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더기
d라이브러리
"
한 단
"(으)로 총 3,11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싱긋 웃으며 지오의 팔을 잡아끌었다.“일
단
팥죽부터 먹자꾸나. 네가 셈하는 걸 구경하다가 점심때를 놓쳐 버렸
단
다.”팥죽집 가마솥에선 붉은 팥죽이 보글보글 ... 꿀처럼 달콤했다. 지오는 게 눈 감추듯 팥죽
한
보시기를 먹어치웠다.“
한
그릇 더 먹으련?”팥죽을 반도 비우지 못
한
사내가 ... ...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있으니까요. 그럴 경우엔 미로를
단
순화해서 그래프로 나타내면
한
눈에 길이 보입니다. 진짜로 그런지 ... 해밀턴은 모든 꼭짓점을
단
한
번만 지나는 회로와 경로를만들었다. 회로는 시작점과 끝점이 같을 때를, 경로는 다를 때를 말
한
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오일러 회로나 경로와 달리 해밀턴 ... ...
원자번호 117번 원소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249 원자핵에 충돌시켜 얻은 데이터를 분석
한
결과 117번 원자 6개를 확인했다.핵융합 과정에서 ... 형성된 Uus-294(양성자 117개, 중성자 177개)는
단
한
개만 확인됐는데, 0.112초 만에 알파붕괴(헬륨 핵을 내놓는 반응)로 사라졌다.
한
편 중성자 4개가 소실되며 형성된 Uus-293(양성 ...
외유내강 검정파리와 외강내유 전갈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크고 날카로운 집게발, 갑옷처럼
단단한
껍질, 앞을 향해 위협적으로 꺾인 ... 최대 7번까지 탈피를 하며,
단단한
외골격이 생긴 뒤에야 어미의 몸에서 독립
한
다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당초 목표였는데, 지금 상황을 보니
한
쪽에서만 1PW씩, 총 2PW를 만들 수 있을 ... 초과 달성하는 셈이죠.”2PW라면
단
연 세계 최고 출력이다.2005년에 ... X선 레이저는 기존의 X선과 달리
단
일
한
파장으로 이뤄져 있어 사진을 찍을 때 훨씬 더 선명
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APRI ...
아미노산 수백 가지 읽는 인공 리보솜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된 생명체야
한
다. 따라서 인공 생명체는 가장
단
순
한
단
세포인 박테리아 형태가 될 것이다. 인공 생명체로 가는 길에 꼭 넘어야 할
단
계 가운데 하나가 인공 리보솜을 만드는 일이다. 리보솜이 제대로 작동해야 생명활동에 관여하는 각종
단
백질이 만들어져 공급되기 때문이다.리보솜은 거대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두 가지 모두 이미 상용화 직전
단
계까지 접어들었다”고 소개했다.
한
편에서는 극지의 석유자원 개발도 ... 금액을 태양전지 개발에 투자
한
다면 시간을
단
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반면 리처드 하인버그 연구원은 “신재생에너지에 관해서는 정답이 없다”고 정리했다. 그는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
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메이저 장치 실험에 관
한
간
단한
보고 논문만을 작성해 저널 ‘피지컬 ... 벨연구소에서 적합하지 않다고 판
단한
루비를 매질로 사용했다. 루비 결정의 성분인 산화알루미늄에는 원자의 일부가 크롬 원자로 대체돼 있어 유도방출
한
빛이 붉은빛을 냈다. 또
한
다른 연구팀들이 시도하지 않았던 플래시 ... ...
나로호 6월 9일 2차 발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추정된다고 발표했다. 이와 함께
한
국항공우주연구원 측은 “페어링을 ... 비정상적인 비행을 했기 때문에 상
단
로켓이 이후 작동과정이 제대로 ...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러시아 측은 1
단
로켓의 결함이 발견되지 않는
한
책임지지 않겠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
한
국 최초 식물공장 가동 시작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지금처럼 건물 안에서 순전
한
인공조명으로 다
단
재배하는 방식이 등장했다. 식물을 ... 별 문제가 없다. 보통 건물
한
층 높이에서 7
단
으로 식물을 키울 수 있는 이유다. 이곳에서는
한
꺼번에 최대 1만 5000 개체의 채소를 키울 수 있는데 연중무휴로 작동된다. 이 정도 양을 일반 온실에서 재배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