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태양계 경계 - 태양풍이 멈추는 곳에 다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65억km지요. 뉴 호라이즌스호가 보낸 신호가 빛의 속도로 이동해도 미국항공우주국의 ‘심우주 통신망’에 도착하는 데에만 6시간이 걸리는 어마어마하게 먼 거리랍니다 ... ...
- Part 4. 태양계 밖 - 외계행성의 비밀을 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추측했답니다. 그런데 최근 스위스 제네바대학교 빈센트 버리어 박사팀은 허블우주망원경이 측정한 GJ 3470b 행성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실제로 이 행성이 빠른 속도로 증발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GJ 3470b는 20억 년 만에 전체 질량의 1/3을 잃어버렸으며, 이는 비슷한 현상을 겪고 있는 ... ...
- [과학뉴스] ‘인사이트’ , 화성의 소리를 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행성의 지질학자’로 불리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탐사선 ‘인사이트(InSight)’가 2018년 11월 26일 화성 적도 부근의 엘리시움 평원에 무사히 착륙했다. 인사이트는 화성의 바람 소리를 지구에 들려주고, ‘셀피(자기촬영사진)’를 보내는 등 맹활약을 펼치고 있다. 인사이트는 인류가 ‘제2의 ... ...
- Part 1. 달 탐사 기술의 어제와 오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창어 4호가 2019년 1월 무사히 달 뒷면 남극 에이트켄 분지에 착륙하면 중국은 달 뒤편의 심우주에서 오는 0.1~40MHz 수준의 저주파를 관측해 별이 소멸되는 과정과 다양한 성간 물질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계획이다 ... ...
- Intro. 앞으로 181시간, 인류 최후의 선택은?! 타임캡슐에 담을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일 13시간. 우주 저편에서 날아오는 운석이 지구에 부딪히기까지 남은 시간이다. 상황실에 모인 과학자들은 냉정하게 현실을 파악했다. 운석의 크기와 속도로 미루어, 약 일주일 뒤에는 지구 생명체 대부분이 사라질 것이다. 마지막 순간, 꼭 남겨야 할 수학을 선택하라. Intro. 앞으로 181시간, 인류 ... ...
- Intro. 달 착륙 50주년 기념 출발! 은하수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목적지까지 안전하고 즐거운 여행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그럼, 우주선 출발합니다~!” Intro. 달 착륙 50주년 기념 출발! 은하수 여행Part 1. 몸풀기 게임 진실 혹은 거짓Part 2. 달은 지구촌 세상?Part 3. 태양계 경계 - 태양풍이 멈추는 곳에 다다르다Part 4. 태양계 밖 - 외계행성의 비밀을 ... ...
- Part 1. 몸풀기 게임 진실 혹은 거짓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진실 혹은 거짓 4 - 인공 달이 떠오른다? 지난 10월, 중국의 민간기업인 청두우주과학기술전자시스템연구소는 2020년까지 ‘인공 달’을 하늘에 띄워 전기 에너지를 아끼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어요.인공 달의 정체는 거대한 금속판을 단 인공위성이에요. 금속판이 지구의 정지 궤도*를 돌며 ... ...
- [과학뉴스] 우리 기술로 만든 천리안2A호 발사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등 52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할 계획이지요. 천리안2A호는 지구의 기상 정보뿐 아니라 우주 기상도 탐지할 예정이에요. 태양 흑점의 폭발이나 고에너지 입자 등을 측정해 국내외 비행 승무원에게 유용한 정보도 제공할 예정이랍니다 ... ...
- [에디터노트] 더 넓은 창으로 보는 과학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세련되게 고치고, 제목의 군살을 뺐다. 섹션을 신설해 기사의 흥미와 깊이도 더했다. 우주(SPACE)와 테크(TECH) 섹션에는 첨단 과학기술 트렌드를, 교육(EDUCATION) 섹션에는 10대 독자들을 위해 진로, 진학 정보를 담았다. 컬처(CULTURE) 섹션은 영화, 드라마 등 대중문화를 움직이는 힘을 과학기술의 ... ...
- Intro. MOONRUSH, 달 탐사 레이스가 시작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우리가 달에 가기로 한 이유는, 그것이 쉬운 일이 아니라 어려운 일이기 때문입니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야심찬 목표는 현실이 됐다. 1969년 7월 20일 아폴로 11호의 선장 닐 암스트롱은 달에 첫 발자국을 남겼다. 그로부터 50년, 인류는 또 한 번 달에 갈 계획을 세운다. 이번에는 좀 다른 이유 ... ...
이전1551561571581591601611621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