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개구리 합창, 일정한 법칙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츠쿠바대학교 이큐 아이하라 교수 연구팀은 일본 전역에 분포하는 청개구리를 채집해
실험
실로 데려왔어. 연구팀은 개구리를 한 마리씩 상자에 넣어 50cm 간격으로 두고 노랫소리를 분석했어. 그 결과 개구리들이 소리가 겹치지 않도록 차례대로 노래하다가 약 25초 후에 모두 노래를 끝낸다는 사실을 ... ...
인공강우로 미세먼지 해소될까?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있다는 우려도 있다. 여기에 대해 미국기상조절협회(WMA)는 2009년 성명서를 내고 인공강우
실험
에 쓰이는 요오드화은이 환경에 해로운 효과를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 ...
포도알 먹지 마세요, 전자레인지에 돌려 보세요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은 있다. 송 부장은 “혹시 집에서 직접
실험
을 하는 경우에도
실험
을 여러 차례 반복하거나 30초 이상 오랜 시간 전자레인지를 돌리는 건 위험하다”고 강조했다. 공명 이용해 나노 광원 개발에 활용캐나다 연구팀이 포도알을 이용해 플라스마 생성 원리를 연구한 이유는 ...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테크네튬은 1936년 이탈리아 화학자 에밀리오 세그레와 카를로 페리에르가 사이클로트론
실험
중 42번 몰리브데넘(Mo)의 시료 속에서 발견했다.장홍제 광운대 화학과 교수는 “주기율표에서 1번 수소부터 92번 우라늄까지 원소들은 자연에 존재하는 원소”라며 “테크네튬의 경우 멘델레예프가 그 ... ...
소행성 탐사 전성시대, 류구부터 파에톤까지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뒤 탄탈럼 탄환을 발사했고, 여기서 튕겨져 나온 돌 조각과 흙가루를 잽싸게 낚아챘다.“
실험
과는 약간 차이가 있지만 모든 결과는 당초 계획했던 그대로 이뤄졌습니다. 감동입니다!” JAXA의 하야부사 2 프로젝트 매니저인 가와구치 준이치로(川口淳一郞) 박사의 목소리가 떨렸다. 그가 기획한 ... ...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3칸을 칠한 숫자’로 표현합니다. 실제 의미의 ‘유리수’가 아닌 자연수를 도구로
실험
해서 만들어낸 수가 되는 거지요. 반면 중학교 수학은 본격적으로 수를 양이 아닌 수 자체로 배우기 시작합니다. 중학교에 들어가면 가장 먼저 배우는 ‘음수’는 초등학교 수학과 중학교 수학을 가르는 ... ...
'캡틴마블' 옥에 티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빛에너지?빛은 에너지다. 1897년 조지프 톰슨이 전자의 존재를 발견할 수 있었던 건
실험
을 통해 음극선이 바람개비를 돌린다는 사실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캡틴 마블처럼 빛에너지로 적을 날려버리는 포터 블라스트를 쓰기 위해서는 빛의 세기가 어느 정도 돼야 할까. 최재민 전북대 ... ...
Part 1. 90.5가 의미하는 것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체내에 흡수되면 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 내용을 발표했어요. 연구팀이
실험
물고기로 흔히 쓰이는 제브라피쉬에게 수십nm(나노미터. 1nm은 십억 분의 1m)의 미세 플라스틱을 투여한 결과, 배아*의 세포 속 미토콘드리아*가 손상된 것으로 나타난 거예요. 연구팀은 “미세 플라스틱은 ... ...
한국 인공태양 완공 10년, 1억 도로 타올랐다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플라스마 이온온도 1억 도 달성은 향후 국제핵융합
실험
로에서 진행될 핵융합 반응
실험
에 중요한 데이터가 될 것”이라며 “이제 핵융합 연구는 ‘꿈의 인공태양’이 아니라 현실과 가까워지는 인공태양으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 ...
단백질 구조예측 대회1등 '알파고' 후배 '알파폴드'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방법도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1960년대 초부터 많은 과학자들이 단백질 구조를
실험
적 기법 대신 계산을 통해 얻어내려는 연구를 진행했지만, 1990년대 이전까지 단백질 구조의 예측정확도는 거의 0% 수준이었다.그런데 최근 컴퓨팅 기술이 발전하면서 단백질을 이루는 아미노산의 서열과 구조를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