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활"(으)로 총 7,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부모님을 구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초록색 머리카락! 해캄해캄은 호수나 늪, 물살이 느린 하천 등에 사는 식물이에요. 봄부터 여름에 걸쳐 수온이 높은 계절 동안 볼 수 있지요. 가늘고 긴 초록색 머리카락처럼 생겼는데, 여러 개체가 한데 모여 살기 때문에 마치 하천에 떠 있는 초록색 실뭉치처럼 보여요. 해캄은 표면이 점액으로 덮 ... ...
- [Issue] 동물정신과 측면에서 본 공격성과 치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공격행동을 유발하는 것은 위험천만한 행동이다). 보호자는 개의 특징과 일상생활, 문제행동 등에 대한 약 15장짜리 설문을 수행해 제출한다. 이런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진단을 하고 치료 계획을 세운다. 흔히 치료는 ‘으르렁대고’ ‘달려들고’ ‘무는’ 하나하나의 행동(증상)을 멈추게 ... ...
- [Origin] ‘신의 저주’도 옛말, 에이즈 예방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사망하는 원인으로 에이즈 연관 질환보다 비에이즈 합병증이 4배 더 많다”며 “생활 습관 변화, 약제 변경 등의 조치와, 장기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doi:10.3904/kjm.2016.90.6.487). HIV 검사에 대한 인식 바뀌어야한국의 상황은 어떨까. 질병관리본부가 올해 8월 발표한 ‘2016년 HIV/AIDS 신고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집에서 처음 보는 벌레를 발견했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사람이다. 그 때문에 나는 유학생활 동안 정기적으로 주변 사람들의 곤충 감정사 노릇을 해 주어야 했다. 내가 제일 싫어하는 일이었는데, 메뚜기 말고는 잘 모른다고 몇 번이나 설명해야 했는데, 이젠 졸지에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앓을 수 있다. 전 세계 인구의 약 2%가 안면실인증으로 대인관계 기피 등 정상적인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뇌의 다양한 기능 중에서도 매우 중요한 얼굴 인식 기능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이며, 이런 연구는 우리 뇌의 신비로운 기능을 한층 깊게 이해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할 ... ...
- [Culture]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간의 마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말을 들을 수 있다. 빅데이터와 사물 인터넷, 그리고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이 우리 생활에서 점차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기술 간의 융합과 창의적인 발상이 그 어느 때보다도 필요한 시대다. 예를 들면 필자가 연구하는 드론은 전자공학과 항공공학 간의 이해와 융합이 ... ...
- [인터뷰]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자➊ 오세진 교수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대학생 때도 저보다 수학을 잘하는 친구들이 많았어요. 지금은 칠레에서 박사후연구원 생활을 하는 친구도 그중 한 명이었는데요, 제가 공부를 하다가 모르는 문제가 생기면 그 친구에게 가서 물어보곤 했어요. 그런데 그 친구가 휴학을 하고 나니까 물어볼 사람이 없지 뭐예요. 그래서 그 뒤로는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가득 채울 수 있지요. 벌집처럼 정육각형을 이어 붙여도 됩니다. 테셀레이션은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는데요, 보도블록과 화장실 타일, 벽지를 보면 같은 한두 가지 무늬가 평면을 가득 메우고 있습니다. 네덜란드 판화가 마우리츠 코르넬리스 에스허르는 테셀레이션 기법을 이용해 ... ...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미 화성 탐사는 시작됐다”고 썼다. 새뮤얼 페일러 대원은 글 대신 대원들이 생활하는 모습과 화성 기지 곳곳을 촬영한 동영상을 공개했다. 화성 기지는 천막 돔으로 크기가 약 384m3 정도다. 6명이 함께 살기에 넉넉한 공간은 아니지만, 침실은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고, 부엌, 거실,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유전자에 변형이 일어날 경우 생체 리듬 주기가 변하고, 이에 따라 아침형 혹은 올빼미형 생활 패턴을 동반하는 유전질환이 나타난다. 생체리듬을 구성하는 생체시계 유전자와 그 작동 원리가 초파리와 인간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에서 매우 유사하게 작동하기 때문이다. 이유는 이렇다. 24시간 ... ...
이전154155156157158159160161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