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같은시간"(으)로 총 9,560건 검색되었습니다.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일상용품을 예술 작품으로~ 마르셀 뒤샹의 ‘샘’수학동아 l2019년 02호
- 100년 전만 해도 예술이란 예술가의 손을 거쳐 만들어야 한다는 암묵적인 법칙이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예술은 대상을 만드는 게 아니라 개념을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등장합니다. “예술적이지 않은 작품을 만들 수 있을까?” 시중에 파는 변기통을 두고 예술이라 말하는 ... ...
- [스타쌤의 수학 공부꿀팁] 부평동중학교 김정란 선생님, 새 가족이 생기는 수학 시간수학동아 l2019년 01호
- 걸출한 축구 선수 여럿을 배출한 학교로 유명한 인천 부평동중학교! 축구에만 열정 넘친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재밌게 수학 공부하기로도 유명한 학교니까 말이다. 지금부터 독특한 방식으로 수업을 이끄는 수학쌤, 김정란 교사와 부평동중 1학년 3반 학생들의 수학 시간을 찾아가보자! “수 ... ...
- [알고리듬 시그널] 이 자료는 내가 보냈소! 디지털 서명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자기들만의 암호를 만들어서 단톡을 하다니! 견우도 하루하루 알고리듬 사고력이 향상하는 것 같죠? 견우의 알고리듬 요정인 저도 뿌듯하네요. 오늘은 메시지를 안전하게 주고받는 마지막 관문, 디지털 서명에 관해 배워볼게요! 여러분, 저 알디가 아주 멋진 그림을 그렸어요. 이 그림을 제가 그 ... ...
- [프리미엄 리포트] 내 모든 걸 다 줬는데, 날 미워하면 안 ‘돼지’ 인류를 구원한 돼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돼지는 8000년이란 세월동안 대표적인 가축으로 인류와 함께했다. 소처럼 농업에 보탬이 되거나, 염소처럼 젖을 제공하지도 않고 오롯이 식량 자원으로만 말이다" ‘황금돼지의 해’ 2019년이 밝았다. 돼지는 복과 다산(多産)을 상징하는 긍정적인 이미지다. 하지만 동시에 더럽고 천박하며 게으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01 유병언은 언제 사망했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과학적인 방법으로 검증한 증거는 차고 넘쳤다. 하지만 불신으로 가득했던 여론은 정해진 결론을 원하는 듯했다. 적어도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 이후 세월호의 선사인 청해진해운의 실소유주로 밝혀진 유병언 전(前) 세모그룹 회장의 사망이 확인된 당시에는 그랬다. ● 2014. 06. 12 전남 순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의 아름다움을 아이들과 나눈 니콜 스탓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어린 소녀들과 젊은 여성들은 재미있고 불가능하다고 여겨지는 도전적인 일을 하는 다른 여성을 볼 필요가 있습니다. 저는 진심으로 제가 그것을 보여줄 책임이 있다고 믿었습니다. “Young girls and young women need to see other women doing interesting and challenging things-things t ...
- [Interview] 이상구 한국수학교육학회 회장 - 코딩은 수학 교육의 구원 투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과유불급’이라는 고사성어가 있다. 아무리 좋은 것도 지나치면 없는 것만 못하다는 뜻이다. 수학도 마찬가지다. 사고력을 높이기 위해 어렵고 복잡한 문제를 계속 풀게 하면 오히려 수학을 싫어할 수 있다. 해결책은 없을까? 수학 교육에 ‘코딩’을 끌어들이면 된다는 한국수학교육학회 회 ... ...
- [동아리탐방] 동아리계 VIP를 꿈꾼다! 포항제철고 Math V.I.P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동아리가 생긴 지 5년밖에 안 됐지만, 4년 연속 경북 청소년 페스티벌에서 대상을 받은 동아리가 있다. 바로 포항제철고등학교 수학동아리 ‘Math V.I.P’다. 아직 보여줄 게 산더미라는 Math V.I.P! 많은 활동을 할 수 있었던 비결은 뭘까? “처음에는 수학 교구를 탐구하는 활동만 했어요. 포항 수학 ...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중생대 백악기, 아주 작은 크기의 공룡이 호숫가 주변의 촉촉하게 젖은 땅 위를 걷고 있었다. 공룡은 젖어 있는 땅 중에서도 ‘적당하게 굳은’ 진흙 위를 걸어가며 발자국을 남겼다. 발자국의 크기는 불과 1cm밖에 되지 않았다. 엄지손톱 크기 정도다. 대부분의 육식 공룡은 두 발로 걷고, 뒷발에 ... ...
- [Tech] 프로펠러 없이 하늘 난 비행기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현재 항공기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대형 프로펠러와 터빈이 만들어 내는 시끄러운 소음이다. 또한 이를 구동하기 위해 상당량의 화학 연료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연료가 타며 대기 중으로 오염물질도 배출한다. 사실 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꿈의 엔진’이 있기는 하다. 바로 ‘이온 ... ...
이전154155156157158159160161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