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완벽한 기하학의 집합체, 눈수학동아 l2014년 01호
- 결정을 탐구한 최초의 수학자다.3. 현미경으로 눈을 관찰한 생물학자, 로버트 훅(1635~1703)17세기 중반에 이르러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눈 결정 관찰은 급속도로 발전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영국의 과학자 로버트 훅이 있었다. 초기 현미경을 사용한 로버트 훅은 1665년 자신의 저서 ... ...
- [퍼즐 해결사] 퍼즐 해결사가 되기 위한 첫 관문수학동아 l2014년 01호
- 뭔가에 집중할 때 손톱을 물어뜯는 버릇이 나온 것이다.“맞아! 피에트로 카탈디는 16세기 이탈리아의 수학자야. 메르센 소수를 찾기도 했어. 메…, 메르센 소수? 그래! 그거야. 여섯 자리 비밀번호!”부산행 열차에서 만난 낯선 남자비밀번호를 찾은 소마는 폭탄이 터지기 전에 재빨리 비밀번호를 ...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과학동아 l2014년 01호
- 1911년이었으니까 그로부터 표준모형의 모든 입자들을 실험적으로 검증하는 데에 거의 한 세기가 걸린 셈이다. 그 100년의 역사는 물리학 혁명의 역사였고 인류 문명의 혁명의 역사였다. 힉스 발견 이후의 또 다른 100년은 인류에게 어떤 역사로 펼쳐질 것인지 지금으로서는 가늠조차 하기 힘들다. ... ...
- 고압송전탑 밑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배꼽 높이인 1.2m에서는 8mG로 나타난 사례도 있다. 765kV 송전탑 바로 밑에서 측정한 자기장 세기와 비슷하다. 최 소장은 “도로 밑에 주로 설치하는 지중화 송전선이 주거지 밑으로 지나가면 더 위험할 수도 있다”면서 “눈에 보이지 않아 방심할 수 있기 때문에 더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더구나 ... ...
- 지구 반대편에 있는 가족의 뺨을 만지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2030년, 뜨거운 열정에 휩싸인 두 남녀는 ‘가상 섹스 장치’ 안으로 들어갑니다. 그러나 20세기에서 온 형사 존 스파르탄(실베스터 스탤론 분)은 곧 기계를 벗어 던져 버립니다. 당시 많은 사람들이 이 장면을 보고 통쾌한 기분을 느꼈다고 얘기했지요. 과학적으로 불가능한 설정은 아니지만, 사람간의 ... ...
- 소멸인가 생존인가, 아이손의 행방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세기에 나타나는 혜성 가운데 가장 밝을 것으로 예측돼 ‘세기의 혜성’이라고 불린 아이손(ISON). 그런데 지난 11월 29일, NASA(미국항공우주국)가 ‘마른하늘에 날벼락’ 같은 소식을 발표했어요. 아이손이 태양 부근을 지나다 사라져 버렸다지 뭐예요. 대체 무슨 소리일까요?아이손은 태양계 ... ...
- 자석과 부력으로 오르락내리락 정신없이 바쁜 자석 바람개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바꿔서 전류를 만들어내는 ‘발전기’를 만들수 있답니다. 전류와 자기장의 관계는 19세기 초반 덴마크의 한스 외르스테드가 알아냈지요.2 네오디뮴 자석으로 바람개비를 만들어라!앗! 제 주머니 속에 강력한 네오디뮴 자석이 들어 있었군요. 언제 넣어 놓으신 거예요~.사실은 실험 준비를 하다가 ... ...
- 아이손, ‘혜성’처럼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잘 몰랐던 사람들의 착각이야. 혜성은 태양계의 비밀을 품고 있는 작은 천체지. 때마침 21세기 가장 밝은 혜성이자 딱 한번만 볼 수 있는 ‘아이손’ 혜성이 지구로 접근하고 있대. 같이 보러 가지 않을래? 혜성은 긴 머리를 휘날린다혜성은 타원 또는 포물선 궤도를 따라 우주를 돌고 있는 작은 ... ...
- 건강한 색깔 입힌 기능성 과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씹히는 ‘석세포’가 있어요. 맛은 달콤했지만 까끌까끌해서 먹기 힘들었지요. 그런데 18세기 벨기에와 프랑스 과학자들이 석세포가 적어 씹기 좋은 배를 개발했답니다.*교배 : 동식물의 암수를 인위적으로 수정 또는 수분시켜 자손을 얻는 일.자두도 먹고 싶고, 살구도 먹고 싶어. 어떤 걸 먼저 먹어 ... ...
- 전기로 대화하는 물고기를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감전사할 수 있을 정도로 강한 전기지요. 하지만 저희의 전류는 아까 말씀드렸듯이 세기가 너무 약해서 작은 먹이조차 잡을 수 없답니다.대신에 전기를 이용해 방향을 찾거나 주변의 친구들과 대화를 나누어요. 제가 살고 있는 가이아나의 마자루니 강은 강물이 늘 혼탁한 상태거든요. 앞을 제대로 ... ...
이전1551561571581591601611621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