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STEP ② 숙주세포 침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의 단일가닥 RNA로 이뤄져 있다). 유전체는 바이러스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담고 있다. 오늘날 생명체 대부분이 안정적인 이중가닥의 DNA를 유전체로 활용하고 있는 것과 달리, 바이러스의 유전체는 단일가닥의 DNA나 RNA로 이뤄진 것도 있다. 생명의 기원이 RNA에서 비롯됐다는 ‘RNA 세계 ... ...
- T림프구...바이러스 자살 유도하는 똑똑한 전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1차 림프 기관(lymphoid organ)으로 분류됐다. 이 둘을 제외하고 성숙한 림프구가 발견되는 모든 기관은 2차 림프 기관으로 불린다. 비장, 편도, 맹장, 림프절, 심장이나 대장과 같은 장기, 생식기관의 점막 표면 등이 모두 2차 림프 기관이다. 골수에서 태어나 흉선에서 성장하는 면역세포가 T림프구다.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특정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염기서열의 길이는 같은데 그 구성이 다른 부위를 말한다. 모든 인간은 거의 같은 길이의 MHC 유전자 염기서열을 갖고 있고 그 대부분을 공유하고 있지만, 완벽하게 일치하는 경우는 없다. MHC가 실질적으로 면역계의 지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뜻이다. 혹자는 MHC의 발달이 ... ...
-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 Universal flu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유행할 바이러스에 대한 예측이 틀릴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만능 백신 개발의 핵심은 모든 바이러스가 종류와 돌연변이 여부에 관계 없이 공통으로 갖는 항원을 찾는 것이다. 가령 인플루엔자바이러스들이 공통으로 가진 단백질을 찾으면 이를 항원으로 사용해 만능 백신을 개발할 수 있다. ...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나타나고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상황에서 FDA는 위약으로 임상시험을 계속 진행하기보다 모든 환자에게 아지도티미딘을 처방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옳다는 판단을 내렸다. 아지도티미딘이 시판되기 시작되면서 에이즈 환자의 생존율은 크게 높아지기 시작했다. 물론 HIV의 반격도 만만치 않았다. ... ...
- [진로체험] 온라인에 남긴 흔적 찾는 데이터 분석 전문가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또 기계학습 기술로 데이터를 다루기도 합니다. 로그 데이터에는 빈곳이 많아요. 모든 사용자가 같은 방법으로 사이트를 이용하면 좋겠지만, 제각각이거든요. 이를 인공지능을 이용해 메꾸고 쓸모 없는 정보는 걸러냅니다. 사람은 할 수 없는 일이죠. 수학을 잘하면 데이터 분야 진출에 유리한가요 ... ...
- [별헤는수학] 랜선으로 떠나는 우주 여행, 이번 정류장은 화성입니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희망)’는 화성 주위를 1년 이상 공전하면서 대기의 상태를 관측할 예정입니다. 이 모든 탐사는 랜선을 타고 화성을 여행할 여러분을 위한 중계소 역할을 합니다. 지구에서는 볼 수 없는 신비로운 화성 표면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보내주기 때문이죠. 랜선 화성 여행은 과학자의 연구에 도움을 줄 ... ...
- [특집] 비밀의 방 책상 - 모든 단서를 모아 건물에서 대탈출하라!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저벅저벅’ 우리가 비밀의 방에 들어왔던 작은 통로 쪽에서 발소리가 나기 시작한다. 그 순간 탈출을 시작하기 전 받았던 지령이 생각났다. “우리가 아닌 다른 사람의 눈에 띄면 안 된다고 했었는데?!” 들키기 전에 얼른 마지막 암호를 해결하고 이곳을 빠져나가야 한다! 급한 마음에 이것저것 ... ...
- [이달의 수학자] 이 시대의 진정한 폴리매스, 데이비드 멈퍼드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연구 분야는 대수기하학의 ‘모듈라이 공간’이었습니다. 다항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모든 곡선을 포함한 공간을 연구하며, 새로운 수학적 성질을 밝히고 성질에 따라 곡면의 표면을 분류했습니다. 특히 고전적인 기하학적 아이디어와 최신 대수학적 기술을 접목하는 성과로 주목받았죠. 또 20세기 ...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하는 극적인 일인 셈이다. 그리고 생명을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유전자가 사실은 그 모든 변화의 중심에 있다. 살을 구성하는 연조직의 물렁물렁한 특성은 탄력적인 지방의 물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세포와 세포 사이의 틈을 메워주는 물질인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 ...
이전1551561571581591601611621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