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온도계"(으)로 총 169건 검색되었습니다.
- 1. 소화효과 각양각색과학동아 l199608
- 나왔다. 실험재료(기구) 비커, 스포이드, 메스피펫, 알코올램프, 삼발이, 석면그물, 성냥, 온도계, 유리막대, 약지, 전자 거울, 메스실린더 등(시약)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여러가지 소화제를 구했다.●알약: 생록원, 제스탄, 베아제, 아진탈, 베스타제●물약: 생록천, 속청, 생단액, 가스활명수-큐, ... ...
- 1. 대기과학 장기 일기예보가 불가능한 이유과학동아 l199605
- 장기적인 예측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해냈다.에드워드 로렌츠는 어릴 적부터 집에 온도계를 걸어놓고 매일 최고기온과 최저기온을 기록할 만큼 기상광이었다. 또 수학퍼즐을 푸는 것도 주요한 취미였다. 제 2차 세계대전이 일어났을 때 그는 기상예보관으로 활약하면서 기상예측에 대한 흥미를 갖게 ... ...
- 건전지 손목시계부터 우주왕복선까지과학동아 l199605
- 이 열이 건전지에 얇게 도포돼 있는 열변색성 색소의 색깔은 변화된다. 듀라셀의 제품은 온도계처럼 생겼고 에버레디의 것은 25%이상 용량이 남아 있으면 'Good'd이라는 글자가 나타난다. 가격은 종전의 것과 같다.재충전 가능한 슈퍼에너지초경량·초소량이 목표 전지기술은 획기적인 성능향상이 ... ...
- 2 온도·습도-쾌·불쾌의 가늠자과학동아 l199511
- 다양한 형태의 온열환경지표들이 제안됐다. 여기에는 물리적인 측정에 기초한 지표(온도계에 의한 측정), 주관적인 경험에 기초한 지표(실효온도 및 불쾌지수), 인간의 열평형에 근거한 지표(신실효온도 및 PMV지표)등이 있는데 이중 쾌적성에 관한 지표로는 인간의 열평형에 근거한 지표들이 널리 ... ...
- 3. 짝짓기 선택 암컷의 특권이라는데…과학동아 l199412
- 수컷의 장식은 건강과 힘, 개체의 유전적 적응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어린이 입에 물린 온도계에 비유될 수 있다는 설이다. 이 설은 1975년 이스라엘 텔아비브 대학의 행동학자 아모츠 자하비(Amotz Zahavi)의 '장애설'(handicap theory)로까지 극단적으로 진화했다.그는 공작을 대상으로 설명하며 장식꼬리는 ... ...
- 최대규모 열수 플룸, 태평양 동쪽 바다서 발견과학동아 l199405
- 시행됐다(지도내의 동그라미). 이 부근의 해양저 확대속도는 1년에 15-20㎝로 세계 최고속, 온도계와 탁도계, 미량금속분석 등이 동원된 조사결과에 따르면 관측해역의 70% 이상이 거대한 열수플룸으로 뒤덮여 있는 것이 발견됐다. 일반 해역의 수준은 30% 이므로 이 해역에서의 열수활동은 대단히 ... ...
- 지구온난화현상 해명 위한 획기적 방법 등장과학동아 l199309
- 땅속에 남게 되는 것이다. 이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땅속에 깊은 구멍을 뚫은 뒤에 고감도 온도계로 표면부터 순서대로 온도를 재 나가면 된다.실제로 기온이 그대로 지표면 온도에 반영되는 사막지대에서는 구명안의 온도가 과거의 기온을 잘 기억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단, 일반지역의 경우 ... ...
- 물리- 분자운동 활발할수록 물체는 뜨겁다과학동아 l199308
- 올라가기 때문에 4℃ 보다 높은 온도와 낮은 온도의 눈금이 겹치게 된다. 따라서 물은 온도계로 쓸 수 없다.쉽게 달아오른 냄비가 쉽게 식는다열량이라는 것은 실제로 어떠한 물질의 양이 아니고 물체를 이루는 분자들의 운동에너지의 총합을 말하는 추상적인 양이다. 따라서 열량은 분자들이 활발히 ... ...
- 악어와 거북은 온도따라 성(性)이 결정된다과학동아 l199203
- 예를 들면 미시시피악어는 풀더미를 만들어 놓고 그 속에 알을 낳는다. 그 풀더미에 온도계를 꽂아놓고 부란온도를 측정, 부화 직전에 둥우리를 부수고 각 알의 위치와 가운데 배의 성을 조사했다. 그 결과 연못처럼 습한 곳에 위치한 둥우리에서는 암컷이, 건조한 땅에 지은 둥우리에서는 대부분 ... ...
- 화산활동의 생생한 흔적 확인해과학동아 l199109
- 단열팽창론과 기압경도차론이 서로 맞서고 있군요. 그런데 체감온도말고 실제로 우리가 온도계로 풍혈입구의 온도를 재보지 못했으니 이 얘기도 추후 연구과제로 돌립시다.장지달 이제 마무리를 지어야할 때인 것 같으니 그동안의 제 소감을 말해보죠. 제가 대학에서 지구과학을 배운 지는 이미 3 ... ...
이전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