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호출
소환
소집
외침
d라이브러리
"
부르기
"(으)로 총 405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몸 안에 수학 있다
수학동아
l
201003
여긴 적이 있는 반면, 요즘처럼 이목구비가 뚜렷하고 갸름한 얼굴을 미인이라고
부르기
도 한다. 하지만 변하지 않는 아름다움의 비율이 있다. 바로 아름답고 소중한 비율이란뜻의 황금비다.선분 AB를 긴 쪽(AG)과 짧은 쪽(GB) 두 부분으로 나눌 때 AB와 AG의 비율과 AG와 GB의 비율을 같게 하는 점은 한 ... ...
[hot issue] 한반도 폭설과 한파
과학동아
l
201002
부른다.일본에서는 ‘비슷하다’라는 뜻의 ‘모도키’를 붙여 ‘엘니뇨 모도키’라고
부르기
도 한다.전형적인 엘니뇨에선 북태평양 고기압과 같은 아열대고기압이 강화된다. 하지만 중태평양 엘니뇨가 발생하자 필리핀 동부에 고기압이 발달했다. 고기압대가 서쪽으로 다소 이동한 것. 이 때문에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과학동아
l
201002
그래서 예전에는 한지를 ‘사람 손이 백 번 가야 완성된다’는 의미의 ‘백지(百紙)’라
부르기
도 했다. 그만큼 한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정성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한지는 닥나무, 뽕나무 등 천연 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자연이 주는 질감이 살아 있고, 사람이 일일이 모든 공정을 다 ... ...
아귀 땀 뻘뻘 흘리며 먹는 한겨울 제맛 아귀
과학동아
l
201001
하고 있다. 실제로 유럽이나 미국 등지에서는 아귀를 ‘악마의 물고기(devil fish)’라고
부르기
도 한다. 몸통에 비해서 큰 머리는 위에서 짓눌린 것처럼 넓고, 허리와 꼬리가 짧은데다 입은 매우 커서 몸통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입속에는 날카로운 이빨이 세 줄로 늘어 있어 한번 붙잡은 먹이는 절대로 ... ...
정신줄 놓다 에 대한 3가지 고찰
과학동아
l
201001
서로 기능적으로 연결돼 있어 일부 학자들은 이를 ‘내정 상태 회로(default mode network)’라
부르기
도 한다.과학자들은 이 상태의 기능에 대해 다양한 가설을 제시하고 있다. 하나는 파수꾼 역할이라 해서 주위 자극을 감시하고 예상되는 변화를 감지하는 기능이다. 다른 가설은 방대한 자극에서 해방된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01
500m 정도로 낮고 평평한 모습을 하고 있다. 땅의 생김새가 책상처럼 생겨서 ‘탁상지’로
부르기
도 한다. 우리 일행이 택한 도로 이름도 ‘테이블 랜드 로드’였다. 평평한 고원이 끝없이 펼쳐졌다. 산 전체는 일부러 가꾼 게 아닌가 착각할 정도로 수많은 바오밥 나무로 가득했다.사막 깊숙이 ... ...
탄생 130주년 따스한 백열전구 역사 속으로
과학동아
l
200912
나서 불이 꺼지거나 소음이 발생했다. 그래서 당시 사람들은 전등을 ‘건달불’이라고
부르기
도 했다.이런 우여곡절에도 불구하고 궁궐 내의 전등 사업은 계속돼 1903년에는 마침내 경운궁에 자가 발전소가 들어서고 궁 안에 900개의 백열전구가 밝혀졌다. 한편 1900년 4월에는 한미 합작회사인 ... ...
알싸한 겨울철 별미 홍어
과학동아
l
200912
‘간잠어(間簪魚)’라고 부르고 있기 때문이다. 편의상 앞으로 참홍어를 홍어라고
부르기
로 한다.수놈이 암놈 따라 잡히는 이유‘현산어보’의 저자 정약전은 흑산도에서 오랫동안 유배생활을 했다. 홍어의 본고장에 살았던 그가 홍어에 대한 기록을 남기지 않았을 리 없다. 다음은 그가 남긴 ... ...
수학을 알면 음악이 즐겁다.
수학동아
l
200912
는 으뜸음이 C이기 때문에 C장조의 으뜸화음이 된다. 이 화음을 음악에서 보통 C 코드라고
부르기
때문에 C음과 혼동돼 음악이론이 매우 어렵게 느껴진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보통 음을 스칼라로, 코드는 벡터로 기술해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보려고 한다. 예를 들어 C 코드는 굵은 고딕 ‘C’로 ... ...
용궁 긴급회의 바다의 사막화를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1
때는 자주색을 띠고 죽으면 흰색이 되어 바위를 하얗게 뒤덮기 때문에 ‘백화현상’이라
부르기
도 하옵니다. 바다 속이 하얗게 덮인 사막처럼 되지요.바다 사막화의 진행 과정❶ 미역이나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가 크게 감소한다.❷ 해조류 대신 민산호말이 늘어나 암석이 자주색을 띤다.❸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