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auge
d라이브러리
"
게
"(으)로 총 5,266건 검색되었습니다.
Epilogue. 인류는 바이러스로 멸망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1308
해방되는 날은 없을 것처럼 들렸다. 정 교수가 덧붙였다.“바이러스는 숙주와 그냥 그렇
게
함께 지내는 친구(親舊)입니다. 지금까지 줄곧 그래 왔듯이요.”정재웅2004년 한인 최초 하버드대 종신교수2006년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외래교수2007년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케크의과대 교수2007년 미국 ... ...
Part 2. 우주 아파트 건설
과학동아
l
201308
용암이 있었던 자리. 용암은 과거에 흘러나가 빈공간으로 남아있다·Lava Tube)를 활용하는
게
효율적이다. 건설팀은 여러 대의 로버를 보내 지하의 라바 튜브를 찾아낸다. 지하 아파트를 건설하기에 충분한 라바 튜브를 찾아, 지상에서 구멍을 뚫는다. 그리고 그안으로 건설 장비를 집어넣는다. ... ...
추락하는 비행기에서 살아남으려면?
과학동아
l
201308
전에 이미 최종 착륙 허가가 났다”고 밝혔다.➍ 대피는 적절했나?결과적으로는 침착하
게
대응한 덕분에 화재가 발생하기 전 인명피해 없이 탈출했다. 그러나 NTSB는 기장이 탈출 명령을 내린 시점을 문제 삼고 있다. 충돌 직후 조종사들은 관제탑과 통신을 하면서 탈출 명령을 내리지 않았다. 왼쪽 두 ... ...
미토콘드리아 시계가 흔들리다
과학동아
l
201308
더구나 유전학 기술의 발달로 이제는 살아있는 사람들의 DNA에서 시간을 유추하는
게
아니라, 아예 화석에서 직접 DNA를 추출해 분석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네안데르탈인이 현생인류와 피를 섞었고, 유럽인의 경우 유전자의 4%가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라는 사실이 2010년 밝혀졌습니다. 현생인류가 ... ...
우주기지 만드는 빅 엔지니어링
과학동아
l
201308
콘크리트(Lunar Concrete)와 3D 프린팅 기술은 개발 도상국에서 현지 자원을 활용해 집을 싸
게
지을 수 있는 기술로 발전시킬 수 있다.달에서 에너지를 얻기 위해 개발한 태양광 발전도 산업 현장에 활용할 수 있다. 200km 길이의 도로에 지붕을 덮고 태양광 집열판을 설치한다면 1000MW급 원자력 발전소만큼 ... ...
[life & Tech] 물과 불과 시간이 만든 돌의 정원
과학동아
l
201308
남아서 후두, 핀, 그리고 마치 아치형의 창문과 같은 ‘윈도우’라 부르는 지형을 이루
게
된다. 풍화에 강한 돌로마이트가 후두 꼭대기에서 마치 모자처럼 하부를 보호하고 있지만 후두도 결국 시간이 지나면 풍화에 의해 붕괴될 운명이다.브라이스 캐니언에는 아래를 돌아볼 수 있는 다양한 ... ...
UNIST의 힘은 세계 최고의 교수진
과학동아
l
201308
도약하기 위한 노력이다. 2030년까지는 세계 10위권의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이 되겠다는
게
목표다. 2009년 개교 뒤 불과 5년 만에 뛰어난 성과를 이뤄낸 UNIST가 앞으로 세계 과학계의 강자로 설 수 있을지 주목해 보자.이미지 ... ...
빙하가 물러나면 자주범의귀가 핀다
과학동아
l
201308
누구 힘이 더 셀까북극 동토층에는 탄소가 대기 중에 포함된 양(대부분 이산화탄소로 존재)보다 2배 이상이 들어있어요. 그런데 지구온난화로 북극 기온 ... 활발하다고 해요. 이유경 박사님은 “동토층을 연구하면 앞으로 북극 생태계가 어떻
게
변할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해주었어요 ... ...
답정너
과학동아
l
201308
이에 따라 자기를 비논리적으로, 주관적으로 비하하는 사람이 받는 위로나 보상도 줄어들
게
되지요. 부정적인 자기 비하 태도나 비합리적인 논리를 들은 사람들이 불쾌함을 느끼기 때문이죠. 이를 심리학적으로 ‘보상감소이론’이라고 합니다. 다시 말해 ‘답정너’ 상황을 자주 만들면 아무리 ... ...
수술실에서 死神을 쫓아내다
과학동아
l
201308
연재합니다. 수술이 지금처럼 의학의 꽃으로 거듭난 과정과 의학사 이야기를 재미있
게
소개합니다.최은경서울대 의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인문의학으로 박사를 받은 뒤 현재 서울대병원 의학역사 문화원 연구교수로 있다.식민지 시대 결핵에 관해서 박사논문을 썼으며 질병사와 근현대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