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매개물
매질
매체
전도체
d라이브러리
"
도체
"(으)로 총 243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메모리 칩 제조하는 나노과학
과학동아
l
200203
있다.하지만 전자의 스핀 성질은 메모리 분야에서 좀더 관심을 받고 있으며, 대다수 반
도체
기업이 이에 대해 연구중이다. 전자의 스핀 성질을 이용한 메모리를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이라고 하는데, 이 메모리는 현재 개발된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의 장점만을 모아놓은 격이다. DRAM의 고집적 ... ...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02
않았던 비자성
도체
가 초전도성을 띠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비자성
도체
에 속하는 물질 중에서 초전도성이 발견되지 않는 물질이 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귀금속의 대표인 금이다. 앞으로 더 온도를 낮춘다면 금에서도 초전도성이 발견되지 않을까.우리나라에서 극저온 연구는 ... ...
국내 연구진 탄소나노튜브 위치제어 성공
과학동아
l
200112
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단의 이조원 박사는 “앞으로 10년 정도 지나면 탄소나노튜브 반
도체
소자가 실질적인 제품에 이용될 것”으로 내다봤다.최박사의 연구는 과학기술부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 중 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단의 과제에 속한다. 이로써 국가나노기술개발 사업이 본 궤도에 ... ...
최고의 정보고속도로 펼치는 통신망 구현
과학동아
l
200111
수 있다. 또한 광섬유는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부
도체
이기 때문에 전기가
도체
에 흐를때 표면에서 발생하는 손실 현상이 없어진다.이러한 광섬유의 장점을 살리면 음성 데이터와 대용량 디지털 비디오 등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전송서비스를 효율적으로 펼칠 수 있다. 광통신이 미래에 가장 ... ...
1 탄생 : 원자 주무르는 초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110
하지만 최초의 원자현미경인 STM은 탐침과 시료 사이에 전류가 흘러야 하기 때문에 부
도체
인 시료는 영상을 얻을 수 없다. 이같은 이유로 1987년 또다른 SPM이 개발되기에 이른다. 이때도 비니히가 큰 역할을 했다.비니히는 1987년 미국 스탠포드대에서 방문 연구자로 1년을 보낸다. 여기에서 STM에 대해 ... ...
2 활용 : ② 탄소나노튜브와 원자현미경의 찰떡궁합
과학동아
l
200110
기계적인 성질에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원자배열 구조의 섬세한 변화에 따라
도체
도 반
도체
도 되는 전기적인 성질을 갖고 있다. 또한 기계적으로 튜브벽의 탄소 원자간의 강한 공유결합에 의해 인장 강도가 매우 큰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마치 플라스틱으로 만든 빨대처럼, 외부에서 힘을 주면 ... ...
2 활용 : ① 반
도체
개발 춘추전국시대 제패
과학동아
l
200110
사람들은 새로운 종류의 집적회로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예를 들어 기존의 반
도체
칩에 생화학물질을 결합시켜 바이러스 경보기 같은 장치를 만들려는 노력도 진행되고 있다. 올 9월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러지는 영국 캠브리지대 데이비드 클레너만 교수가 바이러스의 감염여부를 확인할 수 ... ...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10
결정 표면에 입혀진 초전도 물질을 순간적으로 보통
도체
로 바꿔버린다. 그 순간에
도체
의 저항이 매우 커지기 때문에(초전도 상태에서는 저항이 없다)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양에 변화가 일어나고 이 전류변화는 미약하나마 자기장을 발생시킨다.이 자기장을 SQUID라는 장치(역시 초전도 현상을 ... ...
1. 몸은 남성 마음은 여성
과학동아
l
200108
xanith)집단, 타히티섬의 마후(mahu)집단, 삼비아의 투님-투님, 도미니크공화국의 구에베
도체
등에서 발견되는 모호한 성은 남성 아니면 여성, 이성애자 아니면 동성애자로 모든 것을 묶는 우리의 성체계가 얼마나 불완전한지를 잘 보여준다 ... ...
2. 전기 통하는 플라스틱의 비밀 2010년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등장
과학동아
l
200108
끝에 특수한 성질을 내도록 개발되고, 첨단 기술에 활용되고 있다. 고분자는 앞으로 반
도체
를 대체할 수 있는 꿈의 신소재로 불린다. 작년에 미국 맥디아미드와 히거 교수, 그리고 일본 시라카와 교수가 노벨화학상을 탄 배경에는 한국인 과학자의 노력이 있었고 그들에 의해 놀라운 업적이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