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함대
수군
해군대학
대학
해군사관
사관
해군신호
d라이브러리
"
해군
"(으)로 총 31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대포 제안자 쥘 베른 탄생 1백75주년
과학동아
l
200302
이름은 캐나다 과학자 제럴드 불 박사. 대포 설계의 천재인 불 박사는 캐나다와 미국
해군
에서 예산과 장비를 마련, 대포로 과학적·군사적 목적의 화물을 궤도에 진입시키기 위한 계획인 ‘고고도 연구프로젝트’(HARP)를 1960년대에 진행했다. 캐나다의 바르바도스섬에 구경 16인치 군함용 대포를 ... ...
이라크전에 등장 예고된 전자기파 펄스 무기
과학동아
l
200302
밀수선의 속력을 늦춰 마약 밀수업자들을 체포하기 위해 미국에서 고안됐다. 그동안 미
해군
과 연안 경비대는 마약 밀수업자가 유유히 도망치는 것을 눈앞에서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연안 경비대의 추격선은 35노트(시속 65km)까지 속력을 낼 수 있지만 마약 운반선의 속력은 40노트에 이르기 ... ...
뇌의 '신호전달 접속장치'가 고장날 때
과학동아
l
200212
그 크기는 물체 주위의 유체로 바꾸어 놓을 때, 거기에 작용하는 중력과 같다 프랑스
해군
소속의 최신예 심해조사선 프랑스 발음으로는 아르시메드이다 길이 213m, 너비 4m, 높이 78m로 수중 속도는 시속 2~38kt, 승무원은 3명이다 이 잠수정의 동력원은 축전지(蓄電池)를 사용하며 세계에서 가장 갚은 곳( ... ...
버뮤다 삼각지대 비밀 푸는 열쇠
과학동아
l
200212
물에 떠있는 물체를 가라앉힐 수 있다는 대단히 고무적인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해군
대학원의 브루스 디나르도 교수는 “작은 기포가 큰 배를 침몰시킬 수도 있다”고 주장하면서 “물 속에 많은 기포가 생기면 물의 밀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물 위에 떠있던 물체가 갑자기 가라앉을 수 ... ...
최초의 핵실험에서 핵무기 금지협상까지
과학동아
l
200211
섬광1946년 태평양의 산호섬인 비키니에서 미
해군
의 원자폭탄 실험이 이뤄졌다. 이때 미
해군
은 서로 다른 핵분열 물질들을 조합해 실험했다. 이는 옛소련보다 10년이나 앞선 것이었다.1940년대에 물리학자 에드워드 텔러는 태양이 수소와 헬륨의 핵반응에 의해 에너지를 발생시킨다는 점을 밝혀냈다 ... ...
미
해군
의 음파탐지기는 해양 동물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09
고래를 비롯한 다른 해양 동물들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하지만 미
해군
측은 새로운 음파탐지기 시험 결과 해양 동물들에게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주장한다.염료분자와 크롬 등 금속이온이 착염의 형태로 결합된 가용성(可溶性) 아조염료 보통 금속착염 ... ...
고래 집단자살은
해군
음파탐지기 탓
과학동아
l
200209
미칠 파장에 대해서 매우 염려하고 있다. 아직까지 별다른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미
해군
과 환경단체들에 대해 앞으로 법원의 판결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 ...
서해교전 침몰고속정 떠오르다
과학동아
l
200209
침몰된 고속정은 수중 가시거리가 1-2m에 불과한 해역에 침몰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군
은 당초 인양에 두달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했으나, 기상조건이 좋았고 고속정이 뒤집히거나 기울어져 있지 않아서 작업이 예상보다 쉬웠다고 밝혔다. 서해교전 침몰 고속정의 인양 절차를 살펴보자 ... ...
9백년 잠에서 깨어난 고려청자
과학동아
l
200208
해난구조대 소속 전문다이버요원들이 수중에서 유물을 건져 올리는 식으로 진행됐다.
해군
다이버들은 평택함에서 장비를 모두 차린 뒤 정조 시간을 이용해 2인 1조의 두개조씩 보트를 타고 현장에 접근해 인양 작업을 했다. 이들은 사각형의 그물망을 들고 들어가 거기에 청자를 담은 뒤 들어 ... ...
왜 세계 해양학자들이 동해를 찾아올까
과학동아
l
200208
추진했던 부정기적 동해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불행히도 국내에서는 아직껏 미
해군
이 크림스 II에서 보여준 것 같은 대규모 동해연구 지원체계는 찾아보기 힘들었다.다행히도 크림스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서울대 해양순환계연구실(김경렬, 김구 교수)이 5년 지원의 국가지정연구실로 선정됐다.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