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결"(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인간 뇌의 신경망 수는 1000조 개에 달하는데다, 매 순간마다 변화를 거듭한다. 새로운 연결이 생겨서 굵어졌다가도 어느새 사라져버리고 만다. 새로운 곳으로 이사하면 그곳의 지리, 사람 등 온갖 정보를 다시 저장해야 하므로 이전의 정보는 그 중요도에 따라 더 진해지기도 하지만 금세 옅어져 ... ...
- Part 2. 태초의 음악은 어떤 꼴이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통해 피부색이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기 시작했다.음악은 젊은 세대와 나이든 세대의 연결고리가 되기도 한다. 이는 음악치료사인 필자의 경험으로도 쉽게 알 수 있다. 가끔 음악치료에 오는, 질풍노도의 사춘기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필자는 “아이들을 이해하는 것이 당장 어렵다면 먼저 아이들이 ... ...
- Part 2. 미시세계 꿰뚫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7년 03호
- 과정을 분석하기란 어렵다. 여기에 위상수학의 한 분야인 매듭이론이 쓰인다.위상수학과 연결된 매듭이론매듭이론은 꼬인 선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보통 매듭이라 하면 긴 줄을 꼬아 묶은 것을 말하지만, 수학에서는 줄의 양 끝을 이어붙인 것을 매듭이라 한다. 가장 간단한 매듭은 아래 그림에서 ... ...
- [Issue] 쓸모없다 해서 미안했다 충수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아팠다. 대표적인 게 맹장염, 정확하게는 ‘급성 충수염’이다. 맹장은 대장과 소장이 연결된 부위 아래쪽으로 오동통하게 부풀어 오른 대장의 일부로, 맹장에 붙어 있는 새끼손가락만 한 돌기인 ‘충수’가 막혀서 생긴 염증이 급성 충수염이다. 충수가 막히는 원인은 충수 주위의 림프 조직이 과다 ... ...
- [Origin] 소리를 지배한 파충류, 지구를 접수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속귀 안에 있는 액체가 진동하면서 달팽이관 속 청각세포를 자극한다. 최종적으로 뇌에 연결된 청신경을 자극하면 뇌가 소리를 감지하게 된다. 등자뼈가 반대로 움직이면 체액과 조직이 원래 위치로 되돌아 온다.이 때 머리뼈에 난 또 다른 구멍을 통해 음파가 빠져 나간다(압력 완화). 이 ... ...
- [Origin] 강아지 고민상담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말처럼 개도 주인이 준 만큼 주인을 사랑한다는 겁니다. 오늘 이야기는 어찌보면 답이 다 연결돼 있습니다. 우리가 점점 외로워지고 있고 그것을 채울 누군가를 필요로 합니다. 말이 통하지 않아 조금 더디지만, 나를 흉내 내고 내 마음을 받아주면서 사랑해주기까지 하는 강아지는 이제 많은 ... ...
- [Future] 전자회로의 ‘미싱링크’ 멤리스터는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기억할 때 관련한 시냅스의 활성이 높아져 뉴런의 연결을 강화시킨다. 즉, 뇌세포 사이의 연결선이 많아지고 굵어진다. 뇌에서는 이 과정이 화학적으로 간단하게 이뤄지지만 이 기능을 컴퓨터 칩에 적용하는 것은 여간 까다로운 일이 아니다. 전류의 양이 늘어나면 저항 값이 작아지고 또 이 값을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이 병의 근원은 15번째 염색체에 위치한 ‘UBE3A’ 유전자의 결실 때문입니다. 유비퀴틴 연결효소(E3)로써 신경계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진 유전자죠. 그런데 A라는 사람과 B라는 사람이 각각 염색체 하나에 UBE3A 결실을 갖고 있다고 하더라도, A는 질병을 갖고 태어나고 B는 건강하게 태어날 ... ...
- Part 3, 기후변화 최대 피해지, 북극 스발바르는 지금과학동아 l2017년 03호
- 5대양 중 가장 작고, 담긴 바닷물도 전세계 해수의 1%에 불과하지만, 이곳이 전지구적으로 연결돼 있는 해류 순환을 조절한다. 북극해가 차갑게 유지돼야만 기후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그런데 최근 북극에서 전 지구 평균보다 두세 배 빠르게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일년생 해빙은 ... ...
- [Future] ‘잘 나가던’ 소프트로봇이 발목 잡힌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그만큼 내구성이 약하고 쉽게 마모되며 큰 힘을 내기 어렵다. 딱딱한 로봇은 다리에 연결된 모터를 한 바퀴 감았다가 풀면 진행한 만큼 정확히 제자리로 돌아오는데, 소프트로봇은 재료가 부드러워서 복원이 정확히 안 된다. 관절이 없고 유압을 사용해 어느 방향으로든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 ...
이전154155156157158159160161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