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칙
원리
원칙
규정
법
규범
이치
d라이브러리
"
법칙
"(으)로 총 1,92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은 모순을 먹고 자란다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이들 두 이론을 체계적으로 엮을 수 있는 통일이론이 존재하느냐?"라는 의문이다."우주
법칙
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면 우주를 완전히 설명할 수 있는 통일이론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인간에 의한 완전한 통일이론에는 근원적인 모순이 있다…."만일 완전한 통일이론이 있는 것이라면 ... ...
1 자연 형태 비밀의 열쇠 기하학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창조자가 사용하는 제5의 원소인 에테르에 정12면체를 적용했다.케플러의 행성운동
법칙
도 그 첫걸음은 행성의 궤도에 플라톤입체를 적용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했다 ... ...
3 신비스런 5각형·6각형의 조화 풀러렌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건축의 핵심을 이루었다. 결국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는 자연계의
법칙
을 구조물에서 구현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탄소60 발견의 드라마는 1985년에 시작됐다. 휴스턴에 있는 라이스대학의 리처드 스몰리와 영국 석세스 대학의 해롤드 크로트가 탄소60의 분자구조가 축구공과 같은 모양일 ... ...
유전자 알고리듬 이용, 전자공학의 새 시대 연다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따라서 유전자 알고리듬이란 자연 생태계의 진화 과정에서 보이는 적자 생존의
법칙
을 컴퓨터의 알고리듬으로 표현해 탐색이나 최적화 문제, 기계학습 등의 분야에 적용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다시 말해 유전 알고리듬에 관한 연구는 생물학적 연구의 분석과 관찰을 전자공학의 ... ...
2 머리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도입과 시뮬레이션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복잡한 환경에서 다양한 경우의 수를 정해진
법칙
에 의거해 처리하는 이른바 자동 작업 계획 수립법은 더욱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여기서 잠깐 환경 모델링(world modeling) 기술에 대해 알아보자. 환경모델링 기술이란 주위 환경에 존재하는 배경이나 객체 ... ...
보고 듣고 냄새 맡는 바이오 컴퓨터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있다. 전자가 기존의 계산 방법이라면, 후자가 생물학적 신호처리다. 이 방법은 예로부터
법칙
을 스스로 찾아내게 되어 있다.생물학적 두뇌작용을 이해하고 모델화하려는 노력은 긴 역사를 가진다. 특히 1980년대에 신경회로망(neural networks) 연구가 부활한 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그림2). 현재 ... ...
1 크게 보면 같은 꼴-시작도 끝도 없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비율로 늘어나고 있다. 그러므로 멀리 있는 은하일수록 더 빨리 멀어진다. 즉 허블의
법칙
이 성립한다. 공간이 팽창하지 않았더라면 무한한 시간동안 태어났던 별들이 계속 죽으며 쌓여 오늘날 우주는 완전히 식어버린 백색왜성 중성자성 검은구멍들로 꽉 차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새 공간이 계속 ... ...
6. 일부일처 가족제 최선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자식이 성인이 될 때까지 육아에 힘쓰는 쪽이 번식전략상 이득이 된다는 것이다.이 같은
법칙
이 인간에게도 적용되는 것일까. 이 질문에 대해 헬렌 피셔는 세계 각국의 이혼 데이터를 조사한 결과 사랑은 4년으로 끝난다는 학설을 제시,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 또 바람기, 불륜도 생물학적으로는 ... ...
전설의 섬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로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발달로 해양에서와 같은 거시적인 자연현상은 초기조건과 경계조건으로부터 자연
법칙
에 따른 시간적인 변화를 미분방정식을 풀어서 예측, 활용할 수 있게 됐다.그러나 아직은 수치 모델에 의해 자연 현상을 정확히 추정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그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검정(檢定)을 위한 ... ...
우주팽창은 엔트로피 증가현상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제 2
법칙
을 위배하는 어떤 현상도 발견되지 않았다. 그렇다면 왜 이런 열역학 제 2
법칙
이 우주에 존재하는 것일까? 다시 말해서 왜 우주의 모든 물질은 좀더 무질서한 상태, 엔트로피가 증가된 상태로 진화하려하는 것일까? 아직까지도 이에 대한 명확한 해답은 없다. 아마도 이 역시 하이젠베르크의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