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치
설비
기구
비품
지식
기능
소양
d라이브러리
"
장비
"(으)로 총 2,798건 검색되었습니다.
탐사선 딥 임팩트, 혜성 향해 발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체인에 장치한 계측기를 가리킨다 현재 이 장치는 미국의 함정 메리스빌호(號)에
장비
되어 태평양의 광범위한 관측에 이용되고 있다달 표면에 무인탐사기(서베이어)를 연착륙(軟着陸)시켜 달 표면의 사진 촬영, 지질조사의 목적을 가진 미국 NASA의 달 탐사계획 아폴로 계획의 준비적 성격을 띠고 ... ...
컴퓨터 그물망이 지능을 창조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테이블과 노트북이면 충분하죠.” 연구실은 물론 교수실에도 고성능의 컴퓨터와 첨단
장비
가 배치돼 있을 것으로 예상했던 기자로서는 이런 황량한 풍경이 의아스럽기만 하다. “전 혼자 일 못해요. 학생들 한두명이라도 불러와서 테이블 주위에 앉혀놓고 얘기해야 아이디어가 나오지 ... ...
100억배 더 밝은 4세대로 탈바꿈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빨리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포항방사광가속기는 먼저 전자를 빛의 속도로 가속하는
장비
가 필요하다. 전자는 항상 8만V의 전압을 유지하는 전자총에서 발사돼 150m의 선형가속기를 통과하면서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된다. 여기에 2기가볼트(1GV=10억V)의 에너지가 필요하다.빛의 속도로 가속된 ... ...
BMW 속도 무제한의 비결은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들어앉은 것처럼 기어를 바꾸고 운전대를 잡아보기도 할 수 있다.전시장 한쪽에서 전자
장비
에 연결돼 있던 자동차 백미러 모델이 갑자기 획 접힌다. ‘BMW 자동차의 IT’ 사의 사장인 울리히 바인만 박사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차의 속도가 0이 되는 것을 알아차려 백미러를 접는 것”이라고 ... ...
과학동아가 선정한 2004년 하이테크 20選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않다.1년 내내 물을 갈아주지 않아도 되는 수족관이 개발돼 주목을 끌고 있다. 정수
장비
전문기업 작은연못이 개발한 아쿠아블은 스스로 자정 능력을 갖춘 ‘테이블형 수족관’.물갈이가 필요 없고 이끼가 끼지 않아 청소를 하지 않아도 깨끗한 상태가 유지되며 증발량만큼만 물을 보충해 주면 된다. ... ...
나노분자로 테라급 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비해 크기가 100만분의 1밖에되지 않는다.“나노구조물을 연구하려면 원자현미경이 필수
장비
입니다. 영상을 보니 패턴이 잘 만들어진 것 같네요.”생명화학공학과 유기광전자재료연구실 정희태 교수가 모니터에서 눈을 떼며 설명을 시작한다.“ 반도체칩이나 디스플레이 소자는 크기를 줄이는데 ... ...
종이로봇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김 교수는 보고 있다.“종이 성분을 바꿔가며 정전기적 특성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측정
장비
를 이용해 결과들을 수치로 분석하는 연구가 거의 끝나가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만 끝낸다면 MEMS기술과 결합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겁니다.”2차 연구가 끝나는 2009년경에는 종이와 안테나, 회로를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변화로 거짓말 여부를 탐지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미 미네소타의대 연구팀은 열촬영
장비
를 이용해 거짓말을 할 때 눈 주위 얼굴에 체온 변화가 생긴다는 사실을 ‘네이처’ 2002년 1월호에 발표했다.불안한 심리는 눈에서도 읽을 수 있다. 국립과학연구소는 조만간 눈동자 움직임(EOG)의 변화로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문 박사는 요즘 과학자로서 자신의 역할이 달라질 때가 됐다고 느낀다. 연구실에서 실험
장비
와 씨름하며 훌륭한 논문을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중에게 과학을 알리는데도 한몫해야 할 시기라는 것이다.“과학 분야에도 청소년의 모델이 될 인물이 필요 해요. 청소년들이 저 정도면 나도 연구에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연구팀은 수차례 실험을 거듭한 끝에 드디어 동물 인공태반시스템을 개발해냈다.육중한
장비
와 복잡한 원리일 거라고 짐작했던 인공태반시스템은 뜻밖에 매우 간단해 보인다. 그런데 왜 이 시스템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 않은 걸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인공태반 연구는 이미 1960-1970년대에 미국과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