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어
한국어
한국말
d라이브러리
"
조선말
"(으)로 총 590건 검색되었습니다.
상상력이 이끌어온 반도체 과학
과학동아
l
201005
“도체 안에는 무수히 많은 전자가 있고, 그들은 태생적으로 플러스극 방향으로 움직이며 전류를 발생시킵니다. 마치 물이 흐르듯이 말이죠. 하지만 반도체는 말 그대로 전기가 반쯤 통하는 물질입니다. 신이 그렇게 만든 것일 수도 있고, 자연이 그렇게 만든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 ...
신비로운 구름, 오색 채운
과학동아
l
201005
하루는 (양소유가) 한림원에서 난간에 지어 붙인 글귀를 읊으며 달을 구경하는데, 갑자기 바람결에 퉁소 소리가 들리거늘 하인을 불러 말하였다. “이 소리가 어디서 나느냐?” 하인이 말하였다. “확실히는 모르겠지만 달이 밝고 바람이 순하면 때때로 들립니다.” 한림(양소유)이 손 안에 백옥 ... ...
죽음과 맞바꾸는 치명적인 맛 황복
과학동아
l
201005
큰그림 보러가기올해는 유난히 봄이 늦다. 꽃소식도 덩달아 늦어진다. 그러나 흐르는 시간은 막을 수 없다. 산수유와 개나리꽃이 피고 목련과 벚꽃이 꽃망울을 터뜨리면 사람들은 너도나도 카메라를 챙겨들고 야외로 나선다. 그런데 꽃 중에서도 유독 복사꽃이 피기만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있다. ... ...
알록달록 전통매듭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4
새 소리조차 들리지 않는 어느 고요한 오후였어. 하늘은 살짝 흐렸고, 피부에 얼음을 댄 것처럼 추운 날이었지. 따뜻한 코코아 한 잔이 생각날 때쯤 우리는 이 곳을 찾았어. 여긴 도시 한가운데에 있는 기와집. 대문 하나만 지났을 뿐인데 마치 조선시대에 들어온 것만 같았어. 이쪽 방문을 한번 열어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과학동아
l
201002
“지천년 견오백(紙千年 絹五百)”이라는 말이 있다. ‘종이는 천 년을 가고 비단은 오백 년을 간다’는 의미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는 1200년 전에 만들어진 종이 인쇄물이 발굴됐다. 바로 1966년에 경주 불국사 석가탑을 보수하기 위해 해체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 ... ...
과학으로 디자인한 우리 옷
과학동아
l
201002
“조선인의 의복은 실용적이지 못하다. 겨울 추 위가 매서운 나라에서 베옷을 입는가 하면, 사 막도 없는데 아랍인들처럼 흰옷을 입는다. 겉옷은 거미줄만큼이나 연한 쐐기풀 섬유로 짠 두루마기 를 입는다. 남자들은 말총이나 대나무로 된 아주 불 편한 망건 속에 상투를 밀어 넣으며 그 위에 값비 ... ...
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1001
한반도는 예로부터 호랑이가 많이 산다 해서‘호랑이의 나라’로 불렸다. 선사시대 생활 풍습이 담겨 있는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함정에 빠진 호랑이, 새끼를 밴 호랑이 등 총 14마리의 호랑이가 등장한다. 호랑이는 그만큼 많았고 우리 조상들에게 친숙한 동물이었다.한반도에 호랑이가 ... ...
아귀 땀 뻘뻘 흘리며 먹는 한겨울 제맛 아귀
과학동아
l
201001
칼바람이 살을 에듯 옷깃을 파고드는 겨울이다. 그러나 춥다고 마냥 몸을 움츠리고 있으면 마음조차 움츠러드는 법! 이런 때일수록 집안에 틀어박혀 있을 것이 아니라 밖으로 뛰쳐나가야 한다. 긴 겨울을 동면하듯 지내기엔 보고 즐길 것이 너무 많다. 스키나 보드를 타도 좋고, 입김을 내뿜으며 산 ... ...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01
전북 진안의 명소 마이산은 볼록 솟은 두 개의 바위 봉우리로 유명하다. 바위 봉우리는 눈이 쌓이지 않고 먹물을 찍은 붓끝처럼 보인다 해서 겨울철에는 문필봉(文筆峰)으로 불리기도 한다. 수많은 작은 돌로 쌓아올린 마이산 탑은 산을 찾는 이들에게 묘한 신비감을 던진다. 특히 겨울철에는 신비 ... ...
전통 수학의 발자취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01
흔히 서양의 중세를 문화의 암흑기라고 부른다. 고대 그리스 로마 문명의 찬란한 학문적 성과와 문화적 전통이 이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중세에 잠자던 그리스문명을 이어와 서유럽의 번영을 가져오기까지 이슬람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서기 7세기 이후 500년 동안 이슬람은 고대 그리스의 과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