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권
환경
d라이브러리
"
대기권
"(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리랑 1호야, 이젠 안녕~!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3
18일 기준). 그러면 저는 자연적으로 조금씩 고도가 낮아지게 돼요. 아마 46년 뒤에는 지구
대기권
으로 들어와 불타 없어지게 될 거예요. 저의 불꽃 같은 삶이 인공위성의 발전에 밑거름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마지막 인사를 할게요. 모두 안녕히 계세요~! 치칙…, 치칙… ... ...
위성 격추하는 미사일
과학동아
l
200803
해군은 고장난 첩보위성이
대기권
에 진입하기 직전 미사일로 이를 격추했다. 해군이 사용한 마시일은 북태평양에 위치한 순양함에서 발사됐다. 한국천문연구원은 0.6m급 광시야 망원경을 이용해 격추 전 첩보위성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푸린 및 피리미딘염기(鹽基)와 당의 환원기가 결합한 ... ...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01
한다 표면에 따라 다른 값을 보인다 식생의 알베도는 맨땅이나 모래의 그것보다 낮다지구
대기권
내에서 비행 속도가 마하 4 이상인 고속비행을 극초음속비행이라고 말한다 참고로 지구저궤도에 인공위성이 궤도비행을 하려면 마하수가 25정도를 요구하는데 이런 때는 궤도속도 8km/sec라고 표현하지 ... ...
PART 1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 D-99 체크리스트
과학동아
l
200801
전 고층대기의 풍속이나 이온층의 밀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 뒤 완전 자동상태로
대기권
에 돌입한다”며 “기계적인 고장이 라기보다는 대기 상태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입력하지 못해서 생긴 문제일 것”이라고 말했다.러시아의 50년 우주개발 역사 동안 큰 사고는 없었지만 이런 위험이 또 ... ...
인간이 창조한 별들의 콘서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9
1호는 고도 250㎞에서 지구를 돌며
대기권
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후, 1958년 1월 4일에 지구
대기권
에서 불타 3개월의 수명을 마쳤다. 스푸트니크 1호의 성공은 미국에 큰 충격을 주어 미국과 소련의 우주 개발 경쟁에 불을 붙였다.인공위성 없인 못 살아인공위성 덕분에 사람의 삶은 아주 편리해졌어. ... ...
반짝! 별똥별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7
거예요. 공기가 없는 우주와 달리 지구는 공기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암석이나 먼지가
대기권
으로 들어와 떨어지면서 불에 타요. 보통 지표면 상공 80~120㎞ 사이에서 유성이 나타나지요.” “닥터고글 말이 정확해. 지구에서 보면 유성은 하늘을 가로질러 별빛이 발사되는 것 같아서 서양에서는 ... ...
무인비행기 '제퍼'(Zephyr) 최장시간 비행기록 달성
과학동아
l
200710
갖는다)들은 모두 전하의 값만 다르고 질량을 비롯한 성질이 극히 비슷한 한 무리이다
대기권
외역(外域)에서 우주를 관측하는 망원경 구체적으로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스페이스셔틀로 발사한 구경(口徑) 24m의 광학망원경 지구를 덮고 있는 대기를 가시광선영역(可視光線領域)이나 전파 영역의 ... ...
태양의 패션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0
태양이 옷을 갈아입는 모습일까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태양탐사선 스테레오가 지난해 12월 4일 촬영한 태양의 입체 사진이에요. 온도에 ... 파란 태양은 100만℃일 때, 초록 태양은 150만℃, 붉은 태양은 250만℃일 때 모습이에요. 태양
대기권
에서 일어나는 격렬한 전기 폭풍도 볼 수 있어요 ... ...
PART1 우주등대, 1초에 1000번 깜박
과학동아
l
200709
마그네타(1E 2259+586)는 1만3000광년 떨어져 있다.최근 찬드라와 같은 X선 관측위성이 지구
대기권
밖에서 X선 펄서의 스펙트럼을 관측해 주변 원반 구조와 중력장 세기를정확히 측정하고 중성자별의 크기와 질량을 알아냈다. 지상에서도 각국의 전파망원경으로 전체 하늘의 전파 펄서를 탐색하고 있다. ... ...
한국에'인공태양'이 뜬다
과학동아
l
200708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쏘아올린 목성탐사선 갈릴레오는 인류역사상 처음으로 목성의
대기권
자료를 수집하는데 성공하며 우주를 향한 인류의 오랜 꿈을 이뤘다. 그리고 같은 시기 한국은 ‘인공태양’을 향해 원대한 꿈을 꾸기 시작했다. 새로운 한 해를 기다리며, 1995년은 그렇게 저물고 있었다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