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당함
타당성
충족
완전
d라이브러리
"
충분함
"(으)로 총 2,43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를 먹여살린 화학비료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1918년 노벨 화학상19세기말 인류는 식량 부족의 어두운 그림자에 싸여 있었다. 맬서스는 인구 증가는 식량 공급을 초과하게 될 것을 예견했고 인구의 기하급수적인 증가는 결국 인류를 파멸로 이끌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흔히 질소의 위기라 불리는 19세기말의 이 위기는 한 자연과학자의 ... ...
복제양 돌리 사촌 폴리와 몰리 탄생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올해 초 복제양 ‘돌리’를 만들어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든 과학자들이 이번에는 사람 유전자를 가진 복제양 ‘몰리’와 ‘폴리’를 생산해 또한번 화제를 모았다. 피를 응고시키는 단백질 생산 유전자를 사람에게서 추출해 양의 젖 생산 유전자에 이식시켰다. 이제 젖에서 천연의 혈우병 치료제 ... ...
네안데르탈인 인간의 직접조상 아니다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새롭게 실시된 유전자 분석결과, 네안데르탈인은 현생 인류의 직접조상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다. 유골에서 추출해낸 유전자를 복제해서 네안데르탈인의 DNA를 분석한 과학자들은, 네안데르탈인을 현생인류와 직접적으로 연관짓기에는 너무 많은 차이점들이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다만 유사점 ... ...
쥐라기 공룡 만들어낸 조지 칼리슨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공룡 신드롬은 왜 생기는 것일까. 말을 배우는 아이들조차 발음하기 어려운 티라노사우루스, 트리케랍토스, 스테고사우루스 등을 줄줄 외는 것을 보면 놀라지 않을 수 없다.공룡은 귀엽거나 예쁘지 않다. 공룡화석들에서 볼 수 있는 날카로운 발톱은 오히려 공포를 안겨주기도 한다. 그렇지만 아 ... ...
5. 21세기 비트혁명, 생물과 무생물 경계 허문다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40년대를 풍미한 천재 과학자들이 남긴 유산은 실로 대단하다. 이들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똑똑한 기계'의 양산되면서 인간은 상당 부분 '몸 쓰는 일'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됐다. 그뿐인가. 마샬 맥루한에 의해 '지구촌'이란 단어가 등장한 지 30년 만에 인간의 감각은 우주까지 확장됐다.화성에 도 ... ...
다이아몬드를 태우면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물질이라고 하는 다이아몬드를 태우면 어떻게 될까? "왜 그렇게 멍청한 질문을 할까? 그 비싼 것을 태울 필요가 있을까? 경제도 어려운데." 이렇게 말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과학의 현장에서는 이런 경제적인 속셈으로만 생각할 수 없는 일들이 많이 일어난다.프 ... ...
빛의 본성과 광전효과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마당에 있는 친구가 2층에 있는 다른 친구에게 공을 던져 올리는 상황을 생각해 보자. 공을 올리려면 마당에 있는 친구가 공을 던져 줄 때 공이 2층보다 더 높이 올라갈 만큼 충분히 세게 던져야 할 것이다.마당에 있는 친구가 약하게 쳐올려서 에너지가 충분하지 않으면, 아무리 여러 번 쳐도 그 공 ... ...
4. 생명 현상의 통일장 이론 세포 자동자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생명의 신비는 인간들에게 항상 그와 비슷한 것을 창조하도록 유혹해왔다. 수많은 설화와 전설 속의 신은 인간이 상상력만으로 고안한 최초의 인공생명체였다. 인공 생명체를 만들어보려는 시도는 기계론적인 세계관이 싹트기 시작한 산업혁명 초기부터 본격화됐다.주목할 예로 1735년 프랑스인 ... ...
꿈 길몽은 존재할까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한해가 저물어갈 무렵 사람들은 "새해에 용꿈꾸라"는 덕담을 주고받는다. 용꿈이나 돼지꿈은 과연 행운을 가져다줄까. 아니면 현실의 소망이 꿈에 반영된 것일까. 꿈을 해석하는 근거가 무엇인지, 그리고 꿈꾸는 동안 뇌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살펴보자.정월 초하루 아침 잠에서 깬 40대 직장 ... ...
선조들의 지혜 숯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옛말 하나도 틀린 게 없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선조들의 생활 속 지혜를 깨닫는 현대인들의 감탄사다. 근래 들어 옛말의 과학적 가치가 밝혀지면서 전통과학의 진가가 인정받게 돼 매우 다행스럽다.우리 선조들의 지혜가 담겨 있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숯이다. 숯이라고 하면 흔히 고기를 구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