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d라이브러리
"
바깥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시아 우주정거장 미르 최후의 임무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러시아의 의무”라고 밝혔다.우주 공간에 떠있는 위성체는
바깥
으로 뛰쳐나가려는 원심력과 지구에서 끌어당기는 중력이 평형인 상태에서 궤도를 유지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위성체는 자신의 궤도를 벗어나는데, 추진장치를 사용해 궤도가 벗어나는 것을 수정한다. ... ...
자연에 깃든 구조의 신비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커질수록 둘레가 주로 강한 섬유질로 만들어지고 안쪽은 부드러운 조직으로 이뤄진다.
바깥
쪽의 섬유질은 나무의 무게(압축력)와 비바람 같은 외부 힘(인장력)에 잘 견디는 역할을 하고, 안쪽의 부드러운 조직은 영양분을 실어 나른다. 수십층이 넘는 고층 건물이 안전할 수 있는 것은 건물 외곽이 ... ...
만약 태초에 우주 팽창 속도가 느렸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세포가 서로 녹아 뒤섞이지 않을까.그 이유는 물에 녹지 않는 세포막이 세포 안쪽의 물과
바깥
쪽의 (다른 세포의) 물을 구분해주기 때문이다. 때문에 단 한개의 세포가 태평양 한가운데 있다 하더라도 세포의 내용물은 그 많은 태평양의 물에 의해 희석될 염려가 없다. 따라서 만약 세포막이 없다면 ... ...
천왕성을 찾아보자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들어와 발견한 첫행성이다. 망원경이 발명되기 전까지만 해도 토성이 태양계의 가장
바깥
을 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천왕성은 지구보다 다섯배 가량 크지만 발견 후 2백여년 동안 알려진 사실이 거의 없었다. 그러나 1986년 천왕성에 접근한 미국의 탐사선 보이저 2호로 많은 수수께끼가 풀렸다. ... ...
꿈을 띄워보내는 열기구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공기는 비닐 밖의 공기보다 온도가 높아지면서 내부공기의 밀도가 작아진다. 이때 비닐
바깥
의 차가운 공기와 비닐 안쪽의 더운 공기의 밀도 차로 인해 비닐이 뜨게 되는 것. 바로 이것이 열기구의 원리다.열기구의 선구자로는 18세기 프랑스인 몽골피에 형제를 꼽는다. 이들은 크고 가벼운 종이나 ... ...
라마와의 랑데부(Rendezvous with Rama)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간직한 '우주의 방주' 우주선 관리하는 거미 모양의 생체로봇22세기 어느날, 아득한 우주
바깥
쪽에서 태양계로 접근해오는 작은 천체 하나가 포착된다.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놀랍게도 그것은 길이 50km, 지름 20km의 원통 모양 인공물체라는 사실이 밝혀진다. 지구는 순식간에 떠들썩한 흥분에 ... ...
호킹이 연구하는 최신 막 우주론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혁명적인 물리학이론으로 부각되고 있는 엠(M)이론을 우주 연구에 응용해 천체물리학계의 최신 가설로 떠오른 '막(膜)우주론'.호킹 교수가 ... 뿐 아니라 우리의 우주도 여기에 아주 작게 말려 있어 볼 수 없는 반면 막 우주론은 우주
바깥
이 말려있지 않더라도 관측할 수는 없다고 설명한다 ... ...
③ 양자이론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전자(최외각전자)가 하나이며, 이 하나가 떨어져 나가면 +1가의 이온이 된다. 이렇게 맨
바깥
껍질의 전자의 수에 따라 화학적 성질이 결정되기 때문에 이를 족(family)으로 분류하면, 여덟 족의 화학원소 분류가 가능해지며, 이를 체계적으로 배열한 것이 바로 주기율표다.하이틀러와 론돈은 처음으로 ... ...
만약 전자의 스핀이 0으로 된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적용하면 모든 주기율표의 원소를 설명할 수 있으며 화학적인 성질을 결정하는 제일
바깥
쪽의 전자들인 최외각전자들의 배열에 따라 화학적인 성질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최외각 전자가 하나인 리튬과 나트륨은 비록 질량이 다르더라도 화학적인 성질은 매우 비슷하다.또한 전류가 잘 흐르는 ... ...
빛으로 소리 전달하는 레이저통신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이하로서 굴절률이 큰 유리섬유에 굴절률이 작은 유리를 씌운 것이다. 안쪽의 굴절률이
바깥
쪽보다 커 전반사가 일어나 에너지 손실이 거의 없이 빛 신호가 전달된다. 전반사란 무엇일까? 빛이 서로 다른 매질을 지날 때 속력차이가 생기고, 이것이 빛을 굴절시킨다. 그런데 굴절률이 큰 곳에서 작은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