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동아사이언스-한국과학창의재단, SW 교육 MOU 체결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함양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양측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SW 교육용 컨텐츠를 공동 발굴하고 제작, 홍보하는 등 SW 교육이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다양한 협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이날 미래창조과학부는 초등학교 53곳, 중학교 90곳, 고등학교 17곳 등 전국적으로 160개 학교를 SW 교육 선도학교로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빅데이터로 유권자의 마음을 훔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빅데이터 선거’. 2012년 미국 대선에서 버락 오바마 재선캠프가 들고 나온 색다른 선거전략이었다. 오바마 캠프는 대선 18개월 전부터 IT전문가 300여 명을 영입했다. 2억 명에 이르는 유권자 개개인의 정치적 성향을 파악하기 위해서였다. 이들은 트위터나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링크드인 같은 소 ... ...
- [과학뉴스] 후쿠시마 토양, 미생물로 정화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토양의 오염이 심각해 방사성 물질이 계속해 검출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일본과 미국 공동연구진이 방사성 스트론튬(Sr), 세슘(Cs)과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호염성 미생물을 새롭게 찾아냈다.일본 원자력에너지연구소 료타 쿠로키 박사팀은 호염성 미생물인 크로모할로박터의 입체 구조를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지름신’ 부르는 뇌공학자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소통하는 채널을 만들어보려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고려대 심리학과 연구팀과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뇌파로 어떻게 소통할까. “아이의 뇌파를 패턴화해 엄마에게 보여주면 처음에는 무슨 의미인지 모를 겁니다. 그런데 반복 학습하게 되면 ‘아, 이런 상황에서 이런 뇌파가 ... ...
- 컴컴한 눈 대신 마음으로 연구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의대 안이비인후과교실 로피 미라베 박사와 칠레대 컴퓨터과학과 제임 산체스 교수 공동연구팀은 시각장애인과 일반인이 3차원을 인지하는 능력이 어떻게 다른지 실험을 통해 비교했다. 실험참가자들에게 복잡한 구조를 가진 도형을 설명한 다음, 레고로 조립하게 한 것이다. 그 결과 시각장애인은 ... ...
- [과학뉴스] 빛의 속도 논란, 아인슈타인 승?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불변의 법칙’이 관측으로 입증됐다. 프랑스, 이스라엘, 이탈리아 과학자들이 모인 국제 공동연구팀은 에너지가 서로 다른 빛이 지구에 동시에 도달한다는 관측 결과를 학술지 ‘네이처 물리학’ 3월 16일자에 발표했다.앨버트 아인슈타인이 1905년 제시한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모든 빛 입자는 ... ...
- 소리로 만드는 3차원 영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수천만 원이 든답니다.그런데 최근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와 브리검영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홀로그래피를 만드는 새로운 방법을 생각해냈어요. 그것도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말이지요. 홀로그래피를 만드는 기계에서 빛이 지나가는 자리에 ‘니오브산리튬(LiNbO3)’이라는 특수 시료를 ... ...
- [과학뉴스] 광합성 하는 달팽이를 소개합니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비법에 대한 더욱 정확한 설명이 나왔다. 미국 사우스플로리다대와 메릴랜드대 등 공동연구팀은 이 달팽이가 먹이에서 필요한 유전자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조류의 특정 유전자를 형광으로 표지한 뒤 이 유전자가 달팽이의 세포 속으로 이동하는 것을 ... ...
- 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항공모함 스캐폴드’를 3D 프린터로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심 교수와 조 교수 공동 연구팀은 혈관세포나 근육세포 등을 도면대로 출력해 인공 장기를 만드는 연구도 시작했다. 연구팀은 장기를 화학처리해 만든 ‘바이오잉크’를 3D 프린터에 넣어 3차원 구조물을 출력한 뒤, 출력물에서 ... ...
- [과학뉴스] 황우석․미탈리포프, 중국과 손잡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미탈리포프 교수가 상대적으로 임상 연구 규제가 허술한 중국 시장을 염두에 두고 공동연구에 나선 것으로 분석했다. 미탈리포프 교수는 2009년 일명 ‘세 부모 수정’을 원숭이를 대상으로 처음으로 성공시켰다.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를 가진 난자에서 미토콘드리아를 제거한 뒤, 정상인 제3자의 ... ...
이전154155156157158159160161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