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47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406
될 것이다.현재의 관측 기술로 외계 위성을 발견하는 일은 쉽지 않다. 하지만 더 좋은
망원경
은 계속 만들어지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 외계행성이나 위성의 대기 성분은 물 론, 위성이 행성을 가리는 모습까지 정밀하게 관측할 날 이 올 것이다. 밝기 변화를 통해 표면 구조도 알아낼 것 이다. 외계 ... ...
암흑물질이 공룡 멸종시켰다?
과학동아
l
201406
미칠 정도로 밀도가 높지 않다고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랜들 교수팀은 페르미우주
망원경
을 이용해 관찰한 결과, 은하면을 중심으로 두께 35광년의 밀도가 높은 암흑물질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가로 세로 높이 1광년의 공간에 태양하나 질량의 암흑물질이 있는 밀도로, 혜성의 궤도를 바꾸기에 ... ...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
과학동아
l
201406
연구팀의 관측결과에 대한 반론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빠르면 10월에 이번 플랑크우주
망원경
관측 데이터에서 빠진 영역이 메꿔질 때까지 이 논란은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 그 때까지 우주의 탄생 이전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우주의 발자취를 두 권의 책을 통해 더듬어 보는 것은 어떨까 ...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
과학동아
l
201406
스콧 셰퍼드 연구원이 발견했다. 대부분의 다른 불규칙위성처럼 매우 작고 멀어서,
망원경
으로 봐도 점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저 먼 곳에서도 행성 주위를 돈다는 사실이 인상적이다.한국천문연구원 토비아스 힌제 박사는 “규칙위성은 행 성 주위를 도는 원반에서 만들어진다”며 “별이 ... ...
‘중력파’ 검출 바이셉2 연구, 사실은 잡음?
과학동아
l
201406
흔적이 진짜 흔적이 아닐 가능성이 커지는 것”이라 설명했다.6일 발표된 플랑크우주
망원경
의 관측 데이터에서 빠진 영역은 이르면 올해 10월 완성된다. 연구의 최종 성공 여부는 그 때 확실해질 것이다 ... ...
우주 급팽창 첫 증거 발견, 그 이후 - 초끈이론이 흔들린다?
과학동아
l
201405
이에 따르면 우주의 급팽창은 약 10-37 초에 일어났다는 결론이 나온다. [남극에서 케크
망원경
(KECK)으로 바이셉2의 결과에 대한 검증 실험을 진행 중이다.]그렇다면 바이셉2가 정말 우주의 급팽창을 실험적으로 관측한 것일까? 엄밀한 의미에서 바이셉2가 관측한 것은 빛의 원형편광이다. 원형편광은 ... ...
수증기 내뿜는 ‘화난 소행성’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5
소행성이 발견됐어요.NASA(미국항공우주국)와 ESA(유럽우주기구) 과학자들은 허셜우주
망원경
으로 소행성 세레스가 수증기를 내뿜는 현상을 발견했어요. 과학자들은 세레스에서 수증기가 뿜어 나오는 현상이 이 소행성에 물과 얼음이 존재한다는 확실한 증거라고 생각하고 있어요.세레스는 화성과 ... ...
Part 3. 잡음없이 깨끗한 중력파를 발견하라!
과학동아
l
201404
B-모드 편광성분을 찾아낸 것이다. 연구팀은 남극에서 바이셉2라는 전파
망원경
을 이용해 하늘 전체의 약 1∼5˚(보름달 지름의 2∼10배 정도 되는 범위)에 이르는 부분을 관측했다. 초전도현상을 이용하는 극정밀 탐지기 512개를 동원해서 2010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측정한 데이터를 분석했다. ... ...
태양보다 100억 배 거대한 블랙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4
X선을 내뱉지요. 과학자들은 이런 물질들이 내뱉는 X선을 찬드라 우주
망원경
과 허블우주
망원경
으로 관측해 이 블랙홀을 찾았어요. 놀랍게도 이 블랙홀은 지구에서부터 약 39억 광년이나 떨어져 있는 은하단 RX J1532에 속해 있답니다 ... ...
Part 2. 은하와 생명의 진정한 기원 드러나
과학동아
l
201404
떠다니고 있다. 이를 우주배경복사 혹은 우주마이크로 배경복사라고 부른다. 우리는 전파
망원경
등 각종 장비로 우주배경복사를 찍어서 우주의 역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빛이 ‘출산’된 이후에는 우주가 커가는 걸 찍은 사진이 많은 셈이다.우주배경복사의 신기한 점은 어느 방향에서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