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하생
제자
생도
학도
피교육자
학상
동공
d라이브러리
"
학생
"(으)로 총 5,140건 검색되었습니다.
OUTRO. 우리는 과연 진짜일까?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보여줘 이해를 도울 수 있기 때문이다. 조선 시대를 배우는 역사 시간에는 교사와
학생
이 함께 조선에 가서 왕이 있던 시대를 직접 체험할 수 있다.지난 2014년 세계 최대 소셜네트워크 페이스북이 가상현실 제작 업체인 오큘러스를 인수하면서 더 많은 것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아직은 페이스북에서 ... ...
[지식]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온 친구들에 대한 편견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기자는 대
학생
시절 새터민 짝꿍과 한 학기 동안 수업을 들었던 적이 있다. 처음에는 북한에서 왔다고 얘기해주지 않았지만 가까워지자 마음을 열고 이 사실을 알려줬다. 사실 말투로 인해 이미 눈치를 채고 있었고, 편견을 갖고 ... ...
[지식] 재미난 수학이 삶을 바꾸다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한국수학올림피아드)나 경시대회를 위한 여름/겨울학교에 들어가는 데 모든 걸 거는
학생
들이 많대요. 하지만 수학을 잘하는 방법, 수학으로 성공하는 방법이 단지 그것만은 아니에요. 수학을 잘하는 친구들이 다양한 활동으로 자신의 사고를 넓혔으면 좋겠어요 ... ...
[공모전] 우리 문제는 우리가 해결한다! 행복한 과학기술 공모전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아이디어로 어려운 사람들을 돕고 사회 문제를 해결한
학생
들에게 박수를 보냅니다.
학생
들의 바람처럼 우리가 사는 세상이 더욱 행복해졌으면 좋겠어요 ... ...
[Tech & Fun] ‘헬조선’의 불행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원하는 것을 찾기보다는 타인이 자신에게 바라는 모습, 예를 들어 착한 딸, 성실한
학생
같은 모습으로 자신을 규정하고 살아간다. 다른 이의 눈치를 보며, 이런 눈치를 피하기 위해 하기 싫은 일을 억지로 하는 사람도 많다. 이혼만은 절대 안된다며 근근이 결혼생활을 이어가는 부부들이 좋은 예다 ... ...
미션 3. 수거한 쓰레기를 처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전했어요.볼리비아에서는 전자쓰레기가 로봇으로 재탄생했어요. 볼리비아의 17살 고등
학생
에스떼반은 자신이 사는 지역에 청년의 수가 줄어들면서 농사를 돕는 일손이 부족해지는 상황이 안타까웠어요. 그래서 쓰레기장에서 찾은 전자제품으로 로봇을 만드는 데 성공했지요. 애니메이션 캐릭터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척추 교정 클리닉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뛰어 노는 것이 척추측만증 예방에 가장 중요하다고 얘기했어요.“성장기에 있는
학생
들은 뼈의 성장속도에 비해 근력이 약해요. 그래서 근육이 뼈를 충분히 잡아 주지 못해 휘어지기 쉽죠. 평소에 활발하게 뛰어 노는 것이 척추측만증의 가장 중요한 예방법이랍니다 ... ...
[수학뉴스] 만점 금메달에 얽힌 비하인드 스토리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6번 문제는 수학동아 독자들도 풀어보면 좋겠습니다. 기발한 아이디어만 있으면 중
학생
도 풀 수 있는 문제거든요. 그런데 그 아이디어를 생각지 못하면 아주 어려운 문제지요. 그래서 답을 보면 왜 이렇게 쉬운 문제를 못 풀었지 한답니다(문제는 수학동아 블로그에서 확인하세요. 엄상일 교수님의 ... ...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아이언맨 슈트 연구비를 지원받는 것이다.하지만 한주연은 본인이 입학할 때와 달리 여
학생
이 많아진 학교 분위기에 적응할 수 없다며 학교를 떠나기로 한다. 그때 지우가 미닫이문을 열고 나가는 선배를 막는다. 대부분의 사람은 신경도 쓰지 않고 넘길 상황에서 한주연은 ‘뭐야. 힘의 합력을 ... ...
[수학동아클리닉] 실용적인 비례식과 비례배분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것입니다.예를 들어 24개의 사과를 3:5의 비로 2개의 상자에 나누어 담으려고 할 때 간혹
학생
들은 3:5만 보고 24에 3/5을 곱하기도 합니다. 이런 실수를 막기 위해서는 비례배분에서 기준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