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6,597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위잉~! 꿀벌의 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708
- 시키는 데 성공했어요.미국에서도 이와 비슷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요. 사바나예술대학교 학생 애나 할드왕이 벌 대신 꽃가루를 옮겨 줄 드론 ‘플랜비’를 디자인해 발표했답니다. 플랜비는 몸에 꽃가루를 붙이는 대신, 바닥에 뚫린 구멍으로 꽃가루를 청소기처럼 빨아들여 몸속에 저장해요. 그뒤 ... ...
- Part 4. 아이디어가 반짝! 착한 디자인어린이과학동아 l201708
- 책상 겸 가방이 돼 주는 폐지가방 대신 책 보자기를 짊어진 아이들, 책상이 없어 바닥에 책을 놓고 허리를 굽힌 채 공부하는 아이들…. 인도에서는 아직도 이런 풍경이 흔하다고 해요. 인도의 사회적 기업인 ‘아람브’는 이런 열악한 교실 환경을 조금이나마 개선하기 위해 어린이들에게 특별한 선 ... ...
- Part 3. [글쓰기] 인공지능 소설가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08
- 떠올리면 어떤 것들이 연상되나요? 아마 펭귄이나 안경, 모자 등이 생각날 거예요. 서울대학교 바이오지능 연구팀은 이런 연상 과정을 이용해 애니메이션의 대사를 스스로 만드는 인공지능을 개발했어요.연구팀은 뽀로로 183편을 딥러닝 방식으로 분석했어요. 각각의 장면에 나오는 인물들과 그 ... ...
- [Info]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가 달라집니다!과학동아 l201708
- 관련한 기사도 함께 볼 수 있어요.● 서울대 공대, KAIST, DGIST, UNIST, GIST, POSTEC 등 주요 대학의 연구실을 탐방한 기사를 만날 수 있습니다. ‘노벨상 공장’인 세계의 연구실 소개는 덤!3. 강화된 검색 기능! ‘퀵서치’와 ‘상세 검색 필터’●검색 단어를 입력하면 곧바로 이미지와 기사를 살펴볼 수 ... ...
- [Issue] 승용차 강판이 ‘쿠킹호일’입니까?과학동아 l201708
- 지난 7월 경부고속도로에서 졸음운전을 한 버스가 승용차를 들이받아 승용차에 탑승한 부부가 사망하는 끔찍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사고를 당한 승용차가 형체를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찢기듯 손상돼 충격을 줬습니다. 도대체 강판을 어떻게 만들기에 그런 걸까요?내수차 강판, 수출차보다 ... ...
- [Career] 7년 사제가 만든 걸작, 초고속 거미집 센서과학동아 l201708
- “질병이 발생하기 전에 나타나는 징후가 있는데, 그걸 정밀하게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싶었어요.”김철기 DGIST 신물질과학전공 교수(바이오자성융합센터장) ... DGIST 대학원 6개 전공분야 융복합 연구실의 최신 연구업적과 그 성과를 함께 이룬 교수와 대학원생의 이야기를 소개한다 ...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6수학동아 l201708
- 가사와 라임이 맞는 가사를 자동으로 추천해 준다면 한결 수고를 덜 수 있다.핀란드 알토대학교 컴퓨터과학과 연구팀은 미국의 유명 래퍼 104명의 랩 가사를 분석한 뒤 입력한 가사와 어울리는 가사를 추천해 주는 프로그램 ‘딥비트’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에미넴, 제이지, 투팍, 닥터 드레 등 유명 ... ...
- Part 1. 뻥뻥 뚫리는 도로 깔기수학동아 l201708
- 머릿속에 모양이 떠올랐으면 길부터 닦아야죠. 길을 마음대로 놓아서는 안돼요. 도로를 만들 때 가장 중요한 건 교통체증을 막는 겁니다. 그러지 않으면 소방차가 길에서 옴짝달싹 못한 채 불난 집만 지켜보는 사태가 생길지도 몰라요. 제가 세 가지 전략을 준비했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 ... ...
- Part 2. 소방서와 경찰서를 지어라!수학동아 l201708
- 불이 나면 소방차는 가능한 빨리 달려가야 합니다. 서울연구원이 2010~2014년 서울시에서 발생한 화재 사건을 분석한 결과, 소방차 출동 시간이 5분을 넘으면 재산 피해가 3배 이상으로 늘었습니다. 피해를 줄이려면 모든 지역까지 5분 안에 갈 수 있는 곳에 소방서를 세워야 해요.이처럼 건물의 위치를 ... ...
- Part 1. 한국인의 조상을 찾다수학동아 l201708
- 방법을 이용했습니다. 생물학자인 까발리 스포르자와 로널드 피셔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수학과 교수가 함께 개발한 기법이지요. 이것으로 세계 여러 민족이 섞여있는 데이터를 가지고 유전자 거리를 통계적으로 분류합니다. 그럼 한국인과 중국인처럼 같은 아시아인끼리는 유전자 거리가 가깝게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