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704건 검색되었습니다.
2~3개월 뒤 미세먼지 농도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6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윤진호 지구환경공학부 교수와 국립환경과학원 등 국내
연구진
이 기상과 기후인자들의 연관성을 활용해 한반도의 미세먼지 농도를 수개월 전에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현재 국내 미세먼지 농도 예측은 보통 1~2일 후 예보에 집중된다. ... ...
접착제에 초음파 가했더니 젖은 피부에도 강하게 붙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5
국제공동연구팀이 초음파로 하이드로겔 접착제의 접착력을 높이는 방법을 개발했다. Ran Huo, Jianyu Li 제공 국제 공동연구팀이 초음파와 거품으로 붕대의 접착성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젖은 피부처럼 기존에 접착제를 사용하기 힘든 경우에도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접착 기술이다. 연구결과 ... ...
[표지로 읽는 과학] 유럽서 아프리카까지 장거리 이동하는 나방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2.08.14
행동 반응 분석은 개별 곤충을 추적해야 하기 때문에 접근하기 매우 까다로운 연구다.
연구진
은 “나방 생체 내에 정교한 나침반 시스템이 있어 계절이나 바람 조건과 무관하게 이동 궤적을 유지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밝혔다 ... ...
중국 신종 인수공통 바이러스, 지난해 한국서 발견된 바이러스와 유사
동아사이언스
l
2022.08.12
대룡바이러스를 발견한 송진원 고려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 고려대의대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최근 중국 산둥성 등지에서 발견된 인수공통 바이러스가 지난해 한국에서 발견된 바이러스와 유전자 분석상 매우 유사한 속(genus)에 해당한다고 12일 밝혔다. 송진원 고려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 ...
인공지능 기술로 새 항암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2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을 이용한 로미타피드 항암효능 개발. KAIST 제공. KAIST는 김세윤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 기술과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을 이용한 신규 항암 치료제 개발’에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엠토르(mTOR)’로 알려진 신호전달 단백질은 많은 암세포에서 비정상 ... ...
전기차 배터리 성능 저하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1
정전압 방식이 정전류 충전 방식에 비해 성능 저하가 빠르게 나타나는 현상에 주목했다.
연구진
은 투과 전자현미경을 활용해 정전류-정전압 충전 과정에서 배터리 성능 저하를 일으키는 주된 원인인 니켈 부반응이 표준 위주로 집중돼 불균일하게 일어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리튬 자리로 ... ...
초소형 유전자가위 개발…다양한 체내 장기에서 사용
동아사이언스
l
2022.08.10
염기 교정 유전자가위의 모식도. 한국생명공학원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체내 다양한 장기에 보낼 수 있는 초소형 염기 교정 유전자가위를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유전자교정연구센터 김용삼 책임연구원과 연구원 창업기업 진코어가 교정효율을 대폭 높인 초소형 유전자가위 기술 ... ...
세계시장 규모 2조원 방사성동위원소 '루테튬-177' 국산화
동아사이언스
l
2022.08.10
원자력연구원 방사성동위원소 생산 시설에서 ‘루테튬-177’을 제조하고 있다. 원자력연 제공 국내 연구팀이 희귀질환인 신경내분비암과 전립선암 치료에 사용되는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인 ‘루테튬-177’을 국산화했다. 최강혁 한국원자력연구원 동위원소연구부 책임연구원은 전량 해외 수입 ... ...
폴더블 스마트폰, 주름없이 오래 쓰는 광학필름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0
실린 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 표지. 생기연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접히는 휴대전화용 폴더블 디스플레이에서 생기는 주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불소계 폴리이미드 기반 광학필름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홍성우 친환경융합소재연구부문 수석연구원팀이 기존 ... ...
"2090년대 열대야로 인한 사망, 2010년보다 최대 6배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2.08.09
6일 강원 강릉시 경포해수욕장에서 피서객들이 무더위를 피해 바닷가에 옹기종기 앉아 있다. 연합뉴스 제공 서울대, 중국 푸단대, 일본 도쿄대 등 국제공동연구팀이 밤 기온이 높아지는 열대야의 '사망률 기여 비율'이 21세기 말까지 최대 6배 증가할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사망률 기여 비율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