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d라이브러리
"
물체
"(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의 영웅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있는 방법을 궁리하다가 유명한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케플러와 의논했다. 구 모양의
물체
를 쌓으면 어쩔 수 없이 빈 공간이 생기기 때문에 가능한 빈 공간을 적게 만드는 방법을 찾아 내야했다. 케플러는 두 가지 방법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알아 냈다. 이 두 가지 방법을 쓸 경우 구의 ... ...
거울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거울면의 반대쪽에 있습니다.이제 이해가 가나요? 거울에 비친
물체
의 모습은 원래
물체
와 좌우 대칭이 아니라 거울면에 대해 대칭인 겁니다. 그래서 좌우가 바뀌었다는 표현보다는 앞뒤가 바뀌었다는 표현이 더 정확하답니다.가만히 있으려면 달려라“글쎄요, 우리나라에서는 그렇게 오랫동안 ... ...
물의 힘으로 벽에 착~!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판에 뚫린 구멍을 따라 나와 방울처럼 맺혔답니다(③). 이 물방울들의 장력으로 30g의
물체
가 장치에 잘 달라붙었어요. 연구팀은 장치를 더 발전시켜 강력한 부착 장비를 만들 거래요 ... ...
올록볼록 공간도형의 세계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역시 기하학에 속한다.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보는 고층건물이나 다양한 모양의
물체
를 보면서 공간도형을 떠올린다면 공간도형이 아주 친근하다는 느낌이 들 것이다. 공간도형을 영어로 어떻게 부르는지 알아보면서 그 기원을 추적해 보기로 하자. 먼저 영어로 space figure라 부르는 공간도형의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수 있다고 생각했다.작은 지점에 모인 빛은 태양 표면보다 온도를 높일 수 있고 딱딱한
물체
에 구멍을 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봤다. 그가 만들고자 한 것은 오늘날의 레이저 빔 장치의 원형인 셈이다. 1959년 6월 미시간대에서 열린 광학 펌핑에 관한 회의에서 굴드는 자신의 구상을 ‘유도방출에 의한 ... ...
광집게로 DNA의 꼬인 나선 풀고 세포 특성 파악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환경 조건에 따라
물체
를 포획하는 힘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파장에 따라 포획할 수 있는
물체
의 크기는 어디까지인지 실험과 함께 이론적인 계산으로 증명하는 식이다. 이 교수는 “광집게라는 단어가 다소 생소하긴 하지만 1970년에 이론적으로 처음 발표됐고 1997년에는 응용연구가 노벨상을 탈 ... ...
빗자루 타고 하늘로 슝~!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수는 없어요. 반중력이 생기려면 질량이 음(-)의 값을 가져야 하는데, 아직 인류는 그런
물체
를 발견하지 못했거든요. ▲ 지구 주위를 도는 인공위성에도 중력이 작용한다. 지구가 인공위성을 끌어당기고, 인공위성도 지구를 끌어당기기 때문이다. 단, 인공위성의 경우는 궤도를 돌면서 발생하는 ... ...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②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따라서 멀리 떨어져 있는 별에서 나온 빛은 지구로 오는 동안에 다른 별과 같은 무거운
물체
옆을 지나면서 휘어진다.아인슈타인은 일식이 일어날 때 이 현상을 관측할 수 있으리라 예측했고, 별빛이 휘어지는 정도를 계산했다. 그리고 1919년 영국의 천문학자 아서 에딩턴은 개기일식을 관측해 태양 ... ...
과학교과서에서 찾은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물체
의 무게에 정비례한다. 이런 관계를 이용하면 용수철이 늘어난 길이를 측정해 매단
물체
의 무게를 알아낼수 있다. 이런 관계를 보기 좋게 정리할 때 흔히 그래프를 쓰는데, 그래프도 수학과 과학에서 모두 자주 쓰는 도구다. 수학에서는 주로 함수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낸 그래프를 많이 다룬다. ... ...
삼각형의 무한 변신!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둘러보면 사면체 모양의
물체
가 질서 없이 잔뜩 쌓여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이
물체
를 네 개(tetra)의 발(pod)을 가졌다는 뜻으로 테트라포드(tetrapod)라고 해요. 땅에 닿는 것이 언제나 세 개의 발뿐이어서 흔히 ‘삼발이’라고도 해요. 측량기나 삼각대도 일종의 삼발이죠.삼발이 모양을 수학에서는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