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적은"(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해양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기회가 없는 학생에게도 SW 교육이 전달되도록 다리가 되고 싶어요. 앞으로도 계속 지역 사회와 연계해 봉사 활동을 해나갈 생각입니다.”경기 안산해양중학교 조광근 교사는 나눔을 실천하는 교육을 강조했다. 조 교사가 운영하는 로봇봉사동아리 회원은 2, 3학년 학생 13명이다. 이들은 3개 조로 ...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적이 살의를 품고 있다는 건 총탄의 궤적으로 확실히 구분할 수 있었다. 탄환들은 방금 전까지 윤환의 머리가 머무르던 곳을 관통했다. 윤환은 벽 뒤에 몸을 숨기고 총의 배터리와 잔탄 수를 확인하면서 한숨을 쉬었다. 수동으로 명중률을 높이려면 반드시 호흡을 조절해야 했다. 그는 그 사실을 ... ...
- INTRO. 수학자가 사는 법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혼자 하는 학문이라고 알고 있다. 초·중·고등학교를 거치면서 여럿이 함께 문제를 푼 적은 거의 없다. 시험을 혼자 보기 때문에 그 대비 또한 혼자 해왔다. 하지만 예나 지금이나 대부분의 수학자는 문제를 혼자 풀지 않는다. 여럿이 함께 서로 의견을 나누며 문제를 해결한다.도움 : 엄상일(KAIST ... ...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수학 뉴스 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지난 9월 12일, 경주에서 규모 5.1과 5.8 지진이 연달아 발생했습니다. 담벼락과 집의 천장이 파손됐다는 신고가 여럿 접수됐습니다만 십수 세기 전인 신라시대에 선덕여왕이 세운 첨성대는 별다른 피해가 없었습니다. 지진으로부터 안전하게 집을 보호할 방법 ...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생태계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지표는 ‘네트워크’다. 네트워크가 풍부할수록 생태계는 건강하다. 또 개체가 네트워크 안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따라 그 개체의 중요성을 가늠할 수 있다.과학 생태계에서 핵심 인물이라 할 수 있는 노벨상 수상자들은 어떤 연구자 네트워크를 이 ... ...
- INTERVIEW. "좋은 질문을 하는 젊은 과학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못한 경우도 많았어요. 하지만 연구가 실패할 위험이 있다고 해서 연구 계획서를 수정한 적은 한 번도 없습니다.”이스라엘의 경우, ‘좋은 질문인지 아닌지’를 기준으로 연구비를 지원할 과학자를 뽑는다. 기초과학과 응용과학에 대한 구분도 따로 없다. 과학자 규모가 작기 때문에 연구 과제 ... ...
- [Tech & Fun] 다른 이의 마음을 어떻게 읽을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탐정이 등장하는 드라마나 영화에서 날카로운 카리스마를 가진 주인공이 ‘아마 범인은 이러이러한 사람일 것’, ‘이런 과거, 이런 생각과 느낌 때문에 이런 행동을 저지른 것’이라고 자신 있게 결론을 내는 장면을 본 적 있을 것이다. 오래된 부부는 서로의 눈빛만 보고도 어떤 생각을 하고 있 ... ...
- [지식] 오감만족 수학체험, 포켓몬 잡듯 수학 잡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책에서, 칠판에서만 봤던 수학이 때로는 ‘포켓몬 고’ 게임처럼 때로는 한 편의 영화처럼 우리의 오감을 자극한다면 믿겠습니까? 지난 7월 20일부터 23일까지 사흘간 독일에서 열린 2016 베를린 이매지너리 콘퍼런스에서 세계 각국의 수학 대중화 전문가들이 모여 좀 더 짜릿하고 좀 더 재미있는 수 ... ...
- [Tech & Fun] ‘싸인’의 ‘아이돌 살인사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2011년 SBS에서 방영한 드라마 ‘싸인’은 우리나라 최초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을 배경으로 한 수사 드라마입니다. 드라마 첫 회를 장식한 에피소드는 실제 1995년에 일어났던 가수 ‘듀스’의 고(故)김성재 씨 사건을 모티브로 하고 있죠. 당시 최고의 인기를 누리던 김성재 씨는 의문의 죽음을 맞이 ... ...
- [Editor’s note] 나는 누구? 여긴 어디?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어릴 적에 ‘브레인스톰’이라는 영화를 본 적이 있습니다. 내용은 어렴풋이 떠오르는 정도지만, 그때 꽤 큰 인상을 받았던 기억은 선명합니다.어린 시절 기억이라 틀릴 수도 있지만, 대강의 내용은 이렇습니다. 어떤 과학자가 인간의 체험을 기록했다 재생할 수 있는 헬멧을 발명합니다. 이 헬멧을 ... ...
이전1551561571581591601611621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