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d라이브러리
"
먹이
"(으)로 총 1,61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라진 제비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7
짓기 어려워진 거예요. 게다가 그나마 남은 농경지에서도 농약을 사용하면서 제비의
먹이
가 되는 곤충이 줄어들었고요.하지만 아직 제비가 줄어든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어요. 우리나라 환경이 변한 탓도 있겠지만, 제비가 겨울을 나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환경이 바뀐 탓일 수도 있거든요 ... ...
[기자단 소식] 일본 최고의 동물원 아사히야마 동물원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6
더러워서 하마를 찾는 것조차 어려웠는데 말이죠.우리나라 동물원은 염소나 양에게
먹이
를 주는 체험이 거의 전부입니다. 그런데 아사히야마 동물원은 새끼 기니피그를 어린이들이 직접 안고 꽤 오랜 시간 동안 쓰다듬어 줄 수 있는 체험이 있어서 매우 좋았습니다.우리나라의 동물원들도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
과학동아
l
201606
가능성도 있다는 뜻이다.한 가지 더. 그렇다면 파충류는 어떤 꿈을 꿀까. 맛있는
먹이
를 먹는 꿈? 아니면 따뜻한 햇살 아래서 일광욕을 즐기고 있는 꿈? 아직은 알 수 없다. 하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파충류의 뇌가 우리의 뇌와 생각 이상으로 비슷하다는 사실이다. 더 나아가, 만약 도마뱀이 꿈을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06
/+) 행동은 ‘상리적(mutually beneficial)’인 행동이다. 예를 들어 침팬지는 여럿이 힘을 합쳐
먹이
를 사냥한 다음에 획득한 음식을 나눠 먹는다. 둘째, 당사자의 적합도를 높이면서 상대방의 적합도를 낮추는(+/-) 행동은 ‘이기적(selfish)’인 행동이다. 셋째, 당사자의 적합도를 낮추면서 상대방의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
과학동아
l
201606
은성은 겁에 질려 있었고 화연은 화가 잔뜩 나있었다. 남자는 사정하고 애걸하고 울
먹이
다가 슬슬 화를 내기 시작했다.더 이상 지켜만 보고 있을 수 없었다. 윤정은 가게 안으로 들어갔다.윤정이 들어오자 안의 두 여자들은 조금 안심한 것 같았다. 하지만 남자에겐 윤정 따위는 보이지도 않는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
과학동아
l
201606
계속해서 새로운 도전자들을 상대로 치열하게 방어전을 펼치고 있는 위대한 존재다.
먹이
를 둘러싼 이들의 고도의 차별화 전략은, 오늘날 자신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총성 없는 전쟁을 벌이는 우리 인간에게도 훌륭한 귀감이 된다 ... ...
[Knowledge] 당신은 오늘 몇 발자국의 질소를 남겼나요?
과학동아
l
201605
배기가스 등에서 나온다. 토양에서 강과 바다로 유출된 질산성질소(NO3-)는 조류의
먹이
가 돼 녹조현상을 일으킨다. 질산성질소는 암모니아와 더불어 미세먼지의 주요 구성 성분이기도 하다.1995년부터 2005년까지 10년 동안 전세계 단위면적 당 질소화합물 배출량은 156t에서 185t으로 18.6%나 증가했다. 20 ... ...
[과학뉴스] 개미가 ‘군기’ 잡는 방법
과학동아
l
201605
일개미들 사이에 지배권을 확립하기 위한 행동이 관찰된다. 지배권을 획득한 개미는
먹이
자원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재생산을 위한 행동도 할 수 있다.연구팀은 개미가 이를 위해 세 가지 행동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먼저 한 개미가 다른 개미의 머리를 깨무는 ‘물기(Biting)’ 행동이다. 무는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
과학동아
l
201605
몸속에 지니고 있는데, 생명 활동이 정지되는 순간부터 이 박테리아들은 우리 몸을
먹이
로 삼는다. 체온이 낮아지고 면역 체계가 제 기능을 못하면서 우리 몸이 더 이상 박테리아의 활동을 제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장과 같이 평상시에 박테리아가 많이 모여 있는 부위는 그렇지 않은 부위보다 부패 ... ...
[숲이야기] 두 생물이 합쳐 강해진 지의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5
아주 중요한 생물이랍니다. 다른 식물이 자라지 못하는 겨울 동안 순록이 먹는 유일한
먹이
가 바로 지의류이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툰드라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지의류를 ‘순록이끼’라고 불러요.지의류는 빵과 샐러드를 만드는 데 쓰이기도 해요. 특히 전쟁 중에는 중요한 식량이었지요.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