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자기
보재기
보제기
보
d라이브러리
"
보자
"(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정상을 오르다 가쁜 숨을 가라앉히며 잠깐 바위 위에 걸터앉아
보자
. 구름바다에 덮인 정상도 좋지만, 주위로 눈을 돌려보면 아름답게 핀 야생화를 볼 수 있다. 바람이 강한 산 위에서는 바닥에 붙어 자라는 것이 많고 꽃잎도 그리 크진 않지만 아름다움은 결코 산 아래의 꽃에 뒤지지 않는다.문순화 ... ...
못 버리는 것도 병, 저장강박증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불안에 휩싸인다.이러한 저장강박은 특이한 것이 아니다. 지금 자신의 e메일 함을 열어
보자
. 버리지 않고 모아둔 메일이 수백 통은 넘을 것이다. 하지만 그 e메일을 다시 본 경우는 많지 않을 것이다. 저장강박은 처음에는 단순히 필요한 것들을 모아두는 일에서 시작한다. 언제 필요할지 모르는 ... ...
Intro. 완벽한 지구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어둡거나 추운 낯선 행성이 있을 뿐이다. 여러 조건을 바꾼 가상의 지구를 탐구해
보자
.그리고 우리에게 딱 맞는 맞춤형 지구를 설계해
보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완벽한 지구 만들기Part 1. 6가지 가정으로 예측해 보는 ‘만약에 지구가’Part 2. 나만의 지구를 설계한다면? ... ...
Epilogue. 완벽한 지구는 어디에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우리처럼 친구가 사는 행성을 찾아우주를 탐색하고 있는 외계 지적생명체를 상상해
보자
.그들이 과연 지구를 후보에 넣었을까.이 그림에서처럼 다양한 풍경의 행성에 사는 생명체들은,망원경으로 관측한 지구의 풍경에 놀라고 말았을 것이다.우리에게 천혜의 환경인 지구는,어쩌면 수많은 ‘완벽한 ... ...
Part 3. 우리은하가 안드로메다은하와 충돌한다면?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알파 센타우리 별이다. 이 거리를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100만 분의 1 비율로 축소해
보자
. 그러면 태양은 지름 14cm의 구가 되고 명왕성까지의 거리는 약 500m가 된다. 알파 센타우리 별까지의 거리는 무려 4000km가 된다. 무수히 많은 별로 가득 차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은하는 실제로는 지름 14cm의 ... ...
2500m 초장거리 저격의 비밀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공기의 밀도에 따라 탄환이 날아갈 수 있는 거리가 길어지거나 짧아진다.예를 들어
보자
. 해발 0m에서 영점을 잡은 저격소총을 해발 1500m가 넘는 태백산 정상 같은 곳에서 사용하면 어떻게 될까. 탄환이 표적을 아예 빗나가버린다. 온도의 변화가 없다고 가정했을 때, 해변에서 영점을 잡은 ... ...
피부는 장식이 아니야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우리 인류에 대해서는 어떨까. 피부에 대해 몇 가지 이야기를 할 수 있는지 꼽아
보자
. 서너 가지 이상 떠올릴 수 있다면 비교적 관심이 많은 독자다. 대부분은 피부색이나 미용을 제외하고 나면 할 말이 사라질 것이다.인류학자이자 생물학자인 니나 자블론스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교수가 쓴 ... ...
꿈과 맞는 진로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느낌을 쓰려고 하면 내용이 잘 기억나지 않고 귀찮아진다. 그렇다면 녹음기를 이용해
보자
. 책을 읽는 중간중간 느낀 것이 있거나 아이디어가 떠오를 때 녹음기에 녹음을 해두자. 녹음한 것을 나중에 들으면서 독후감을 써도 좋다. J학생은 녹음기 방법을 무척 좋아했다.“우와. 그런 방법이 있었군요. ... ...
[시사] 눈덩이처럼 이자가 불어난다? 복리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때 월단위로 0.5%의 복리를 주는 곳과, 연단위로 6%의 복리를 주는 곳의 이자를 비교해
보자
. 1년이 지난 뒤 월복리 0.5%의 경우 이자와 원금의 합은 10만 원×(1.005)12≒10만 6168원이다. 연복리 6%의 경우 이자와 원금의 합이 10만 6000원으로, 월복리 0.5%가 더 많은 이자를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시간이 ... ...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일본도 독자적인 수학 문화를 꽃 피웠다. 아시아 삼국에서 꽃 피운 수학의 즐거움을 느껴
보자
.시로 읊은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 이 한시는 인생과 어우러진 적벽의 봄과 가을 풍경을 그린 시처럼 보인다. 하지만 알고 보면 한시 형태를 띤 ‘구결’이라는 중국의 수학 문제다. 과거 중국인들은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