 속성이라기보다 우주라는 네트워크가 만든 우연한 결과다. 만약 우주를 이루는 요소 중 하나가 갑자기 사라지면 그 이후 지구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밖으로 나온다. 그런 뒤 다이서(Dicer)라는 가수분해효소에 의해 두 개로 잘린다. 둘 중 가이드RNA라 불리는 조각은 리스크(RNA Induced Silencing Complex·RISC)라는 효소 복합체와 결합해 세포질을 떠다니는데,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가지고 있는 mRNA를 만나면 RISC의 도움을 받아 달라붙는다. mRNA 입장에서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