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료소
의원
hospital
병원미생물
미생물
사설병원
사설
d라이브러리
"
병원
"(으)로 총 2,597건 검색되었습니다.
삼각뿔 모양 영양 창고 간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까지 줄 수 있다. 제공자의 간도 한두 달이면 100%로 회복된다. 필자가 일하고 있는 아주대
병원
의 경우 간이식 수술을 집도한 의사는 수술 후 2주 정도 충분히 휴식한 다음 다른 간이식 수술을 한다. 그만큼 간이식은 어렵고 힘든 수술이다 ... ...
조류독감 비상사태를 선포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H2N2는 100만명, 1968년 홍콩독감의 H3N2는 70만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고려대 구로
병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는 “20세기 판데믹은 최소 11년, 최대 39년만에 돌아왔다”며 “지금은 마지막 판데믹부터 37년이 지났기 때문에 또다른 대변이가 출현하기 직전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그리고 ... ...
"살찐 게슈타포 구출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힘을 이용한 거대한 기중기를 만들어 냈어. 덕분에 게슈타포는 앰뷸런스에 탈 수 있었고,
병원
에서 진찰을 받아 건강이 좋아지게 되었지. 문병 온 아인슈타인 박사님에게 참회의 눈물을 흘리는 게슈타포. 그에게 아인슈타인박사님은 이런 말을 하는데….“내가 뭐 한 게 있나. 오히려 멋진 ... ...
초강력 허리케인 급격히 증가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크기가 조금 크다 발진티푸스, 쓰쓰가무시병 등을 옮긴다 리케차 외에도 미생물
병원
체에는 곰팡이와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이 있다 곰팡이는 균사를 갖고 있는 생물인데, 핵막이 있는 진핵생물에 포함된다 박테리아는 흔히 세균이라고 불리는 단세포 생물인데, 핵막이 없는 원핵생물에 포함된다 ... ...
나노 바코드 레이블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인공적으로는 배양할 수 없는 것 세균여과기로 걸러낼 수 없다는 의미에서 여과성
병원
체라고도 한다 크기는 04μ(미크론)에서 001μ정도 이것은 생존에 필요한 물질인 핵산(DNA나 RNA)과 약간의 단백질 외에는 아무것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생물의 세포에 기생해서만 살아간다 이런 이유로 ... ...
1. 황우석, 세상을 감동시키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강아지(puppy)의 이름을 따서 ‘스너피’(Snuppy)라고 지었다. 스너피는 4월 24일 서울대 동물
병원
에서 제왕절개 수술을 통해 태어났으며 태어났을 때 몸무게는 530g이었다. 왜 개 복제가 어려웠나세계 최초로 생쥐 복제에 성공했던 일본 리켄 발생·재생과학종합연구센터 와카야마 박사는 황 교수의 ... ...
원폭 60주년 '히로시마의 종이학'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살고 싶었다. 그리고 자신의 꿈인 달리기 선수가 돼 운동장을 달리고 싶었다. 그래서
병원
침상에 누워 매일매일 천년을 산다는 학을 종이로 접기 시작했다. 누군가 소원을 빌면서 천 마리 학을 접으면 그 소원이 이뤄진다는 말을 전해주었던 것이다. 그러나 운명의 신은 그가 천 마리의 학을 모두 ... ...
불에 탄 피부를 되살리는 태아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세포를 이용해 심한 화상 환자의 피부를 재생할 수 있게 됐다.스위스 로잔 대학
병원
의 패트릭 홀펠드 박사는 3도 화상을 입은 어린이 환자 8명에게 태아의 세포를 이식한 결과 놀라운 치료 효과를 거뒀다고 ‘란셋’ 8월호에 밝혔다. 태아세포는 14주만에 유산된 태아에서 얻은 것으로 윤리적인 ... ...
2. 무한 복제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도전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원숭이 복제 멀지 않다그러나 원숭이가 많다면? 마리아
병원
생명공학연구소 박세필 소장은 “미국에서는 실험용 원숭이 수천 마리를 보유한 영장류연구센터가 6군데 이상 있다”며 “복제 배아를 상당수 만들어 원숭이 복제를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 ...
아인슈타인 뇌에 담긴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정말 믿을 수가 없는 일들이었다. 썰렁 홈즈와 스티븐 레비는 마지막으로 프린스턴
병원
의 엘리엇 크라우스 박사에게로 갔다. 이곳에는 아인슈타인의 뇌가 보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뇌 조각이 아니라 뇌 자체를 보관하고 있다면 어쩌면 더욱 놀라운 비밀을 알아 낼 수도 있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