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운데"(으)로 총 4,864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유전정보의 변화와 표현형과학동아 l2010년 09호
- TAA가 시작과 종결코돈이라고 했다. 따라서 야생형의 DNA 서열을 이용해 생략된 부분의 가운데 주어진 서열에 세 가지의 가능한 해독틀을 적용한 경우 종결코돈이 나타나면 안된다. 이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해독틀 #1 TAG/ATC/GAT/CCT/AGC/CAT/GGC/ACG/TAG → 종결코돈 생성 해독틀 #2 TA/GAT/CGA/TCC/TA ...
- 눈을 크게 뜨고 봐야 하는 통계수학동아 l2010년 09호
- 점수가 몇 점이죠?소망 : 96점이요.선생님 : 이렇게 모든 값을 크기 순서로 늘어놓았을 때 가운데 있는 값을 중앙값이라고 해요. 중앙값 역시 대푯값 중 하나죠.기쁨 : 중앙값도 맘에 들어요. 44점의 기억을 지울 수 있다면 무조건 좋아요.사랑 : 그런데 대푯값이라면 44점이든 100점이든 골고루 반영해야 ... ...
- 이중휴명 전략펴는 깽깽이풀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충족돼야 발아하는 종류도 많으니까요. 예를 들어 건조한 지대에 사는 식물의 씨앗 가운데는 겉에 발아를 억제하는 물질이 발라져 있는 종류가 있습니다. 비가 충분히 내려 이 물질이 씻겨 나가야 발아가 시작되죠. 어린 식물은 수분이 충분히 공급돼야 생존할 수 있기 때문이죠.우리나라처럼 ... ...
- 사람이 영리한 이유는 머리와 몸이 따로 놀기 때문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진화한 결과 사람의 뇌가 월등하게 발달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그들은 척추동물 가운데 가장 하등한 어류와 가장 고등한 사람을 비교 분석했다.어류와 사람 사이에 뇌 발달 정도 차이가 나는 이유로 연구팀이 주목한 것이 바로 ‘목 관절’이다. 목이 생기면서 뇌가 발달했다고 본 것이다.어류와 ... ...
- 지오의 나라수학동아 l2010년 09호
- 아홉입니다. 가로로 더해도 산대는 아홉 개고, 세로로 더해 봐도 산대가 아홉 개니까요. 가운데는 비었으니 따로 계산하지 않아도 되는 거고요.”지오는 맥 빠진 목소리로 답했다.“오호라! 눈썰미도 제법이구나. 근데 이 정도는 누구나 안다. 그러니 이건 문제랄 수가 없지. 진짜 문제는 ... ...
- 다리에서 에펠탑까지 , 도시가 변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멋진 다리를 보고 찍은 사진처럼 평범해 보여요. 하지만 당시에는 굉장히 특이한 그림 가운데 하나였답니다. 왜냐하면 이렇게 도시 풍경을 그림으로 그리는 일 자체가 별로 흔하지 않았기 때문이에요. 당시엔 역사나 종교, 신화에 관한 주제로만 그림을 그리던 전통이 있었거든요. 그런데 ... ...
- Part 3. 한가위의 달이 대보름달일까?수학동아 l2010년 09호
- 정월 대보름한가위라는 이름은 ‘한가운데’라는 뜻이다. 팔월 한가위는 8월의 한가운데인 팔월 보름날을 뜻한다. 팔월 한가위를 줄여서 한가위라고도 부른다. 하지만 팔월 대보름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 한가위의 보름달이 커 보인다고 해서 이렇게 부르는데 정확한 이름이 아니다. 대보름은 ... ...
- 통계로 태어나서 통계로 죽는다?수학동아 l2010년 09호
- 모든 대상자 중에서 정중앙에 위치하는 값이야. 중앙값을 고를 때 표본수가 짝수면 가운데 양쪽에서 2개를 구한 뒤 산술평균을 내면 돼.예를 들어 0, 10, 15, 20, 25, 30, 35, 35, 80, 90, 100 이렇게 11개의 값이 있다고 하면 여기서 평균은 40이지만 최빈값은 35, 중앙값은 30이 돼. 값 대부분이 평균보다 많이 . ...
- 포철지곡초 6학년팀, 우리가 수학왕!수학동아 l2010년 09호
- 등 세계 24개국이 출전했습니다. 대표 선발전을 통해 뽑힌 수학 영재 1050명이 참가한 가운데 7월 24일부터 30일까지 인천에서 열렸습니다.팀 부문과 개인 부문에서 각각 최고상인 금상을 받은 김지호 군은 “러시아 수학 교수가 지도하는 수학 시간에 비슷한 유형의 문제를 많이 다뤄 봤기 때문에 ... ...
- PART 4 아름다운 수학의 결정체수학동아 l2010년 08호
- 건축가 마테스 로리체르는 첨탑을 설계하는 방법을 설명한 책을 냈어. 정사각형 각 변의 가운데를 이어 안쪽에 새로운 정사각형을 만드는 방법이지. 특별한 공식이나 계산없이 반복만으로 첨탑을 설계할 수 있었어.유럽의 대성당과 같이 큰 건물은 수십~수백 년에 걸쳐 짓는 일이 많았어. 앞 ... ...
이전1551561571581591601611621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