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부"(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자오락을 열심히 하다가, IT 전문가가 됐어요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그는 이 과정에 다니면서 현재의 배우자를 만나 결혼도 했다.)정 파트장은 이후 영어 공부에 특히 힘썼다고 한다. 그는 우리나라 사람이 원어민처럼 영어를 듣고 말하지 못하는 것은 영어권 문화에 푹 빠져있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만일 현지에 간다면 생존을 위해서 습득을 했겠지만, ... ...
- 주경야독 철도원, 나노분야 대가로 성장하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강조했다. 그리고 이 교수는 항상 연구하는 사람은 몸이 건강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공부를 하면서 건강을 잃어봤기 때문에 건강의 소중함을 아는 것이다. 운동을 하면서 체력을 단련하는 것도 연구를 위해서란다. 이 교수는 요즘도 밤 늦게까지 연구실에 남아있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게 버틸 수 ... ...
- 남들이 하지 않은 길을 찾아 희열 느낀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이 때문에 제대로 화학 공부를 하고 싶었던 현 교수에게 유학은 당연한 수순이었다. 공부를 하고 싶어서 유학을 떠나기는 했지만,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었다. 현 교수는 당시를 회상하면서 ‘콘크리트 벽에 머리를 찧는 느낌’이었다고 말했다. 언어 장벽은 물론이고, 석사 때처럼 기존 연구를 ... ...
- 자동차의 ‘왕발’이 되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무엇을 좋아하는지 초점을 맞췄다. 심지어는 자주 아이들의 교사와 면담하면서 애들 공부 안시켜도 되니까 하고 싶은 것 시키겠다고 했다. 아이가 좋아하는 거 찾아서 시키게 하겠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김 교수의 또다른 직함은 젓가락문화협회 회장이다. 젓가락은 아이큐 개발에 큰 도움이 ...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그 당시에는 이공계와 인문계 구별이 분명해서 이공계 학생이 그림을 그리거나 다른 공부를 해볼 여유가 별로 없었다. 그는 “요즘은 그렇지 않으니 지금 세대는 이런 다양한 경험을 찾아서 하면 좋겠다”고 말했다.여기에 덧붙여 그는 영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대주의가 아니라 글로벌 시대에 ... ...
- 변리사가 꿈인 분들은 변리사 하지 마세요 (특허법인 정진 김주연 변리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중심으로한 컨설팅 업무를 많이 하다 보니 과학과 특허와 관련된 경영학이나 정책학을 공부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런 과정을 통해 변리사로서의 자질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하고 싶어했다. “앞으로 고객의 말씀을 경청하는 변리사가 될 거예요. 고객들은 그 분야 최고의 연구자고, 발명가이기 ... ...
- 선박의 안전을 지켜주는 슬로싱 방지 기술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무엇을 혹은 어떤 것을 하고 싶은지 명확히 알고 열심히 자신을 갈고 닦습니다. 스스로 공부를 하고 학문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동기가 있는 학생이 필요합니다. 확실한 목표를 가지고 동기를 가진 학생이라면 최고가 될 수 있습니다.졸업 후 진로는 어떻게 되나요?졸업 후 중공업 회사나 조선회사 ... ...
- 외국계 회사에서 영어보다 중요한 것은 공학에 대한 열정 (전용구 퀄컴 씨디엠에이 테크날러지 코리아 이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때문이다. 그는 또 “외국 신문을 읽는 것은 기술 경제 흐름을 살피는 것과 함께 영어 공부에도 도움이 된다”고 더붙였다. 전 이사는 마지막으로 외국계 회사에서 일하고 싶은 인생 후배들에게 “외국계 기업에서 일하면 넓은 경험을 할 수 있으며, 열심히 하면 본사서 일할 수 있는 기회도 ... ...
- 노화 정복 꿈을 실현한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어디에 종속되게 만들어갈 때입니다.” 행복함을 느끼지도 못하면서 일이나 시험, 공부에 매여서 불행하게 스스로를 학대하는 수준으로 하고 있다는 게 그의 진단이다. 특히 대학은 학문을 연구하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시기에 가장 아름다운 젊은이들이 있는 곳이다. 그래서 대학 교육이나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열렸다. 천 교수가 최근 연구하고 있는 분야는 생명정보학이라고 불리지만, 천 교수가 공부할 당시만 해도 이름조차 없었다. 그냥 '계산생물학'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하지만 최근의 빅데이터 열풍과 함께 생명정보학은 생물학의 역사를 다시 쓰는 첨단 분야로 떠올랐다. 인간이 지닌 30억 쌍의 DNA ... ...
이전1551561571581591601611621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