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종 전염병, 장기전에 대비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CEPI)의 리처드 해체트 대표는 “16주 안에 첫 임상시험을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소 세 곳과 함께 코로나19의 백신 개발을 시작한다”고 알렸어요. CEPI는 잠재적인 전염병 위험에 대비해 백신 개발 속도를 높이기 위해 2017년 생긴 단체예요.새로운 백신을 만들어 현장에서 쓸 수 있게 되는 데는 ... ...
- [예술이 된 우주] 우주에서도 눈송이가 보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사진도 그중 하나예요. 사우디 아라비아의 알자우프 지역에 있는 물 공급 시설을 높은 곳에서 촬영한 것이지요. 알자우프 지역은 사하라 사막에 있기 때문에 오아시스 주변으로 도시가 발달하는데, 한정된 물을 끌어다 쓰기 위해 사진 속의 육각형 벌집 모양이나 원형의 관개 시설이 필요하답니다 ... ...
- [섭섭박사 메이커 스쿨] 중력을 거부한다! 오래 나는 모스 글라이더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완성한 뒤, 직접 날려 보았어요. 섭섭박사님은 “머리 위에 손을 뻗어 제일 높은 곳에서 비행기를 밀듯이 날린 후 100°~ 120°의 각도로 평평한 판을 대고 비행기를 쫓아가면 오래 날릴 수 있다”고 설명해주셨답니다. ●알아보자!중력을 이기는 비행기, 그 비결은? 비행기는 하늘을 날 때 4가지의 ... ...
- [보드게임] 비법서 개발 정보 모으기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제외한 플레이어가 마법을 볼 수 있게 돌을 놓는다. 남은 돌 중 4개는 따로 빼서 다른 곳에 둔다. 이 4개의 돌은 ‘비밀의 돌’이 된다. 비밀의 돌은 부엉부엉 통신 마법에 성공한 사람만 볼 수 있다. §게임 시작§ 나이가 가장 많은 플레이어부터 주문을 외운다(동갑이라면 생일이 빠른 순으로 ... ...
- 1990년 우주로…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매력을 더한 것일지도 모른다. 실제로 블랙홀은 부피는 0이지만 엄청난 질량이 한 곳에 모여 무시무시한 중력을 가진 죽은 별이다. 중력이 매우 강해 모든 물질을 빨아들인다. 심지어 빛조차 빨아들여 블랙홀은 눈에도 보이지 않는다. 이런 블랙홀에는 물질과 빛이 안으로만 들어가며 밖으로 탈출할 ... ...
- NASA 신입 우주인 공채, 스펙과 연봉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여러 연구소 중 유인 우주탐사 프로그램의 허브다. 우주인 훈련 프로그램과 ISS 임무가 이곳에서 진행된다. 신입 우주인 후보의 연봉은 최소 10만4898달러(약 1억2800만 원)에서 최대 16만1141달러(약 1억9600만 원)다. ●고액 연봉보다 더 큰 혜택은? 고액의 연봉 만큼 매력적인 혜택이 하나 더 있다. ... ...
- [화장실의 변신 ③] 어느 곳에서나 쓸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분해 과정에서 생긴 전자를 몸 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종이 있어요. 폐수가 나오는 곳이나 하수처리장에서 주로 발견되지요. 이 미생물이 가득 든 오줌 통에 전극을 연결하면 미생물 몸에서 나온 전자가 회로를 따라 이동하며 전류가 흐르는 거예요. 한 사람의 하루 소변 량이면 휴대전화로 3시간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화장실, 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발명했다고 알려졌어요. 안경을 만들던 그는 우연히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겹치면 먼 곳에 있는 물체가 가깝게 보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지요. 이 원리를 적용해 1608년, 기다란 원통에 두 개의 렌즈를 겹쳐서 만든 최초의 망원경을 개발했답니다. ... ...
- [석박통합당 기호3 이석사] 과학 생태계를 건강하게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군 복무에 전문연구요원 제도를 활용하는 분위기다. 취재 당시 방문한 연구실 두 곳의 남자 대학원생 10명 가운데 4명은 전문연구요원이었고, 5명은 전문연구요원을 준비하고 있었다. 이들은 전문연구요원 선발 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서강대 생명과학과 박사과정인 김근태 씨는 “대부분 ... ...
- [퀀텀닷 완전정복] 퀀텀닷으로 암 진단까지?!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프로브에 퀀텀닷을 결합하면 퀀텀닷의 발광 특성이 손실되거나, 반대로 원치 않는 곳에서 빛을 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신체 내에서 프로브와 퀀텀닷이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퀀텀닷 표면 기술이 개발되면 낮은 비용으로 질병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김 교수는 “암처럼 항원이 여러 ... ...
이전154155156157158159160161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