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능력"(으)로 총 5,7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똑똑한 아이를 원해? 공기부터 바꿔봐!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엔백(n-back) 테스트를 사용했다.비교 결과 오염이 덜 된 지역의 학생들은 1년 동안 인지능력이 11.5% 증가한 반면, 대기 오염이 심한 지역의 학생들은 같은 기간 동안 7.4% 오르는 데 그쳤다. 수니에르 연구팀은 “대기 오염이 아이들의 뇌 발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이 이번 연구로 ... ...
- Part ➊ 건강한 경쟁이 건강한 숲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구조를 연구하면서 이 법칙을 정리할 아이디어를 얻었다. 그는 ‘가지 속 관의 액체 운반 능력은 가지가 갈라져도 변하지 않아야 한다’는 가설을 세우고, ‘가지 성장의 법칙’을 만들었다.빌헬름 루의 ➊ 하나의 중심 줄기가 폭이 같은 두 가지로 갈라질 때, 가지들이 원래의 ... ...
- [Life & Tech] ‘개저씨’와 ‘꼰대’를 위한 변명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달리 더 이상 생식을 하지 못하는 나이가 돼도 계속 살아갈 수 있도록 진화해왔다. 인지 능력의 노화가 일어날 때까지도 살아야만 하는 것은, 자식이 충분히 클 때까지 보살펴야만 하는 부모의 숙명인지도 모른다.나이들어 좋을 때도 있다나이가 든다고 성격의 부정적인 변화만 일어나는 건 아니다. ... ...
- [수학뉴스] 수의 크기를 아는 병아리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안녕하세요, 최근 ‘수 크기 비교 능력’이 밝혀져 세상이 떠들썩합니다. 어떻게 그 능력을 발견하게 되었나요?연구팀은 제게 재미난 테스트를 했어요. 제 앞에 한가운데 빨간 점 5개가 찍힌 판을 세워둔 것이지요. 판 뒤에는 똑같이 생긴 방 두 개가 나란히 있었고 맛있는 벌레가 들어 있었지요. 저는 ... ...
- Part 2.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년에 한 번 발생할 수 있는 거대 홍수의 강수량은 20% 증가해 현재 지어진 제방의 홍수방어능력은 절반으로 줄어든다.무서운 물의 역습에 가만히 앉아서 당할 수밖에 없는 걸까. 다음 파트에서 ‘똑똑한 물’로 무서운 물에 맞서는 사람들을 만나 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이상한 물, ... ...
- Part1. 거짓말 잘하는 비결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말했다. 권 박사는 3~5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실행기능이 뛰어날수록 거짓말 능력도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아르헨티나 축구대표인 리오넬 메시는 드리블의 달인이다. 기존 문법에서 벗어난 경기 패턴으로 상대 선수를 당황시킨다.세 번째는 창의성이다. 주위에 타고난 ‘뻥쟁이’가 ... ...
- [Knowledge] 뉴스룸-니버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두께를 알 수 있죠. 머지않아 화성이나 목성 대기탐사로 이직할 생각입니다. 여기선 제 능력이 아깝네요.나사 앵커 (할 말을 잃음) 농담…이시죠?(두두두 둥두둥~ 노래 반주)나사 앵커 오늘 준비한 소식은 여기까지입니다. 방금 활약한 기자 5명을 비롯해 저희 취재기자 20명이 지구 주위를 돌며 ... ...
- [Life & Tech] 페이스북 ‘과고드립’ 운영자 인터뷰 “너드요? 저는 개성이라고 생각해요”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이런 드립이 과학공부를 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도 했다. “과학자에게 가장 중요한 능력 중 하나가, 세상의 모든 일을 과학적으로 바라보는 마음가짐이잖아요. 과고드립에서 그런 연습을 한 아이들이 나중에 진짜 과학자가 됐을 때 성공할 수 있을 거라고 봐요.”이 씨는 과고드립이 과학에 대한 ... ...
- [Life & Tech] 오빠랑, 홍대, 떡볶이, 맛집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맛집 정보가 블로그에 가장 많기 때문이죠. 그렇다고 광고를 걸러내는, 없던 능력이 갑자기 생길 리 없습니다. 그나마 알아낸 게 ‘오빠랑’을 추가하는 거였는데….“여기에 ‘서울 떡볶이 맛집’이라고 입력하면 검색엔진이 수많은 블로그에서 이 단어들을 추출해 줘. ‘텍스트마이닝’이란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빅데이터로 유권자의 마음을 훔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글이 칭찬인지 비꼼인지 알려면 전체 글의 맥락을 파악해야 한다. 사람 수준의 해독능력을 가진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분석이 끝이 아니다. 비정형 데이터는 정형 데이터보다 용량이 커서 저장하기도 힘들다. 컴퓨터 여러 대에 데이터를 나눠 저장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하둡(Hadoop), H베이스, ... ...
이전154155156157158159160161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