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추정"(으)로 총 3,096건 검색되었습니다.
- 1991년 사이먼 르베이 박사의 동성애자 뇌구조 차이발견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시상하부의 핵이 작고 레즈비언(여성 동성애자)은 이성애 남성처럼 클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는 뉴욕과 캘리포니아의 7개 병원에서 동성애자의 시체를 찾는 일을 시작으로 ‘취미 프로젝트’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당시는 에이즈(AIDS, 후천성면역결핍증)로 인한 사망자가 본격적으로 나오던 ... ...
- 테라포밍, 지구의 조건과학동아 l2010년 12호
- 혜성 및 소행성에 함유된 것들과 지구 구성 초기 물질이 갖고 있는 물이 모인 것으로 추정된다. 혜성과 소행성이 보유하던 물은 지구와 충돌할 때 대기 중으로 기화됐고, 지구를 구성하는 수분은 화산활동에 의해 수증기로 방출됐다. 이 수증기들이 응결돼 비가 내리고 이것이 모여 현재의 바다(액체 ... ...
- 산타의 비밀수학동아 l2010년 12호
- 한국의 전체 인구와 비교해 어린이가 얼마인지 비율을 알면 이걸로 전 세계 어린이 수를 추정할 수 있거든. 한국의 어린이 비율 11.8%를 지난해 말 세계은행이 발표한 세계 인구 67억 7523만 5741명에 곱하면 세계 어린이 수가 나오지. 바로 7억 9952만 7908명이야. 약 8억 명의 어린이가 크리스마스에 산타의 ... ...
- 바다동물특공대 석유 오염 사고를 해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지하 1500m에 위치한 유전 입구에서 하루에 190만L에서 300만L의 원유가 새어 나오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어.✽유전 : 땅 속에 석유가 있는 지역.가장 유명한 석유 사고 1989년 엑손발데즈 호 사고딥워터호라이즌 사고가 일어나기 전, 미국에서 가장 피해가 컸던 석유 사고는 21년 전인 1989년 3월 24일에 ... ...
- 눈송이 크리스마스 카드 만들기수학동아 l2010년 12호
- 귀족들이 술자리에서 목제주령구를 굴려 윗면에 쓰여 있는 내용대로 행동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정사각형 면에는 ‘소리 없이 춤추기’ ‘여러 사람 코 두드리기’ 등이 쓰여 있고, 육각형 면에는 ‘얼굴을 간질여도 꼼짝 않기’ ‘누구에게나 마음대로 노래시키기’ ‘시 한 수 읊기’ 등이 쓰여 ... ...
- Part 1. 살아남은 50%의 슬픔과학동아 l2010년 12호
- 결국 대부분은 멸종하게 되어 있다(제4장)”고 밝혔다. 생물통계학자들이 화석을 통해 추정한 계산 결과도 일치한다. 생물이 처음 탄생했던 37억 년 전 이후, 지구 상에 등장한 생물 종의 99.9%가 멸종했다.그러나 오늘날은 사정이 조금 다르다. ‘강한 자’만이 살아남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의 ... ...
- 800년 만에 돌아온 고려 시대 보물선과학동아 l2010년 12호
- 1, 2호선은 도자기를 빚은 방식이나 선박 밑이 납작한 특징을 보아 고려 시대 선박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런데 이를 구체적으로 밝혀 준 결정적인 증거가 나왔다. 국내 수중 발굴 역사상 처음으로 죽간이 발견된 것이다. 죽간은 종이가 발명되기 전 글자를 기록하던 대나무 조각을 말한다. 마도의 ... ...
- 우주의 비밀을 풀어 줄 반물질 실험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연구팀이 우주 탄생 초기에 물질과 함께 나란히 탄생했다 사라져 버린 것으로 추정되는 ‘반물질’을 인공적으로 만들고, 자기장에 오래 가두는 실험에 성공했다.빅뱅이론에 따르면 우주가 최초로 탄생할 때 동일한 수의 물질과 반물질이 함께 생겨났다. 물질과 반물질은 서로 충돌하면 소멸한다. ... ...
- Part 2. 과학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찾으려는 봉한학설 [토끼 방광 표면에서 발견한 관. 소광섭 교수는 이 관이 경락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했다.] 봉한학설은 1960년대 북한의 김봉한 박사가 경락을 해부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세운 이론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소광섭 서울대 물리학부 교수가 연구하고 있다. 소 교수는 흰쥐의 혈관 ...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발견해 각각 T1R1, T1R2라고 이름을 붙였다. 연구자들은 이 수용체가 미각 수용체라고 추정했지만 어떤 맛을 담당하는지는 몰랐다. 그런데 다른 연구팀에서 PROP라는 쓴맛이 나는 물질에 둔감한 사람이 5번 염색체의 특정 위치에 돌연변이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그런데 T1R1과 T1R2의 유전자는 이 ... ...
이전1551561571581591601611621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