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학
응용과학
스페셜
"
과학기술
"(으)로 총 5,044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확산세 놔두면 2주 후에도 하루 800명대...젊은층 확산·변이 못막으면 1500명까지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4
건국대 수학과 교수팀도 전국 R을 1.04, 수도권 R을 1.13으로 분석했다. 이창형 울산
과학기술
원(UNIST) 수리과학과 교수팀은 향후 2주간 적어도 600~800명 수준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밝혔다. 2주 후인 16일에는 하루 확진자가 834명까지도 발생할 수 있다는 예측이다. 최선화 수리연 ... ...
[의학바이오게시판]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 출범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04
높이고 환자의 치료 결과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립암센터는 2일
과학기술
정보통신부 주관 ‘2021년도 병리 인공지능 개발을 위한 디지털병리 데이터셋 구축사업’의 주관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올해 38억원이 투입되는 이번 사업은 디지털 뉴딜사업 중 하나로 ... ...
[우주산업 리포트] 우주산업도 4차 산업혁명 중 '3D프린팅'
2021.07.03
NASA의 3D 프린팅 우주기지 경연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팀의 작품. SEArch+/Apis Cor 팀 제공 “3D 프린팅은 우리가 만들 수 있는 것과 만들 수 없는 것에 대한 개념을 뒤흔들고 있다.” 미국 컬럼비아대 공대에서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제조혁신을 연구하는 호드 립슨 교수의 발언으로 3D 프린팅 기술 ... ...
"성공했지만 또한 실패한 접종정책...현재의 코로나 확산 자승자박"
동아사이언스
l
2021.07.03
일 사이 941명, 7월 9~15일 사이 1575명 하루 확진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창형 울산
과학기술
원(UNIST) 수리과학과 교수팀은 9일 754명, 16일 834명의 하루 확진자가 발생할 것이라 예측하는 등 1000명에 육박하는 확진자가 발생할 것이란 예측이 다수 나왔다. 최재욱 교수는 확산 상황에 따라 ... ...
[프리미엄 리포트] 인간 영향으로 한강의 미래가 바뀌고 있다
과학동아
l
2021.07.03
경기 남양주에 위치한 팔당댐. 남양주에 위치한 팔당댐.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강은 끊임없이 변한다. 범람과 물 빠짐을 반복하며 새로운 퇴적지가 생기고, 작은 물길이 새로운 지류로 탄생한다. 이전에 없던 생태계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런 변화는 대개 수천 년, 또는 수만 년 이상의 지난한 시간 ... ...
세계 첫 인공수정란 합성, 배아 연구 윤리 규정 바꾸다
과학동아
l
2021.07.03
모나쉬대 제공 지난 3월17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는 두 편의 논문이 나란히 실렸다. 미국과 호주 두 연구팀이 착상 직전의 수정란인 배반포와 유사한 구조체(Blastoids·배반포 유사체)를 실험실에서 각각 만들어냈다는 내용이었다. 쉽게 말하면 인공수정란을 합성한 것이다. 그동안 수정란을 이용 ... ...
[과학게시판] AI 기반 중량화물이동체사업단 출범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02
앨런 카스텔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 교수의 저술도서를 번역한 것이다. ■한국
과학기술
정보연구원(KISTI)과 소방청은 이달 5일에서 9일까지 소방 빅데이터 분석 기본교육을 진행한다고 1일 밝혔다. 소방 맞춤형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를 양성하는 게 목적으로 슈퍼컴퓨터 이해와 미래기술 ... ...
[대학을 지식전쟁의 최전선으로]③대학원 평가를 시작하자
2021.07.02
채워지고 있다. 그렇다면 왜 국내 대학생들이 대학원에 가지 않을까? 2019년 국가
과학기술
자문회의는 이공계 대학원생 처우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를 벌였다. 국내 이공계 석박사과정 전일제 대학원생 1330명이 설문에 응답했다. 당시 조사에서 특기할만한 것은 입학시점으로 돌아가서 지금의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부실학회, 장롱특허 그리고 출연연
2021.07.01
금기의 영역이 되고 있다. 한국의 출연연 체제는 중심 없이 흔들리고 있다. 한국의
과학기술
체제가 도약하려면 '장롱특허'로 상징되는 출연연의 정체성을 새로 정립해야 한다. 국민의 세금이 R&D 역량 강화에 제대로 사용되도록 평가체제 마련에 세심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출연연의 건투를 ... ...
[의학바이오게시판] 신경근연구학회장에 전진영 여의도성모병원 교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01
전진영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 여의도성모병원 제공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은 30일 전진영 마취통증의학과 교수가 대한신경근연구학회 제13대 회장으로 선출됐다고 밝혔다. 학회는 1995년 설립돼 신경근 생리와 약리에 대한 실험연구, 신경근차단제와 길항제의 안전 임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