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d라이브러리
"
최대
"(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빙하가 녹으면 바이러스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일으키는 전이효소뿐만 아니라 이질적(foreign) DNA와 유동적(mobile) DNA가 전체 유전체의
최대
16%까지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유동적 DNA는 언제라도 삭제할 수 있는 유전자이며, 이질적 DNA는 다른 박테리아 종류에서 기인한 유전자로 생식에 의한 유전자 재조합으로는 절대 보유할 수 없는 ... ...
그 많은 발열 의류는 얼마나 따뜻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것은 물론이거니와 같은 기관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했을 때도 흡습발열 섬유는
최대
와 최소치의 차이가 2.52℃, 광발열 섬유는 정도가 더해 14.1℃까지도 났다.문제는 발열섬유의 효능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다는 점이다. 발열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국내외 평가 표준이 없어 시험 기관에서 ... ...
PART 2 무인기와 유인기가 맞짱을 뜬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스스로 전장 상황을 종합 판단한다는 의미다. 아군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적의 피해를
최대
화하는 조치를 스스로 할 수 있는 임무수행 소프트웨어를 탑재한다는 것이다. 무인기 조종사는 실시간 기동보다는 전장 상황에 대해 좀 더 큰 그림을 그리고 작전을 지시하거나 전투 상황을 관리하는 ... ...
세트형 문항이 수학점수 가른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자연계 수험생에게는 유리한 점도 있다. 교과부는 수험생의 부담이 늘지 않도록 B형은
최대
2과목까지만 응시하도록 제한했다. 대학이 모든 과목에서 B형을 요구하지 못하게 한 것이다. 또한 수험생은 국어 B형과 수학 B형을 동시에 선택할 수 없다. 둘을 동시에 선택하면 수험생이 인문계열 수준의 ... ...
Let's MATH PARTY!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개발되어 있다. 그 중 하나가 R(k, k)≥[sqrt{{2}^{k}}$]이다. 여기서 [$x$]는 $x$를 넘지 않는
최대
정수다. 그런데 실제 값 4와 18은 차이가 너무 크다. 과연 이 공식이 의미가 있는 걸까? 앞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숫자가 조금만 커져도 경우의 수는 상상을 초월할 만큼 커진다. 따라서 헤아릴 경우의 수를 ... ...
[화보] 설원에 펼쳐진 기하학의 예술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고통이 덜해 이와 같은 작업을 시작하게 됐다고 한다.지난해 사이먼 백은 프랑스 알프스
최대
의 스키장 레자크 리조트와 사부아 호수에 쌓인 눈 위에서 작업을 했으며, 현재는 미국 뉴욕에 머무르고 있다. 추운 겨울에 더욱 빛을 발하는 그의 작품이 기다려진다 ... ...
PART 4. 영원히 착륙하지 않는 무인비행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비행기는 이런 느린 속도로 날 수 없지만 헬리오스는 탄소섬유, 스티로폼, 케블라 등으로
최대
한 가볍게 만들어 전체 무게가 600kg 정도 밖에 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다. 헬리오스는 약 30km 상공까지 올라가 비로켓추진 비행기로 가장 높이 비행한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그러나 2003년 6월 ... ...
무중력이 만든 1cm 헬륨 결정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헬륨 결정은 무중력상태에서 불과 10초 만에, 지상에서는 1초 만에
최대
결정크기로 자란다. 다카하시 교수는 “헬륨의 ‘초유동성’이 헬륨 원자를 결정이 자라는 데 필요한 곳으로 순식간에 옮겨주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초유동성이란 액체헬륨이 극저온 ... ...
빙하 호수 탐사
최대
의 적은 보일러 말썽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지난 2012년 12월 17일 엘즈워스 호수에 닿기 위해 얼음을 뚫고 있던 영국 연구팀은 난관에 봉착했다. 60m를 파고 들어갔을 때 물을 끓이는 보일러가 말썽을 일으킨 것이다. 얼음을 뚫고 들어가기 위해서는 고온·고압 제트를 만들어야하기 때문에 보일러의 역할이 필수다. 마틴 지커트 프로젝트 연구팀 ... ...
일본 오키나와 남부까지 우리 대륙붕 될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994년 발효된 제3차 유엔 해양법협약에 따라 각 나라의 배타적 경제수역은 자국연안에서
최대
200해리(370.4km)까지 인정받을 수 있다. 그런데 그너머까지 뻗어있는 대륙붕은 법적으로 얼마나 소유할 수 있을까. 이런 법적대륙붕을 규정한 것이 유엔 해양법 제 76조다.법적 대륙붕의 바깥쪽 한계를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