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응급구조, 인공호흡보다 흉부압박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제외한 4415명의 환자들이 어떤 응급구조를 받았는지 분석하고 생존율을 비교해 10월 6
일자
‘미국의학협회지’에 발표했다.보브로우 연구원에 따르면 4415명 중 인공호흡과 흉부압박으로 구성된 전통적인 CPR을 받은 환자는 666명, 인공호흡 없이 흉부압박만을 받은 환자는 849명이었다. 그런데 환자가 ... ...
제주도 닮은 에트나 산 출생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때문에 지하에 있던 뜨거운 맨틀이 밀려나와 생겼다는 연구 결과를 ‘지질학’지 10월 18
일자
에 발표했다.에트나 산은 유럽에서 가장 큰 화산(높이 3323m)으로 기원전 4세기경부터 지금까지 90회 이상 분출했다. 에트나 산 일대에는 한라산 주변의 ‘오름’과 같은 기생화산이 260개가 넘는다. 한라산에 ... ...
소행성 충돌 사건의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위해서는 시점이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네이처’ 온라인판 10월 13
일자
에 실렸다.2004년 발사된 로제타 위성은 2014년 원래 목표인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67P/Churyumov-Gerasimenko) 혜성에 착륙해 혜성 핵의 성질과 혜성을 이루는 물질의 성분을 조사할 예정이다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호르몬인 옥시토신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사이언스’ 6월 11
일자
에 발표했다. 옥시토신은 여자가 아이를 출산한 뒤 많이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모성을 불러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콧속에 옥시토신을 뿌린 사람은 대조군으로 맹물을 뿌린 사람에 비해 이기적인 성향이 줄어들고 ... ...
살 빼면 건강 해친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일종인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이 많이 들어 있는 것을 발견해 ‘국제비만저널’ 9월 7
일자
에 발표했다.POP는 체내 조직에 잘 쌓인다. POP에 오염된 음식이나 약 같이 인공적으로 합성한 물질을 먹으면 몸속으로 들어온다. 신체조직에 많이 축적되면 내분비, 생식, 면역 시스템을 교란시킨다. 후천성 ... ...
미션! 이상한 공장에서 고양이를 구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부분이 반대로 접혀 있을 거라는 선입견이 작용한 거란다.도전! 나도 섭섭박사 4월 15
일자
에 소개된 양력연구실에는 어떤 친구들이 찾아 왔는지 함께 볼까요? 섭섭박사의 신나는 과학실험실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❶ 내가 만든 섭섭박사 실험실!부록을 만드는 모습이나 나만의 놀이 방법을 사진에 ... ...
하늘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비롯한 과학자들은 예상하지 못한 결과에 큰 충격을 받은 모습이다. 에머트 박사는 6월 19
일자
에 발표한 ‘지구물리학연구지’ 논문에 “뭔가 우리가 이해하지 못한 일들이 열권에서 일어나고 있다”고 적었다.사실 열권이 줄어드는 것이 놀라운 일은 아니다. 열권의 온도는 태양에서 나온 ... ...
‘곰보 자국’이 달 과거 알려줄까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촬영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알아내 과학학술지 ‘사이언스’ 9월 17
일자
에 소개했다. 크레이터는 유성이 달 표면에 충돌할 때 움푹 파인 자국을 말하는데, 큰 것은 지름이 20km가 넘는다.NASA는 달 관측위성에 실려 있는 달 궤도 레이저 고도기(LOLA)를 이용해 5185개나 되는 크레이터를 ... ...
다리에서 에펠탑까지 , 도시가 변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이 다리는 파리에 있던 6개의 기차역 중 하나인 ‘생 라자르 역(‘어린이과학동아’ 4월 1
일자
‘그림 속 과학’ 참조)’을 가로지르는 다리예요. 다리가 철로 되어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 다리 난간을 금속 느낌이 나는 색으로 칠한 것이 보이지요?이 그림은 친구들이 길을 가다 멋진 다리를 ... ...
바닷물 파래질수록 태풍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과학자들은 바다가 파란빛을 띨수록 태풍이 줄어든다고 ‘지구물리학연구지’ 7월 23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북태평양의 해수 색이 변하면 태풍이 발생하는 빈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연구했다. 그 결과 지난 세기동안 해수는 점점 파란색을 띠고 태풍 발생도 70%로 줄었다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