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검시관의 사건 노트] 모든 접촉은 흔적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양쪽에서 모두 접촉을 확인할 증거가 발견됐으므로 이 둘은 확실히 접촉했다고
볼
수 있다. 즉, 디스크에 넥워머가 감겼다는 것이다. 수집된 증거를 통해 사망 과정을 추론했다. 아마도 작업 중 그라인더가 튀면서 넥워머가 급격히 그라인더의 디스크에 말려 들어갔을 것이다. 넥워머가 목 전체를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국 최초의 우주인이 된 여성, 헬렌 샤먼(Helen Sharman)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몇 해 전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전하면서 무척이나 서운해 했다. 2001년 폐기돼 지금은
볼
수 없는 러시아의 미르 우주정거장에 대한 궁금증도 직접 다녀온 그에게 묻지 않을 수 없었다. 개인적으로는 소문으로만 들었던 샤워실이나 사우나가 정말로 있었는지가 가장 궁금했다. 샤먼 박사는 ... ...
우리는 UST 퍼스트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힘을 쏟고 있다”며 “UST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기초 연구와 실용화 연구를 모두 경험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진로를 선택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KASI ┃'블랙홀 3인방'의 탄생 (UST 한국천문연구원 캠퍼스)올해 4월 10일 전 세계는 인류 역사상 최초로 공개된 초대형 블랙홀 ... ...
개미왕국 보존이냐? 개발이냐?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그런데 말이야…. 사실 우리는 지금 매우 위태로운 상황에 놓여있어. 우리 집이었던 (구)농림축산검역본부는 원래 일반인들이 들어오지 못하는 곳이었어. 그래서 개 ... 공존하기 위한 공원인지는 확실하지 않다”며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켜
볼
예정”이라고 말했답니다 ... ...
[인터뷰] 박형주 아주대 총장 - 연결’로 문제를 해결하는 폴리매스형 인재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용광로에 들어가서 결국엔 새로운 성질을 가진 하나의 물질로 재탄생해 나오는 것이라고
볼
수 있어요. 더 좋은 결과물을 위해서 각각의 구성요소는 사라진다는 뜻도 됩니다. 하지만 연결은 다릅니다. 각 구성요소의 정체성이 유지되면서 서로 연결하고 협력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낸다는 뜻을 ... ...
모기, 너란 놈... 며칠 듯이 잡고 싶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뒤 조사 중이다. 이 연구관은 “같은 종이라도 지역마다 계통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볼
바키아 감염 모기가 국내 모기 퇴치에 효과가 있는지 시험 중”이라고 말했다 ... ...
신비┃우리는 우주의 유일한 것인가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이에 따르면 책상 아래, 위, 5500km 상공 모두에
볼
펜이 존재한다. 다만 세 곳에 각각
볼
펜이 있는 세계가 ‘갈라질’ 뿐이다. 이때 갈라진 세계 하나하나가 다중우주다. 이 해석에 따르면 우리가 행하는 판단과 행동 각각이 우주를 갈라놓는다. A라는 독자가 이 글을 끝까지 읽을지 건너뛸지 고민하다 ... ...
질서┃거대구조, 초은하단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지점에서 138억 년 전에 출발한 빛이다. 그보다 더 멀리서 출발한 빛은 앞으로도 영원히
볼
수 없을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우리가 빛으로 관측 가능한 우주(Observable universe)는 지구를 중심으로 반지름이 465억 광년인 구 형태로 제한된다.그간 과학자들은 다양한 파장의 빛을 이용해 관측 가능한 우주 ... ...
[매스미디어] 스파이더맨 : 파 프롬 홈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나누고 함께 연구했어. 예비 수학자들에게 연구하는 동기를 부여하고 성취감을 맛
볼
수 있게 문제마다 난이도에 따라 1달러부터 5000달러까지 상금도 걸었지. 에르되시 상금을 받고 수학 연구에 더 매진한 덕에 좋은 연구를 할 수 있었다고 말하는 수학자도 있어. 새로운 스파이더맨의 멘토, ... ...
질서┃우주의 현재···우리는 어디에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후 2억~3억 년 지나 우주에서 최초로 만들어진 1세대 별들은 안타깝게도 지금은
볼
수 없다. 태양 질량의 수백~수천 배에 이를 만큼 거대했던 별들은 엄청난 온도와 압력에서 단기간에 빠르게 수소 연료를 소진하며 수명을 다했기 때문이다. 여전히 관측 증거는 없지만, 1세대 별들이 존재했다는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