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뉴스
"
분리
"(으)로 총 2,559건 검색되었습니다.
티베트 고원지대 차지한 첫 인류는 ‘데니소바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조각을 전혀 발견할 수 없었기에, 연구팀은 대신 턱뼈에 남은 어금니 한 개에서 단백질을
분리
해 해독했다. 프리도 웰커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연구원은 “현생인류의 단백질에 의한 오염이 가장 큰 문제였지만, 화석 속 단백질은 잘게 파편화돼 분명히 구분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 ...
별탄생 신비 밝히고 우주부품 검증할 ‘차세대소형위성’ 초기 운영 '합격점'
동아사이언스
l
2019.04.30
단으로 구성됐다. 추력을 담당하는 아랫단부터 과학임무를 수행하는 제일 윗단까지 모두
분리
가 된다. 모듈화를 이루면 임무에 따라 각기 다른 장치를 끼워넣으면 되기 때문에 다양한 위성을 쉽게 개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 전송 방식을 통일하고 부품의 전압도 통일하는 등 접속조건을 ... ...
신개념 나노촉매로 이산화탄소 70% 이상 에틸렌으로 변환
동아사이언스
l
2019.04.28
지금까지 개발된 전기화학 촉매는 다양한 혼합 생성물이 함께 만들어지기 때문에 추가
분리
과정이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다. 이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팀은 구리산화물 육면체 나노입자를 합성한 뒤 산화시켜 가지 모양의 구리산화물 나노입자로 합성했다. 이를 탄소 지지체 표면에 ... ...
“이것이 인간이 처음 소행성 표면에 만든 인공 크레이터”
동아사이언스
l
2019.04.27
접근한 뒤 ‘SCI’라는 구리로 만든 무게 2.5kg의 충돌장치와 ‘DCAM3’라는 카메라를
분리
했다. 그 뒤 폭발력을 이용해 SCI를 류구 표면에 총알처럼 발사해 충돌시켜 크레이터를 형성시켰다. 하야부사2는 SCI가 충돌로 일으킬 먼지에 피해를 입지 않도록 사전에 멀리 떨어진 상태였다. 이후 하야부사 2는 ... ...
SF가 현실로… 인공뇌가 ‘의식’을 갖는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됐다. 이달 18일 미국 예일대 의대 연구팀은 죽은 지 4시간이 된 돼지 32마리에서 뇌를
분리
한 뒤 특수 용액을 순환시켜 6시간 동안 뇌 조직을 살아있게 하는 데 성공했다고 소개했다. 뇌는 정상 형체를 유지했고 뇌 면역세포가 기능을 했으며, 뇌세포와 뇌세포를 잇는 접합부인 시냅스에서 신경신호도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은 왜 편리한 날개를 버렸나
2019.04.24
이산가족을 만든다. 장소만 달리하는 미묘한 차이가 쌓여 각기 다른 생물 집단으로
분리
되고 생식적 장벽이 생겨 서로 짝짓기가 불가능한 남남이 된다니 그들에게는 치명적 시련이 된다. 곤충은 계통적으로 진화하면서 날개 수와 크기나 가능을 조절하는 경향을 보인다. 잠자리나 하루살이처럼 ... ...
전문가들 “삼성 폴더블폰 주요부품인 보호막 떨어지게 설계한 건 심각한 문제”...출시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소재까지 함께 뜯어지는 것을 뜻한다”고 설명했다. 마치 겉옷을 벗으면 겉옷만
분리
돼야 하는데 겉옷을 벗는데 속옷까지 함께 벗겨지는 것이라는 얘기다. 최경철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는 현재 기술로는 보호필름 없이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견해를 ... ...
기능성 촉매 성능 높일 금속나노 입자 제어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800도의 고온에서 서로 뭉치지 않고, 특정 산화물 기판이나 지지체에서 특정 금속성분이
분리
되어 기판 표면으로 나오는 현상을 ‘용출’이라 부른다. 이 현상으로 촉매 입자가 지지체 표면에 박히게 되면서 고온에서도 결정이 굵어지는 ‘조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화학적 잠재에너지가 크지만 ... ...
에너지 생산하고 터치 감지하는 투명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센서 사이에는 투명도를 높이고자 반고체 전해질을 담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매트를
분리
막으로 썼다. 그 결과 풍경과 글자가 선명하게 보일 정도로 투명한 77.4%의 투명도를 얻을 수 있었다. 최 선임연구원은 “영화에 등장한 투명 휴대폰이 너무 멋져서 관련 연구를 시작하게 됐다”며 ... ...
“동해 지진, 동해 사라지는 전주곡일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아래로 파고드는 구조)로 변하고 있다고 결론 내렸다. 한반도와 동해가 사실상 두 개의
분리
된 거대한 지각 덩어리(판)로 돼 있고, 이 두 판은 서로 충돌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는 한반도와 동해가 하나의 거대하고 안정된 지각 덩어리(판)로 돼 있고, 가장 가까운 판 경계부도 동일본과 태평양 판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